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Change in Hanbok of South and North Korea after the Division and the Interexchange -Focusing on Women's Jeogori-  

Chang, In-Woo (Dept. of Fashiion & Industry, Incheo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v.30, no.1, 2006 , pp. 106-11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recent changes in construction, design, and technical vocabulari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of the Korean woman's top(Jeogori), which is a main part of her traditional costume(Hanbok). After Korea War, Korea was divided into two countries(the division), and there was littl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until 1972(the interexchange). Thus, this study will compare two time periods: 1953-1972 and 1972 to recent times. Hanbok construction books published in both Koreas are evaluated here to see wha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existed during these two periods. Women in the North continued to wear their traditional costume(renamed the Chosunot in the North) as daily clothing, but women in the South began saving the Hanbok only for parties and ceremonies. As the North Korean government controlled its peoples dress and continued to make changes, the North kept developing new technical vocabularies, but the South continued to use the same terms fur the Hanbok. From the end of the 1990s, the Chosunot had become more and more similar to the Hanbok in colors, shapes, and materials.
Keywords
Hanbok; Chosunot; Technical Vocabularies; Differences; Similariti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경공업위원회 피복연구소. (1995) 조선민족옷. 평양: 외국문 종합출판사 인쇄공장
2 리유미. (1995). 조선민족의상. 평양: 평양종합 인쇄공장
3 북한 최고의 한복 디자이너 양일순씨. (2002,4. 16). 중앙일보. 자료검색일 2003,7. 3, 자료출처 http://nk.joins.com/article
4 소황옥. (2004). 전통한복-여자한복만들기. 서울: 경춘사
5 양숙향 (2001) 전통의상디자인. 서울: 교학연구사
6 이기춘, 이기영, 이은영, 이순형, 김대년, 박영숙, 최연실,민현선,박미영. (2000) 남북한 생활문화의 이질화와 통합(IV). 대한가정학회지, 38(4),177-196
7 이희승. (1986). 우리말대사전. 서울: 민중서림
8 임상임,유관순. (1999) 한복구성. 서울: 교문사
9 황춘섭. (1977). 우리나라 옷에 대한 현대인의 의식과 착용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창간, 119-125
10 金如璟. (2001) 북한전통복식문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홍나영,김남정,김정아,김지연. (2004) 한복만들기. 서울: 교문사
12 이기춘,이기영,이은영,이순형,김대년,박영숙,최연실. (1998) 남북한 생활문화의 이질화와 통합(II). 대한가정학회지, 36(11),231-250
13 남북교류사. (2001). 통일부. 자료검색일 2003, 7. 3, 자료출처 http://www.korea Dmz.com/Gangwon, Cyber DMZ
14 김분옥. (1983). 韓服構成學. 서울: 수학사
15 서옥경. (2002). 한국의상구성, 서울: 경춘사
16 손정규. (1935) 朝鮮裁縫參考書. 경성: 大海堂 印刷株式會社
17 첫 삽 뜬 개성공단. (2003,7. 2). 중앙일보. 자료검색일 2003,7. 3,자료출처 http://nk.joins.com/article
18 이기춘, 이기영, 이은영, 이순형, 김대년, 박영숙, 최연실,민현선,박미영 (2000) 남북한 생활문화의 이질화와 통합(V). 대한가정학회지, 38(5),55-77
19 김여경, 홍나영. (2004) 북한전통복식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54(6),53-64
20 박영순. (1994). 전통한복구성. 서울: 신양사
21 이주원. (1987). 한복구성학. 서울: 경춘사
22 박선영. (2001). 전통한복구성학. 서울: 수학사
23 백영자. (1996). 한국의 봉제. 서울: 교학연구사
24 손경자. (1990). 전통한복양식. 서울: 교문사
25 이기춘,이기영,이은영,이순형,박영숙,김대년,최연실. (1997). 남북한 생활문화의 이질화와 통합(I). 대한가정학회지, 35(6),290-315
26 이선재 (1993). 북학주민의 복식에 관한 고찰-북한문화연구-, 제1집. 서울: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7 최선형, 정인회, 강순제. (1998). 한국도시 여성의 한복착용 및 구매실태. 한국복식학회지,37,33-46
28 구혜자. (2001). 한복만들기. 서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9 경공업성피복연구소. (주체91/2002). 민족옷. 평양: 외국문 인쇄공장
30 역어유해(譯語類解). (17세기/1974). 영인본 국어국문학자료시리즈. 서울: 亞細亞文化社
31 한국산업인력공단. (2002). 한복실기. 서울: 한국산업인력공단
32 李正玉, 南厚先, 陣玄善. (1999). 쉽고 재미있는 韓服構成學. 서울: 형설출판사
33 언어이질화. (2000,12. 28). 중앙일보. 자료검색일 2003,7. 3, 자료출처 http://nk.joins.com/article
34 최영미,조효순. (1989). 韓服의 購買行動 및 購買要因에 關한 分析研究. 한국복식학회지, 13(0), 135-150
35 김정호,이미석 (2002). 우리옷만들기. 대전: 한남대학교출판부
36 김분칠. (1876). 한복구성학. 서울: 교문사
37 박경자,임순영. (1983). 한국의상구성. 서울: 수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