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 Experimental Study for The Solidifying of Clay Sediments Consisting Soft Foundation By Using Cement and Mineral Admixtures  

Hwang Jin-Yeon (Dept. of Ge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Kang Byung-Joo (Dept. of Ge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Lee Hyomin (Dept. of Ge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Um Jeong-Gi (Dept. of Environmental Exploratio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Cho Tae-Jin (Dept. of Environmental Exploratio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v.18, no.4, 2005 , pp. 301-31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al changes and reaction products with setting time after mixing of various mineral admixtures such as lime, hydrated lime, gypsum, kaolin, zeolite and diatomaceous earth with four types of cement (portland cement, slag cement, quick lime, hydrated lime) and clay rich sediments in soft foundation. As results, slag cement showed the greater compressive strength than normal portland cement. The mixing experiments with various mineral admixtures and slag cement resulted that gypsum showed the greatest compressive strength. Additionally, we conducted mixing experiments with various mixing ratios of gypsum and slag cement. The experiments showed that the mixing ratio of $30\%$ gypum and $70\%$ slag cement has the greatest compressive strength. Ettringite was produced as a reaction Product. This fact indicates that gypsum effectively promotes hydration reaction and contributed to the greater compressive strength. These experimental results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the stabilization of soft clay foundation.
Keywords
soft foundation; clay; solidifying; clay mineral; ce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건설부 국립건설연구소 (1979) 연약지반처리공법보고서(약액주입시험시공). p. 385
2 김병규, 황진연 (1999) 점토와 석회의 혼합에 의한 반응생성물과 물성변화. 한국지반공학회 '99 봄학술발표회 논문집, 505-512
3 이선갑 (1999) 낙동강 하구 녹산공단지역 점토 퇴적물의 광물조성과 토질 공학적 특성.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92
4 Taylor, H.F.W. (1990) Cement Chemistry. london, Academic Press Ltd. p. 475
5 건설부 국립건설연구소 (1977) 연약지반처리공법보고서(약액주입시험시공). p. 328
6 이정우 (2000) 남해안 연약점토의 광물 및 지반공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59
7 한국 토지 공사 (1999) 연약지반의 압밀특성에 관한 연구 I. 연약지바의 압밀 특성에 관한 연구의 최종 보고서, 211-358
8 도덕현, 공길용, 오창목, 유찬 (1995) 고화재를 이용한 천층 및 심층혼합처리공법의 현지 적응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술논문집, 15(4), 1003-1013
9 천병식, 김수삼, 고경환, 오민열, 임해식 (1995) 생석회에 의한 연약지반개량에 관한 기초적 연구. 95년도 한국지반공학회 봄학술발표회 논문집, 21-26
10 대한주택공사 (1989) 고화안정처리에 의한 지반개량 공법 연구, 103p
11 紫崎光弘 外 (1985) 最新樂液注入工法の設計と施工. 山海堂, 70-80
12 건설부 국립건설연구소 (1976) 연약지반처리공법보고서(약액주입시험시공). p. 317
13 김상규, 임희대, 문성권 (1998) 한국 해안에 퇴적된 연약지반의 점토광물의 종류와 분포.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14(6), 73-80
14 송태학 (1995) ECE 공법에 대하여. 95년도 한국지반공학회 연약지반처리위원회 연약지반안정처리시공관리 세미나, 117-132
15 Bell, F.G. (1996) Lime stabilization of clay minerals and soils. Engineering Geology, 42, 223-237   DOI   ScienceOn
16 대한토질공학회 (1986) 건설부 제정 구조물기초설계기준 해설. 408-411
17 건설부 국립건설연구소 (1980) 화학약액에 의한 연약지반고결공법의 개발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28(5), 121-129
18 황진연, 이선갑, 이정우 (1998) 부산지역 연약지반 점토의 광물성분과 물성. 한국지반공학회 '98 가을학술발표회 논문집, 57-64
19 천병식, 임해식, 전진규 (1998) 시멘트계 고화재에 의한 천층개량공법에 관한 연구. 98년도 한국지반공학회 봄학술발표회 논문집, 381-388
20 천병식, 김수삼, 강부건, 고경환, 김준섭 (1996) 생석회공법에 의한 지반개량효과에 관한 연구. 96년도 한국지반공학회 봄학술발표회 논문집, 275-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