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50/JKSCT.2009.33.10.1622

Difference in Extended Products Evaluation by Consumer Innovativeness and Similarity of Product Category for Apparel Brand Extension  

Rhee, Young-Ju (Dept. of Clothing, Sungshin Wome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v.33, no.10, 2009 , pp. 1622-163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the innovativeness of consumers on extended products in brand extensions. 300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283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onsumers evaluate similar product category (i.e., sportswear) better than a dissimilar category (i.e., cosmetics) in brand extension. In addition, innovative consumers evaluated extended product better regardless of similarity with the original brand.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ith higher level of innovativeness were less likely to evaluate differently between a similar product and dissimilar product categories in apparel brand extension.
Keywords
Brand extension; Similarity; Brand image; Innovativen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미겸. (2001).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의 제품구매시 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혜경. (2003). 브랜드 이미지의 VMD(visual merchandising) 마케팅 전략을 이용한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상업공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민경진, 홍금희. (2005). 여성 캐주얼 상표 확장에 대한 상표개성과 상표 자산의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9(6), 753-763
4 안광호. (1997). 브랜드 파워. 서울: 한국언론자료간행회
5 이영주. (2008). 패션브랜드 확장시 모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확장패션제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4), 506-514
6 이지원. (2000). 의류제품의 상표 확장현황과 확장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전성덕. (2004).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삼성하우젠과 LG 백색가전 제품의 브랜드 유형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정민수. (2002). 패션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충성도가 브랜드 확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조성훈. (2003). 의류제품 브랜드 확장시 모브랜드의 영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Barone, M. J., Miniard, P. W., & Romeo, J. B. (2000). The influence of positive mood on brand extension evaluat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6(March), 386-401   DOI   ScienceOn
11 Broniarczyk, S. M., & Alba, J. W. (1994). The importance of the brand in br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May(2), 214-228
12 Farquhar, P. H. (1989). Managing brand equity. Marketing Research, 1, 24-33
13 Kotler, P. (1997). Marketing management: Analysi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ontrol (9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14 Leavitt, C., & Walton, J. (1975). Development of a scale for innovativenes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1), 23-34
15 Loken, B., & John, D. R. (1993). Diluting brand beliefs: When do brand extensions have a negative impact? Journal of Marketing, 57(3), 71-84   DOI   ScienceOn
16 Manning, K. C., Bearden, W. O., & Madden, T. J. (1995). Consumer innovativeness and the adoption proces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4(4), 329-345   DOI   ScienceOn
17 나준희, 김경민, 남상민. (2006). 브랜드 확장에서 모브랜드 평가에 대한 비교문화 연구. 소비문화연구, 9(3), 67-82
18 Smith, D. C., & Park, C. W. (1992). The effects of brand extensions on market share and advertising efficienc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9(March), 296-313   DOI   ScienceOn
19 이진용. (1995). 브랜드 자산의 전략적 관리와 미래. 서울: 경문사
20 Aaker, D. A., (1990). Brand extension: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Management Review, 31(Summer), 47-56
21 Muthukrishnan, A. V., & Weitz, B. A. (1991). Role of product knowledge in evaluation of brand extensio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8, 407-413
22 김상훈, 강지윤. (2005). 소비자 특성이 추구편익 및 내구재 속성의 중요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혁신성, 대인 적 민감도, 소비자 지식을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20(4), 209-230
23 강기정. (2006). 유사성이 낮은 범주로의 브랜드 확장시 소비자 특성이 확장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소비자 혁신성, 심사숙고의 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이화연, 문철주. (2008). 부적합 브랜드 확장시 광고유형이 소비자평가에 미치는 효과: 부적합 확장의 수준과 자아 일치성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9(2), 127-151
25 최선형, 이은영. (1991). 의류상표의 쾌락적 소비에 대한 태도연구. 서울대학교 가정대학 생활과학연구소 논문집, 16, 23-45
26 Rogers, E. M. (1995). Diffusion of innovation (5th ed.). NY:Free Press
27 홍신자. (2001). 의류상표 자산에 따른 상표 확장태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Baumgartner, H., & Steen, K. (1996). Exploratory consumer buying behavior: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13(1), 121-137   DOI   ScienceOn
29 Hansen. H. L. (1997), Marketing text, cases and reading. NY: Homewood
30 송정민. (2005). 상표 확장개념으로서 매스티지 상표에 대한 광고태도와 구매태도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Kirmani, A., Sood, S., & Bridges, S. (1999). The ownership effect in consumer responses to brand line streches. Journal of Marketing, 63(1), 88-101   DOI   ScienceOn
32 Mehrabian, A., & Russell, J. A. (1974). An approach to environment psychology. Cambridge, MA: MIT Press
33 Mandler, G. (1982). The structure of value: Accounting for tastes. Affect and Cognition: The 17th Annual Carnetie Symposium, 2-26
34 이은경. (2007). 모바일 패션쇼핑의 특성과 지각된 위험이 지각된 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5 임숙자, 이지형. (1997). 상표 이미지 일치가 상표 확장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인지도가 높은 여성의류상표를 중 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1(6), 959-969
36 조필교. (1996). 의복관여와 유행혁신성, 유행의견선도력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4(5), 223-234
37 홍수화, 김미영. (2008). 해외 패션 고급품의 원 상표와 확장 상표의 이미지와 선호도. 한국의류학회지, 32(10), 1640-1650
38 Motlery, C., & Reddy, S. K. (1998). Vertical extensions: Leveraging brand equity to move up and down market. Urbana-Champaign: University of Illinois
39 Gatignon, H., & Robertson, T. (1985). A propositional inventory for diffusion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1(3), 849-867   DOI   ScienceOn
40 Hirschman, E. C. (1984). Experience seeking: A subjectivist perspective of consumptio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2(1), 115-136   DOI   ScienceOn
41 전대근, 이은영. (2008). 성인여성의 내재적 혁신성이 관여와 유행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2(11), 1739-1749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42 Loken, B., & John, D. R. (1993). Diluting brand beliefs: When do brand extensions have a negative impact? Journal of Marketing, 57(3), 71-84   DOI   ScienceOn
43 심성욱. (2004). 브랜드 확장에서의 광고 효과. 광고학연구, 15(5), 131-151
44 Dube, L., Schmitt, B. H., & Bridges, S. (1992). Categorization research and brand extension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9, 141-142
45 Tauber, E. M. (1988). Brand leverage: Strategy for growth in a cost-control world.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5), 26-30
46 황선진, 송기은, 이윤경. (2003). 조정변수로서 소비자의 유행관여, 상표친숙성, 부정적 정보가 의류상표 확장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1), 9-17
47 Farquhar, P. H., Herr, P. M., & Fazio, R. H. (1989). Extending brand equity to new categories (Unpublished working paper). lowa: lowa State University
48 Romeo, J. B. (1991). The effect of negative information of the evaluation of brand extensions and the family brand. Advanced in Consumer Research, 18(3), 399-406
49 Tepper, K., Bearden, W. O., & Hunter, G. L. (2001).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8(1), 50-66   DOI   ScienceOn
50 고은주, 윤선영. (2004). 패션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정장, 캐주얼, 스포츠 브랜드의 비교. 한국마케팅과학연구, 14(1), 178-206
51 Aaker, D. A., & Keller, K. L. (1990). Consumer evaluations of brand Extensions. Journal of Marketing, 54(1), 27-41   DOI   ScienceOn
52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 1-22   DOI   ScienceOn
53 Park, S., Milberg, S., & Lawson, R. (1991). Evaluation of brand extension: The role of product level similarity and brand concept consistenc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8(September), 185-193   DOI   Scienc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