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Make-up illustrations Based on Deconstruction  

Lee Jae Yeol (Dept. of Cosmetology, Kwangju Health College)
Gu Ja Myung (Dept. of Fashion Art & Design, Hansu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v.29, no.3_4, 2005 , pp. 414-42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new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ake-up design by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on make-up and to search for new directions and methods in theme expressions and design conceptions by making illustrations with deconstruction themes. This study examines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Derrida's deconstruction, and analyzes the various deconstruction make-up styles through the famous fashion magazines such as Beauty Collection, Collections, Fem, Modain, and Vogue since 1997. The make-up illustration works in this study were made depending on these styles. At first, the nature of deconsouction make-up can be explained as deconstruction of existing methods, deconstruction of the sexes and deconstruction of history or ethnicity. The deconstruction of existing methods can be subdivided into decadence make-up, detester make-up, graphic make-up and collage make-up. Deconstruction of the sexes can be explained androgynous make-up. Deconstruction of history or ethnicity is subdivided into white makeup, ancient Egyptian dark eye make-up and raceless make-up. The deconstruction make-up illustrations present infinite possibilities in expression styles through three dimensional expressions and media mixture using not only drawing materials including watercolor, poster-color, and color pencils but also objets including magazines, coarse fabrics, screentone, beads, suede, sand and so on. The study shows that since deconstruction make-up illustrations are not limited to depiction-centered expressions, they serve creating unique images and future inspirations.
Keywords
Deconstruction; Deconstruction make-up; Make-up Illustr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주현 (1999). 현대복식에 나태난 해제쥬의전 표현과 그 수용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김혜정 (1998) 현대 건축형태 구성과 해체주의 패선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이광래 (1989) 해체주의란 무엇인가. 서울.교보문고
4 조말희.(1997) 현대복식에 나타난 해체주의의 조형적 특성 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조미영.(1999) 현대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해체현상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Modain. No.105. (1997). Italy
7 김영호 (1998). 시각디자인의 구성 원리. 서울: 태학사
8 임광숙 (1998). 해제디자인의 문화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Francois, B. (1999). Century of Fashion. London: Thames & Hudson
10 이상봉.(2003). 뷰티 일러스트레이션의 활용과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예술 학회지, 4(1), 11-13
11 Make-up Art. (2003 , 7) 한국분장예술인협회
12 Vogue Korea. (1998, 12). 한국
13 이연희, 이화진 (2003). Make-up Design 서울: 청구문화사
14 Vogue Korea. (2001,4). 한국
15 김경아 (1999). 1990 년대에 나타난 Less 경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석사학위 논문
16 정삼호.(1996). 현대 패션 모드. 서울.교문사
17 윤소정.(1996). 해체주의적 복식디자인에 관한 연구 탈형식의 코디네이션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김형효. (1993). 데리다의 해체철학. 서울: 민음사
19 이영애, 김영규, 노선옥, 이귀영, 김선영 (2002). Beauty Illustration. 서울: 청구문화사
20 Collections II. (2000). Japan
21 김정화. (2002) 현대 해제주의 메이크업 표현에 관한 연구. 1990년대 후반 패션쇼를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2 크리스토퍼 노리스, 앤드류 벤자민. (1996) 청람 번역팀 옮김. 해체주의란 무엇인가 서울.도서출판 청람
23 Beauty Collection. Vol.2. (2003). 한국
24 엘지 한방화장품 광고. (2003, 9. 15) 주간신문코스메틱. p. 8
25 Beauty Collection. Vol.1. (2003). 한국
26 김지연 (1997) 복식에 나타난 해체주의 양식 연구: 건축과 복식의 비교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7 김현미.(2000). 현대 패션에 나타난 해체주의 메이크업 특성: 1990 년대 후반 켓워크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