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50/JKSCT.2007.31.8.1252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Korea Traditional Patterns for Fashion Cultural Products  

Hyun, Seon-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Bae, Soo-Jeo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v.31, no.8, 2007 , pp. 1252-126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s used for fashion cultural product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ange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through literature review, previous researches, and market surveys and analyzed the situation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and the kinds, expression methods, expression techniques, and repeat styles of utilized pattern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use of traditional pattern, the most frequently-used fashion cultural products were small and inexpensive accessories, followed by fashion apparel, miscellaneous goods, and living cultural goods. Second, the most frequently-used traditional patterns were plant patterns, especially flower patterns. The next frequently-used ones were mixed patterns, especially in the mixture of flower and letter patterns, and $cloisonn\ and flower patterns. The next frequently-used traditional patterns were animal patterns(especially butterfly patterns), followed by geometric patterns, lucky omen patterns, and letter patterns. In the expression methods of used patterns, most products except handicrafts preferred simplified patterns to real patterns. Finally, in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traditional patterns, the most frequently used technique was traditional embroidery, followed by the use of weaving fabrics such as fine gauze and brocade which are used for Hanbok. Also, transfer dyeing which is one of printing techniques, DTP(digital textiles printing), a mixed technique which adds embroidery to weaving fabrics, hand-painting, and a gilt technique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st fashion cultural products except few designers' works attached weight to some specified patterns and expression techniques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s since there is little understanding of a variety of patterns and are few researches and development on expression techniques.
Keywords
Fashion Cultural Products; Traditional Korean Pattern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매일경제연구소. (1997). 보고서, 우리나라 문화상품의 디자인개발 전통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 매일경제연구소
2 문화관광부. (1998). 패션디자인 문화상품 개발. 육성 방안 연구. 서울: 문화관광부
3 문화관광부 (2000). 공예문화상품 통계조사 및 현황분석. 서울: 문화관광부
4 문화관광부. (2004). 공예문화관광상품 제작 유통 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문화관광부
5 민속학술자료총서 . (2002). 전통복식2. 서울: 우리마당터
6 박순천. (2006). 한국 전통암각화 문양을 응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1)-울산 반구대 암각화의 거북, 배, 사람얼굴 문양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56(6),33-44   과학기술학회마을
7 이미석. (2006). 고구려 와당(瓦當)문양을 응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복식, 56(6), 87-95   과학기술학회마을
8 임영주. (1998). 한국전통문양. 서울: 예원
9 홍희숙. (2001). 추구혜택과 패션이미지가 제주지역 패션문화상품 갈옷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2),3-4
10 독자의 소리, '인사동 공예품 '토종'도 많다'. (2005, 9. 21). 경향신문. 자료검색일 2005, 10, 2, 자료출처 http://news.khan.co.kr
11 김혜경,이지영,이혜성. (2004),단청문양을 응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4), 415-420
12 한국관광공사. (2004a). 외래관광실태조사 결과보고서. 한국관광공사. 자료검색일 2005,5.4,자료출처 http://knto.co.kr
13 이연순. (2000). 직물디자인. 서울: 형설출판사
14 김현주, 서수현,장남경. (2005). 태극기를 응용한 패션상품 개발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복식,55(4), 1-15
15 산업자원부. (2000). 전통소재에 의한 한국문화상품의 특성화 연구. 서울: 산업자원부
16 이진화,김민자,이진민. (2005) 한국 패션문화상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대응전략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7),971
17 장소영. (2002). 디지털 날염을 이용한 운화장품. 경희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8 신혜선. (2002). 한국 단청문양을 모티브로 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안에 관한 연구-의상디자인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박윤정. (1999). 한국전통문양을 응용한 넥타이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한국관광공사. (2004b). 관광지. 한국민속촌. 자료검색일 2005. 6.20,자료출처 http:// visitkorea.or.kr
21 정진순. (2004). 연꽃문양을 이용한 직물디자인 개발 및 문화상품제작(1)-연꽃문양의 자료조사 및 문화상품 사례조사를 중심으로,한국의류산업학회지, 6(2),135-143
22 서현화. (2001) 섬유를 소재로 한 문화상품 개발 연구-한국 전통이미지 중심으로-. 한국공예논총, 4(1), 47-57
23 김희수. (2000). 도깨비 문양의 상징성을 이용한 웹사이트 디자인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박옥련. (2000). 한국전통복징 문양사. 서울: 형설출판사
25 박종수. (1997). 문화의 상품화를 통한 수출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방안. 국제상학, 13(3),78
26 국립중앙박물관. (1998). 한국전통문양.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27 조효숙,김선경,이은진. (2004). 전통 모란문을 응용한 크리스마스용 소품 개발. 한국문화학회, 7(3), 81-88
28 김태선. (2000). 뮤지엄 샵 활성화를 위한 운화상품 발전방안 연구-국내.외 박물관의 문화 상품 현황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문은아 (2002). 문화상품 산업화를 위한 디자인 기획 방향에 관한 연구-감성 요소 중심으로,한국디자인포름, 7,152
30 임영주. (2004). 한국의 전통문양. 서울: 대원사
31 문화관광부. (2001) 문화산업백서 서울: 문화관광부
32 김소형 (2005)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전통조각보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