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50/JKSCT.2009.33.9.1386

A Study on the Design for a Boll Jointed Doll's Costume with the Ladies' Vogue of Bok-yo in the Early-middle Joseon Dynasty  

Choi, Hae-Yool (Dept. of Fashion Design & Apparel Industry, Wonkwang University/Institute for better living, Wonkwa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v.33, no.9, 2009 , pp. 1386-139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costumes for ball jointed dolls under the theme of Bok-yo(服妖): The Lady in Early-middle Joseon with relic costumes as a reference. The Bok-yo style was spread universally for Joseon women in the $15^{th}-16^{th}$ centuries, but it is an uncommon theme in the area of media and traditional costume for dolls. Bok-yo (curious outfit), consisted of a Dang-jeogori with a golden brocade in the front bottom, manlike Jang-ot, wide Chima, and Jang-ot was dressed between Chima and the Dang-jeogori. To make correct patterns and approvals for idle bodies of female ball-jointed dolls, darts are added in the front vertical line and center back of the golden brocade Dan-jeogori for Joseon ladies. The pattern of the golden brocade Chima is made as a trapezoid shape for the thin waist of a doll, and the length of a deep-greened silk gauze The Jang-ot increased because of the length of the doll's legs. In addition, the kinds of investigated accessories, hair, traditional underwear for dolls are limited. Suggested is a closer cooperation between the investigated costume designers, doll companies, and accessory makers for the future market of ball jointed dolls.
Keywords
Ball jointed doll; Investigated costume; Bok-yo; Jang-ot; Patter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은주. (2000a). 長鬐 鄭氏(1565-1614)墓의 출토복식과 기타 유물. 안동대학교박물관 (편), 안동대학교박물관 총서 15, 포항 내단리 장기 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pp. 25-68). 안동: 안동대학교박물관
2 정미경. (2005). 평산 신씨 묘 출토복식의 구성법에 관한 연구. 문경새재박물관 (편),금선단 치마 입고 어딜 다녀오셨을까 (pp. 123-181). 서울: 민속원
3 Dae Jang Geum(大長今). (2006). Jigamaree/Kosaf. 자료검색일 2008, 11. 21, 자료출처 http://www.jigamaree.com
4 가발(Doll wig). (2002). 돌모아(Dollmore). 자료검색일 2008, 10. 20, 자료출처 http://www.dollmore.com/shop/shopbrand. html xcode=093&type=X&mcode=003
5 국역 조선왕조실록. (2004). KoreaA2Z 동방미디어 한국학데이터베이스연구소. 자료검색일 2009, 1. 21, 자료출처 http://www.koreaa2z.com/sil99/index.html
6 서거정. (1488). 국역 사가집 2. 임정기 옮김 (2004).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7 심연옥. (2006). 세조(世祖)대의 회장저고리. 문화재청 (편),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복식자수 편 (pp. 214-217). 대전: 금강인쇄사
8 최해율. (2008). 16세기 조선 기녀의 일반 연회(宴會) 규정 복식 고증 디자인 연구-문화콘텐츠용 이미지 작업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2(8), 1322−1331
9 D.O.T. (2003). 드림오브돌(Dream of doll). 자료검색일 2008, 10. 25, 자료출처http://www.dreamofdoll.com/
