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50/JKSCT.2008.32.5.788

Modular System Expressed in Structural System of Fashion Since the Late of 20C -Focusing on the Fashion of Yeohlee Teng, John Ribbe, and Galya Rosenfeld-  

Yang, Hee-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v.32, no.5, 2008 , pp. 788-79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Since the late 20C, a lot of fashion designers have considered about new construction system in fashion. Many arguments about architectural form and construction system have being supported on enlargement of range of functionalism fashion through the consideration about new shape and combination among various any other spheres. Modular concept, which is able to divide complex construction of integration into separated basic unit and use various and liberal arrangements, is regarded alternative idea of economic construction that creates new shape and constructive beauty through the simple operation and changing combination continuously. Specially, fashion designs of Yoehlee Teng, John Ribber, and Galya Rosenfeld are estimated that they are effectively utilized architectural modular system pursuing multi-function and multi-change in fashion. Modular system utilized in fashion construction will be classified as follows: 1) layering system of Yoehlee Teng, 2) combine system of john Ribber, and 3) lego system of Galya Rosenfeld. This thesis will presents beneficial guide for simple and practical functionalism fashion design development in 21C.
Keywords
Modular system; Layering system; Combine system; Lego syste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마틴, 제이. (1996). 모더니티의 조망체계-미술과 건축공간의 해석. 서울: 시각과 언어
2 양희영. (2007). 현대 패션에 나타난 연속성의 조형적 특성-베르그송과 들뢰즈 이론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이승신. (1998).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기능주의와 표현주의: 복식과 건축의 유사성 고찰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Bradly, Q. (2002). Techno fashion. New York: Berg
5 Bradly, Q. (2003). The fashion of architecture. New York: Berg
6 다이안, 그렉. (2002). 모더니즘 이후의 현대 건축. 최왕돈 역 (2003). 서울: 시공아트
7 김석철. (2005). 20세기 건축. 서울: 생각의 나무
8 강은정. (2002). 디지털 정보화 시대의 공간디자인 형태 특성에 관한 연구-모던, 포스트모던 시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황인선. (2002). 20세기 이후 실내디자인과 패션에 있어 조형적 상관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용성, 정철오. (2005). Smart Space. 서울: 현대건축사
11 노은주. (2003). 현대 건축에 있어 공간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나영원. (2003). 복식에 표현된 트랜스포메이션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Stern, R. (2004). Against fashion. London: MIT Press
14 원윤경. (2002). 르 꼬르뷔지에 건축에서 신체인식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전은영. (2000). 예술영역의 탈장르화와 확장성에 관한 고찰.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눈문
16 이건섭. (2005). 20세기 건축의 모험. 서울: 수유산방
17 Steel, N. V. (2001). Extreme beauty-the body transformed. NY: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Press
18 양희영, 양숙희. (2006). 1990년대 이후 패션에 나타난 건축적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공간 구성 방식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복식, 56(7), 85-100   과학기술학회마을
19 오현선. (2003). 몸의 관점으로 본 현대 건축의 표현양상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