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50/JKSCT.2010.34.11.1786

A Study of the Historical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Consumption Culture -Focused on Consumption Related to Dress-  

Kim, Eun-Jeo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Yonsei University)
Yun, Tae-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Yonsei University)
Ko, Su-Jin (Dept. of Clothing & Textiles, Yonsei University)
Koh, Ae-Ran (Dept. of Clothing & Textiles, Yonsei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v.34, no.11, 2010 , pp. 1786-179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ical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consumption culture by reviewing previous literature about consumption spaces and conspicuous consumption in moder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ree different periods of time: from 1876 to 1919, from 1920 to 1936, and from 1937 to 1945.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reviews previous literature related to advertising, poems, novels, historical events, and Orientalism. Based on this,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were also analyzed. The overall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irst period from 1876 to 1919 was the beginning of modern Korean consumption culture, in which exotic goods such as foreign fabrics were preferred and consumed. In addition, clothing was simplified and westernized through modern reform. The second period of time, 1920 to 1936, was the development stage of modern Korean consumption culture that formed the foundation of modern consuming spaces where the recognition of the human form became more modern, and 'modern girls' styles appeared. The final period, 1937 to 1945, was the regression stage of Korean modern consumption culture, in which consumption decreased during the Sino-Japanese War and World War II.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clude that the leading-consumer items hold symbolic value as well as became signifiers within modern consumption spaces such as modern Korean department stores and that women were recognized as modern leading-consumers as shown by the dramatic increase in the number of products that targeted women.
Keywords
Modern; Modernity; Consumption culture; Consuming spaces; Consuming subjec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유수경. (1990). 한국 여성 양장 변천사. 서울: 일지사.
2 진혜은, 여정성. (2007). 기능소비와 상징소비에 대한 사적고찰-조선시대와 근대화기를 중심으로-. 소비자학 연구, 18(2), 79-101
3 배개화 (2000). 소비하는 도시와 모더니즘. 한국현대문학연구, 8, 243-276.
4 벤야민, 발터. (1999). 아케이드 프로젝트. 조형준 역 (2005). 서울: 새물결.
5 마정미. (2004). 광고로 읽는 한국 사회문화사: 모던 뽀이에서 N세대까지. 서울:개마고원.
6 마정미. (2006). 근대의 상품광고와 소비, 그리고 일상성. 문화과학, 45, 209-223.
7 늘 어여뿐 자태를 신여성 눈길 잡은 비누-화장품 광고. (2009, 11. 9.). 동아일보. 자료검색일 2010, 7. 4, 자료출처 http://news.donga.com
8 마정미. (2003). 한국 개화기 광고의 특성에 관한 연구: 광고에 나타난 근대성과 계몽의 담론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60, 55-80.
9 김윤선 (2009). 근대 여성매체 '신여성'에 나타난 여성의 소비문화. 동양학, 45, 41-61.
10 김성환. (2002). 1930년대 대중소설과 소비문화의 관계양상 연구. 한국현대문학연구, 12, 125-153.
11 김왕배. (2000). 사회계급과 소비문화이론: 방법론적 의의에 대한 검토. 사회발전연구, 6, 5-32.
12 김용섭. (1992). 한국 근현대 농업사 연구. 서울: 일조각.
13 이두원, 김인숙. (2004). 근대 신문광고( 1886-1949) 내용분석연구: 근대 소비문화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5(5), 101-129.
14 김민자, 임원자, 이은영, 구미지, 김윤희. (1993). 한국 복식 변천과 사회 변천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7(2), 315-327.
15 고석규. (1998). 19세기 전반 서울 시전상업의 동향. 서울학연구총서, 7, 192-244.
16 회박 쓴 얼굴에 쥐잡아 먹은 얼굴이라 양장에 꼭 맞는 화장을 권하는 사회. (2008, 7. 1). 월간민족21, 88. 자료검색일 2010, 7.4, 자료출처 http://www.minjog21.com
17 진혜은 (2005). 기능소비와 상징소비에 대한 사적 고찰: 조선시대와 근대화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최병택, 예지숙. (2009). 경성리포트. 서울:시공사
19 장희권 (2009). 근대의 도시공간과 사유방식. 뷔히너와 현대문학, 32, 205-234.
20 주창윤 (2008). 1920-1930년대 모던세대의 형성과정. 한국언론학보, 52(5),186-207
21 이성욱. (2004). 한국 근대 문학과 도시문화. 서울:문화과학사.
22 맥크라켄, 그랜트. (1990). 문화와 소비. 이상률 역 (1996). 서울: 문예출판.
23 권혜경. (2006). 현대 소비문화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젠더의 정치성과 고착화, 그리고 그 전복적 대응. 영미문학페미니즘, 14(1), 5-28.
24 이윤상 (1993). 한국 근대사에서 개항의 역사적 위치. 역사와 현실, 9, 147-162.
25 수요역사연구회. (2007). 식민지 동화정책과 협력 그리고 인식. 서울: 두리미디어.
26 이두원, 김은희. (2004). 한국 근대 소비문화 변천사-근대 신문광고에 나타난 소비가치 체계분석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5(3), 207-234.
27 서범석, 서용진, 강태완, 마정미. (2004), 근대 인쇄광고를 통해 본 근대적 주체 형성에 관한 연구: 개화기 -1930년대까지 몸을 구성하는 상품광고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15(1), 227-266.
28 손정목. (1996). 일제강점기 도시사회상 연구. 서울: 일진사.
29 송규진. (2003). 개항기 조선과 서양의 경제교류. 민족문화논집, 28, 325-359.
30 비숍, 이사벨라 버드. (1898).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 이인화 옮김 (1994). 서울:살림.
31 강만길. (2006). 고쳐 쓴 한국 근대사. 서울: 창작과 비평사.
32 박태원. (2005).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서울: 문학과지성사.
33 김지연. (2009). 일상성을 통해 본 '만세전'의 근대성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4 김낙년. (2006). 한국의 경제성장:1910-1945.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35 금기숙. (2002). 현대패션 100년. 서울: 고문사.
36 고동환. (2008). 개항전후기 시전상업의 변화-면주전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32, 111-147.
37 김경일. (2004).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20세기 전반기 신여성과 근대성. 서울: 푸른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