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of Tuxedo-Look in the Modern Women Fashion  

Kim, Sun-Young (Dept. of Fashion Desig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v.30, no.9_10, 2006 , pp. 1476-148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s on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of Tuxedo-Look in the modern women fashion from 1990s to the present. It could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aspects and the sense of beauty of the modern fashion. This study is performed by reviewing the precedent studies, related literature and deploying fashion portfolios,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shion magazines for the exploratory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uxedo-Look expresses the androgenous image which weakens the superficial message of masculinity or femininity and produces the unified image of men and women. Tuxedo-Look, a symbolic male dress item, is brought in the women clothes and it is recreated by design modification, new wearing style, and producing effects. Second, Tuxedo-Look emphasizes femininity by using a exposure and body line stressed design and matching the women dress items with various materials and colors or tuxedo. Third, Tuxedo-Look suggests a dismantling point of view such as exaggeration, distortion, secession, and breaking from the convention. Tuxedo-Look expresses uncertain value by breaking up the symbolic valueby coordinating with casual items and denies formal construct of tuxedo such as perfect balance, symmetrical silhouette, formality, totality.
Keywords
Androgyny; Femininity; Dismantlis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세영. (1995). 현대 남성복의 조형적 특성에 나타난 양성화 경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진경옥, 박민여. (2000). 포스트모던 패션에 표현된 혼성모방. 복식, 50(5), 143-158
3 패션 큰사전 편찬위원회. (1999). FASHION Dictionary. 서울: 교문사
4 권수애, 이은경, 최종명. (2005). 현대 사회와 패션. 서울: 교학연구사
5 신인수, 임상임, 김혜경, 이진희. (2003). 현대 패션의 이해. 서울: 교학연구사
6 Tux look. (2004, 12). Vogue Korea, p. 171
7 김지연, 이경희 (2001). 현대 패션에 나타난 인체노출의 감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5), 913-924
8 이미숙. (2003).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카무플라주 패턴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은실, 배수정. (2000). 장 폴 골티에의 작품에 나타난 해체주의 양식의 고찰. 가정과학연구, 10, 60-71
10 김지연, 전혜정. (1997). 복식에 나타난 해체주의 양식 연구. 복식, 32, 293-312
11 Baudrillard, J. (1970). La societe de consommation. Paris: Gallimard
12 타이콘 패션연구소. (1997). 남자의 옷 이야기1. 서울: 시공사
13 김기례, 채금석.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블랙드레스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8), 1076-1087
14 김은실. (1999). 페미니즘이 1990년대 패션에 미친 영향. 전남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허정선, 금기숙. (2004). 패션아트에 나타난 몸의 왜곡과 변형에 관한 연구. 복식, 54(3), 145-158
16 김민자. (2004). 복식미학강의2. 서울: 교문사
17 Grove, J. (1971). Fashion. London: Macmillan Education Ltd
18 성광숙, 이순홍. (2004). 서양복식에 나타난 양적과장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II. 복식, 54(7), 151-164
19 곽혜선, 금기숙. (1998). 흑색의상의 조형성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복식, 37, 231-252
20 김혜영, 김유연. (2005). 모더니즘을 통해 구현된 패션의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55(1), 43-58
21 고현진, 김민자. (2004). 복식에 표현된 미적 개념으로서의 엘레강스. 복식, 54(5),95-108
22 김성곤. (1998). 탈구조주의의 이해. 서울: 민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