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50/JKSCT.2007.31.5.777

A Study on Graffiti Expressed in the Modern Fashion  

Kim, Sun-Young (Dept. of Fashion Desig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v.31, no.5, 2007 , pp. 777-78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various characteristics in the graffiti-look in the modem fashion by interpreting meanings and properties of graffiti, transferred from street art to a new main stream in art.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works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and the materials for the literatures and exploratory study are fashion-related portfolios and the domestic and foreign fashion magazines. The first characteristic is satire. The graffiti-look conveys directly or indirectly with phrase or symbol various messages of politics, social ideology, wealth and poverty, environmental pollution, anti-war, etc. Body is even more used for graffitiand designers express freely their identity or ideology through the formative style of graffiti.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pleasure. Fantastic expressions from a fairy-tale or fable in the graffiti-look give humor meaning freedom and sense of liberation in a sense of catharsis to the modem people's emotion. The graffiti-look uses graffiti works to introduce its original message of humanism, happiness, humor, etc. to clothing; as a result, the graffiti-look features pleasure. The third characteristic iscommercial application. Brand logo designed by graffiti style is decorated with clothing, accessory, or ornament. This may not only emphasize brand name through lingual function of graffiti, but also be used for a distinctive marketing strategy against other brands. Logo which is regarded motive or pattern of design leaves a image instead of a meaning and performs a design function stressing formative sense.
Keywords
Satire; Pleasure; Commercial applic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서현수. (2004). 현대패션에 나타난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연구, 복식, 54(2), 135-148
2 이윤진, 박명희. (2003), 현대의상에 나타난 유머성, 복식, 53(5), 33-48
3 이재정, 박은경. (2004). 라이프스타일과 트랜드. 서울: 예경
4 이태호. (1989). 장내미술과 장외미술. 서울, 월간미술
5 장애란, 고은숙 (2006). Jean Michel Basquiat의 그라피티를 응용한 패션페인팅. 대한가정학회지, 44(6), 23-34   과학기술학회마을
6 채금석. (1995). 현대복식미학 서울: 경춘사
7 최신경. (1993). 장 미셀 바스키아의 작품세계 연구. 성신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하지수. (1994). 현대패션에 표현되는 유희성. 복식, 22,71-83
9 Artistic License. (2003, 4). Harper's Bazaar, p. 120
10 Funny Prints. (2001, 3). Vogue Korea, p. 89
11 Marilyn, H. (1981). The second skin.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12 Martha, C. & Henry, C. (1995). Subway art. London: Thames & Hudson
13 김인숙, 김경옥. (1999) 현대패션에 표현된 키치연구. 복식, 47. 143-160
14 Carol, S. (1992). 클릭 서양미술사. 김호경 역 (2000).서울: 예경
15 서승미. (2005). 현대 예술의상에 표현된 데포르마숑 이미지, 복식, 55(7), 38-50
16 임은혁. (2003). 21세기 전환기 하이패션에 나타난 하위문화 스타일. 복식, 53(2), 71-86
17 황은진. (2004). 대중문화에 나타난 장 미셀 바스키아의 작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로고가 커졌어요. (2006, 5. 24). 조선일보., p. A28
19 박성봉 (1994) 대중예술의 이론들. 서울: 동연
20 이효진. (2004). 데님의상의 현대문화사적 분석. 복식, 54(8), 75-86
21 김순자. (2002). 펑크스타일의 상징적 의미와 영향에 관한 연구. 복식, 52(6), 139-164
22 월간미술. (1999). 세계 미술용어 사전 서울: 월간미술
23 김정혜. (2005). 패션이 사랑한 미술. 서울: 아트북스
24 위재선, 나수임. (2004). 현대복식에 나타난 팝아트 요소의 코드화. 복식문화연구, 12(3), 441-454
25 황요섭 (2002). 키스해링의 작품에 나타난 대중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장소현. (1983). 현대의 프리미티브 아트. 서울: 공간
27 Turner, J. (1996). The Dictionary of Art 13. London: Grove
28 현대미술 코드를 잡아라. (2006, 2. 21). 조선일보, p. A21
29 진경옥, 박민여. (2000). 포스트모던 패션에 표현된 혼성모방, 복식, 50(5), 143-158
30 이효진. (2002) 서양복식에 나타난 그라피티의 기호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0(3), 213-235
31 장정임, 안민영, 이연희. (2006) 바스키아 회화를 이용한 힙합웨어 디자인. 복식문화 연구, 14(1), 153-167
32 정현숙, 정흥숙 (1997). 포스트모던 복식에 표현된 페미니즘 연구. 복식, 35,231-252
33 이미연 (2005) 티셔츠상품에 활용된 원 포인트 그래픽의 시각이미지 분석. 복식, 55(8), 15-29
34 김주영, 이정후, 양숙희. (1997) 현대복식에 나타난 그라피티기법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5(3), 77-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