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정성혜. (1990). 미국 Sportswear에 관한 연구-Claire McCardell, Cavin Klein, Ralph Lauren, Donna Karan을 중심으로-. 복식, 15, 217-231
|
2 |
하지수. (2002). 1990년대 절충적 기능주의 패션의 미적가치. 복식, 52(5), 155-172
|
3 |
Fiore, A. M., & Kimle, P. A. (1997). Understanding aesthetics for the merchandising and design professional.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Inc
|
4 |
Stone, E. (2004). The dynamics of fashion.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Inc
|
5 |
한은주. (2002). 1990 년대 스포츠 패션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6 |
정정미. (1996). 하이패션에 나타난 스포츠 스타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7 |
정재희. (1992). 20세기 여성 스포츠웨어에 관한 연구. 중앙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8 |
김숙현. (2001).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포티브 트렌드의 수용현황과 배경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9 |
이영민. (1993). 스포츠웨어에 관한 연구-미국 스포츠웨어의 전통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10 |
엄준희, 김민자. (2003). 1990년대 이후의 액티브 스포츠웨 어의 트렌드 분석. 섬유기술과 산업, 7(4), 409-427
|
11 |
Buxbaum, G. (1999). Icons of fashion the 20th century. New York: Prestel
|
12 |
노혜은. (1992). 1960년대 High fashion에 나타나는 Sportive fashion. 장안논총, 12
|
13 |
복식대사전. (1995). 서울: 라사라 출판사
|
14 |
김이영. (2003). 스포츠웨어의 디자인 프로세스. 섬유기술과 산업, 7(4), 457-470
과학기술학회마을
|
15 |
조소희. (2004, 9. 8). 스포츠웨이 및 레저웨어 마켓의 현재 와 미래. 삼성패션연구소. 자료검색일 2005, 5. 7, 자료 출처 http://samsungdesign.net/include/report
|
16 |
박경연, 유태순. (1999). 스포츠웨어가 대중 패션디자인 요 소에 미친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4), 342-348
|
17 |
Calasibetta, C. M., & Tortora, P. (2003). The fairchild dictionary of fashion. (3rd ed.).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Inc
|
18 |
Polhemus, T. (1994). Street style. London: Thames and Hudson
|
19 |
김지현. (2002). 현대 패션에 나타난 스포티브룩에 관한 연구 -1990 년대 이후 pret a porter collection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20 |
임은안. (1999). 현대 스포츠패션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