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Studies on Mineral Composition of Fault Clay in Quaternary Ipsil Fault: High Resolution Powder Diffraction Analysis  

Park, Sung-Min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Kang, Han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Jang, Yun-Deuk (Department of Ge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m, Chang-Bock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Kim, Jeong-Jin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v.20, no.2, 2007 , pp. 83-8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XRD, HRPD and SEM were used for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of fault clay in fracture zone from Ipsil. Variations of color in fault clay exhibit significant mineral composition difference. Fault clays from Ipsil are composed mainly of smectite, laumontite, and quartz. Laumontite, a distinct fault clay in Ipsil fault, might be resulted from alteration of bed rock in fracture zone based on the result that no laumontite was found near fault rock. Fault clays from Ipsil are composed mainly of smectite.
Keywords
fault; fault clay; laumontite; smectite; fracture zon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장태우, 채연준 (2004) 울산단충 동부지역 제4기 단층 비지대에서 단층작용과 열수활동. 지질학회지, 40, 469-479
2 장태우, 추창오 (1998) 양산단층대의 단층작용 과정 과 단층비지의 K-Ar 연령. 지구과학회지, 20, 2537
3 Lee, H.K. and Schwarcz, H.P. (2001) ESR dating of the subsidiary fault in the Yangsan fault system, Korea. Quaternary Sic. Rev., 20, 999-1003   DOI   ScienceOn
4 손승완, 장태우 (2001) 경상분지 동남부 제4기 단층 비지대의 지구화학적 연구. 2001년도 지질학회춘계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214-217
5 정창식, 권성택, 김정민, 장병욱 (1998) 경상분지 북부에 분포하는 온정리 화강암에 대한 암석화학적, 동위원소 지구화학적 연구: 경상분지 다른 지역과 서남 일본 내대에 분포하는 백악기-제3기 화강암류와의 고찰. 암석학회지, 7, 77-97
6 정창식, 최만식, 검현철, 임창복 (2001) 다검출기 유도결합플라즈마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경주 입실, 장항리 단층 파쇄대 충진 탄산염암 맥의 Th/U 비 평형 연대측정. 암석학회지, 10, 148-156
7 Tanaka, H., Uehar, N. and Itaya, T. (1995) Timing of the cataclastic deformation along the Akhasi Tectonic Line, cintral Japan, contrib. Miner. Petrol. 120, 150-158   DOI
8 류충렬, 경재복, 김인수 (1997) 울산단층대 동측의 신기구조운동과 지형발달.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제 30차 학술발표회논문집, 14p
9 최범영, 이창범, 류충렬, 최영섭, 김주용, 현혜자, 김유성, 김중렬, 최위찬 (2002) 제4기 말방단층의 기하분석: 시추자료 및 지표자료의 해석, 지질학회지, 38, 163-174
10 양주석, 이희권 (2001) 왕산 단층에서 채취한 단층비지의 ESR 절대연령 측정. 대한지질학회,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한국석유지질학회, 한국암석학회 제 56차 추계 공동학술발표회 초록집, 3p
11 Okada, A., Takemura, K., Watanabe, M., Suzuki, Y. and Kyung, J.B. (2001) Trench excavation surveys across the Yangsan and Ulsan active fault system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Transaction, Japanese Geomor. Union., 22, 287-306
12 이희권, 양주석 (2005) 일광단층의 ESR 연대측정. 지질학회지, 41, 369-384
13 장태우 (2001) 울산단층 동쪽 지괴의 제4기 지구조운동. 지질학회지, 37, 431-444
14 장태우, 채연준, 추창오 (2005) 울산단층 동부지역 제4기 단층 비지대 내 변질광물의 형성, 한국광물학회지, 18, 205-214   과학기술학회마을
15 이봉주, 류충렬, 최위찬 (1999) 경주시 양남면 일대의 제4기 단층, 지질학회지, 35, 1-14
16 문희수 (2000) 단충비지의 점토광물학적 연구와 K-Ar 일라이트 연대측정, 신기지각변형 연구 자문보고서, 214-233
17 이석훈, 정창식, 박찬수, 정기영, 임창복 (2002) 양산 단층대 단충비지의 광물학적 특성 연구, 한국암석학회 한국광물학회 2002년도 공동학술발표회 한국암석학회 창립 10주년 기념 국제학술발표회, 86-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