10 안태현. (2005). 문경 연소리 출토 평산 신씨 미라의 가계. 문경새재박물관 (편), 금선단 치마 입고 어딜 다녀오셨을까 (pp. 63-75). 서울: 민속원
11 희경루방회도. (1567). 동국대학교박물관 동국대 770. 자료검색일 2009, 4. 1, 자료출처 http://www.emuseum.go.kr/pages/portal/search/full.jsp?dbNoArr=3&docNo=00134452
12 최경희. (2006). 조선 중기 기녀복식에 관한 연구 -진주 '논개'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구체관절 예복. (2006). 주방실인형한복(dollhanbok). 자료검색일 2008, 11. 21, 자료출처 http://dollhanbok.com/zeroboard/zboard.php?id=gallery01
14 주몽과 소서노예요. (2006, 12. 23). NEWSIS. 자료검색일 2009, 3. 1, 자료출처 http://www.newsis.com/
15 김연자. (2005). 평산 신씨 묘 출토복식 고찰. 문경새재박물관 (편), 금선단치마 입고 어딜 다녀오셨을까 (pp. 77-121). 서울: 민속원
16 시니어 델프. (2003). 루츠(Luts). 자료검색일 2008, 10. 25, 자료출처http://doll.luts.co.kr/FrontStore/iGoodsList.phtml?iCategoryId=215
17 이은주. (2006). 김덕령 장군 의복. 문화재청 (편),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복식자수 편 (pp. 282-285). 대전: 금강인쇄사
18 한국국학진흥원 (편). (2002). 선비, 그 멋과 삶의 세계. 서울: 대성당인쇄사
19 SD한복-정한. (2007). 돌모아(Dollmore). 자료검색일 2008, 10. 20, 자료출처 http://www.dollmore.com/shop/shopdetail.html?brandcode=095012000042&search=&sort=order
20 권영숙, 이주영. (1995). 조선 초,중기 여자 장의(長衣) 제도-임란전후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가정대학 가정대학연구보고, 21, 121−179
21 권수현, 강순제. (2008), 구체관절인형의 고구려 복식 재현.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집, 28(1), 109−126
22 김한겸. (2003). 4백 30년전 애달픈 사연담은 파평 윤씨 母子 미라. 과학동아, 12, 94−100
23 DRESS. (2003). 드림오브돌(Dream of doll). 자료검색일 2008, 10. 25, 자료출처 http://www.dreamofdoll.com/
24 구체관절 테마한복. (2006). 주방실인형한복(dollhanbok). 자료검색일 2008, 11. 21, 자료출처 http://dollhanbok.com/zeroboard/zboard.php?id=gallery01
25 정미경, 서수영. (2005). 평산 신씨 묘 출토복식-화보. 문경새재박물관 (편), 금선단 치마 입고 어딜 다녀 오셨을까(pp. 13-49). 서울: 민속원
26 한광순. (2006). 16세기 후반 청주 한씨 회장저고리와 솜장옷. 단국대학교 석주선박물관 (편), 석주선박사 추모 10주년 우리옷 선뵈기: 조선시대 우리옷의 멋과 유행 (p. 12). 서울: 단국대학교 석주선박물관
27 Model Doll. (2007). 돌모아(Dollmore). 자료검색일 2008, 10. 20, 자료출처http://www.dollmore.com/shop/shopbrand.html?xcode=082&type=X&mcode=036
28 의상(Doll clothes). (2002). 돌모아(Dollmore). 자료검색일 2008, 10. 20, 자료출처 http://www.dollmore.com/shop/shopbrand.html?xcode=095&type=X
29 의상. (2003). 루츠(Luts). 자료검색일 2008, 10. 25, 자료출처http://doll.luts.co.kr/FrontStore/iGoodsList.phtml?iCategoryId=215
30 이정섭. (2002). 문중 유물의 성격과 특징-경북 북부지방의 전적과 고문서를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편), 선비, 그 멋과 삶의 세계 (pp. 150-160). 서울: 대성당 인쇄사
31 이은주. (2000b). 장기 정씨 묘 출토유물. 안동대학교박물관(편), 안동대학교박물관 총서 15, 포항 내단리 장기 정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pp. 117-162). 안동: 안동대학교박물관
32 호조낭관계회도. (1550). 국립중앙박물관. 자료검색일 2008, 3. 1, 자료출처 http://www.museum.go.kr/kor
33 의상(Doll clothes). (2002). 돌모아(Dollmore). 자료검색일 2008, 10. 20, 자료출처 http://www.dollmore.com/shop/shopbrand.html?xcode=095&typ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