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Some Characteristics of Family Policy in Korea During Roh, Moo Hyun Government, 2003-2008  

Kim, Mi-Sook (청주대학교 사회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v.31, no.3, 2008 , pp. 27-5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paper tries to introduce most recent trends of Korean family policies during Roh, Moo Hyun Government of March 2003-February 2008. Focusing on the gender perspectives, discussions are, for heuristic purposes, centered around three major family issues in S. Korea, one of the most dynamically changing societies in the world: 1) the abolishment of male-centered traditional Family Registry System('the hoju') and the launching of brand-new Family Record Book of five different versions for individual from January 2008; 2) the application of Framework Act On Healthy Homes, a first formal measure to step in various forms of family break-ups these days; and 3) the emergence of Multi-Cultural Family Protection Act, thanks to a massive volume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s from overseas. It can be said that all these family policies are the result of rapidly changing socio-demographic trends into an aging society since 1990s. These trends include late/no marriage with low birth rates, high divorce(and thus remarriage) rates, breakdown of male-breadwinner family model and increase of dual-income family, and a sudden increment of international marriage particularly in rural areas. All in all, overall trends of Korean family life these days that have been taking place so far would provide an excellent exemplary how to deal with an unprecedented societal challenges with the brand-new family policies.
Keywords
Roh; Moo Hyun Government; Family Registry System; Family Record Book; Framework Act On Healthy Homes; Multi-Cultural Family Protection Ac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이선.황정미.이진영 (2007) 다민족.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I): 한국사회의 수용현실과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 구원 연구보고서
2 내일신문(2008) "가족증명서=사생활노출증명서." 내일신문 9월 4일
3 박의경 (2007) "참여정부의 여성정책에 대한 평가: 정당의 공약에서 정책으로" 여성연구 73: 159-187
4 보건복지부 (2006)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06-2010, 새로마지플랜 2010
5 양현아 (2006a) "여성주의정책으로서의 한국 가족정책의 원리모색" 심영희 외 편: 한국 젠더정치와 여성정책 나남출판, 325-364
6 여성신문 (2006) "건강가정기본법 '가족정책기본법'으로" 여성신문 2006년 9월 22일
7 여성신문 (2008) "가족관계등록법법률개정위한 진정인단모집" 여성신문 2008년 7월 11일
8 윤현덕 (2005) "2005년 여성정책의 성과" 여성정책포럼 한국여성개발원
9 장혜경 (2003) 전국가족조사 및 한국가족보고서 여성부
10 조진우 (2007) "10년간의 여성정책의 득실과 향후 10년간의 여성정책의 방향" 젠더뷰 7: 7-12
11 통계청 (2005) 2004 한국의 사회지표 www.nso.go.kr
12 여성부 홈페이지. http://www.moge.go.kr/
13 은기수 (2008) "인구구조의 양적, 질적 변화와 쟁점" 한국사회학회 창립60주년 기념 학술대회발표논문
14 박선영 (2008) "새로운 여성정책을 위한 헌법 개정방향" 젠더리뷰 9: 25-38
15 김현미 (2008) "이주자와 다문화주의" 현대사회와 문화 26:57-78
16 이재경.김혜영.마경희.이윤석.조영미.함인희.황정미 (2004) 한국가족의 현실과 변화 여성부
17 장혜경.정기선.김영혜.박경은.이은나.박지혜.이승애.이지혜 (2007) 경 기도 내 국제결혼 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정책적 자원방안연구 경기 도가족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18 변화순.최윤정 (2004) 가족정책 방향정립 및 통합적 시행방안 연구 한국 여성개발원
19 양애경.이선주.최훈석.김선화.정혁 (2007)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지역 사회의 수용성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 국회법률지식정보시스템 (2005) 국적법 제 8조 부칙 제 7499호 5월 24일. http://www.assembly.go.kr
21 한국여성단체협의회 (2006) "4대중점사업: 출산 및 건강가정운동-건강가정기본 법" 여성 3.4월호: 12-15
22 김은희 (2008) "이명박 정부 여성정책, 갈길을 묻다" 젠더리뷰 9: 15-24
23 성효용 (2006) "참여정부 보육정책의 재정적 검토" 여성연구 70: 27-46
24 공선영.김미숙.김종숙.김현주.김혜경.박옥희.송유진.이동원.이여봉. 장화경.장혜경 (2005) 우리 시대 이혼이야기 양서원
25 헌법재판소. http://www.ccourt.go.kr/
26 김혜경 (2005) "'건강가정기본법'의 제.개정을 둘러싼 담론에 대한 연구" 여성과 사회 16: 21-41
27 변화순 (2002) "혼인상태" 한국의 인구 I 김두섭.박상태.은기수 편: 219-245
28 통계청 홈페이지. http://www.nso.go.kr/
29 황정미.김이선.이명진.최현.이동주 (2007)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30 한국여성단체협의회 (2006) "특집: 저출산.고령화대책 연석회의"여성 1. 2월호: 5-11
31 양현아 (2006b). "1990년대 한국가족정책의 과제: 모성보호정책과 호주제도 개 혁론을 중심으로" 심영희 외편한국젠더정치와 여성정책 나남출판, 111-141
32 이재경 (2004) "가족에 대한 정의는 필요한가. 가족 위기. 가족변화. 가족개 념의 발상전환을 위하여 한국 여성단체 연합 주최 " 일.가족 함께: 양성평등 가족정책 로드맵 마련을 위한 토론회 2004. 6. 29
33 장경섭.김규원.김승권.김흥주.은기수 (2006) 경제.사회적 양극화시대의 가족정책 여성가족부
34 정민자 (2003) "건강가정 육성기본법(안)의 입법방향과 내용" 한나라당(주최), 대한가정학회(주관) 가족해체 방지 및 건강가정 육성지원을 위한 공청회 자료
35 강희경 (2005) " '건강가정' 담론의 불건강성" 경제와 사회 65: 25-39
36 정영금 (2006) "출산 및 건강 가정운동 - 왜 건강가정기본법이어야 하는가." 여성 11.12월호: 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