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anitic Rocks in the Southeastern Gyeongsang Basin  

Hwang Byoung-Hoon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지질환경과학)
Lee Joon-Dong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지질환경과학)
Yang Kyounghee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지질환경과학)
Ock Soo-Seok (경성대학교 교양과정부)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v.17, no.4, 2004 , pp. 365-38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Granitic rocks in the southeastern Gyeongsang Basin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group I contains various mafic microgranular enclave (MME) and/or mafic clot which implies magma mixing or mingling. The group II show the feature of shallow depth emplacement at low pressure, and the group III is characterized by A-type granite implying extensional tectonic environment.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anitic rocks have showed systematic variations in perthite exsolution temperatures and biotite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ir rock facies, although they do not show any distinctively different trend in geography and textures or rock facies. Amphiboles from Group I are calcic-amphibole and they were formed at 0.4 ~ 2.8 kb in pressure based on the amphibole geobarometry. Amphiboles from group ill are riebeckite, whileas amphiboles were not observed in Group II. The chemical composition of biotite defined in clusters showing a continuous spectrum between group I to ferric-annite of group ill. The composition of plagioclase generally plotted in albite, oligoclase, and andesine area without any distinctive differences among their geography or rock facies. The exsolution temperatures by perthite geothermometry are calculated as $300~400^{\circ}C$ in Group I, and 500~$600^{\circ}C$ in equigranular granite of group II and alkali-feldspar granite of group III.
Keywords
granitic rocks; mineral chemistry; amphibole geobarometry; perthite geothermometr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종선 (2001) 경상분지 남부 지역의 화강암류에 산출되는 포유체의 암석학적 연구: 마그마 불균질 혼합에 관한 고찰. 부산대학교 이학박사 학위논문, 211p.
2 윤성효, 황인호 (1990) 경주 남산일대의 화강암의 암석학 및 지구화학의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11(1), 51-66.
3 좌용주 (1997) 남해지역 금산 미문상화강암에 대한 암석기재. 한국지구과학회지, 18(5), 426-432.
4 Lee, J.I. (1991) Petrology, mineralogy and isotopic study of the shallow-depth emplaced granitic rocks, south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Korea:Origin of micrographic granite. Ph.D. thesis, Univ. of Tokyo, 197p.
5 Schmidt, M.W. (1992) Amphibole composition in tonalite as a function of pressure: an experimental calibration of the Al-in-homblende barometer. Contribution to Mineralogy and Petrology, 110, 304-310.
6 김창호 (1993) 경남 양산군 배태고개-석계 일대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이학석사 학위논문, 68p.
7 고정선(1994) 경주 남산일대의 A-type 화강암류의 지화학적 특징 및 성인. 부산대학교 교육학석사 학위논문, 62p.
8 Hammarstrom, J.M. and Zen, E. (1986) Aluminium in hornblende: An empirical igneous geobarometer. American Mineralogist, 71, 1297-1313.
9 고정선, 윤성효, 이상원 (1996) 경주 남산일대의 A-형 화강암의 암석학 및 지화학적 특성. 암석학회지, 5(2), 142-160.
10 Koh, J.S. (2001) Mineralogical, geochemical and SrNd isotopic characteristics of the Namsan A-type and Gyeongju I-type granitic rocks in the Gyeongsang basin, Korea. Ph.D.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173p.
11 이미정, 이종익, 이민성 (1995) 경주지역의 A-형 알칼리화강암에 대한 광물학 및 주성분원소 지구화학. 지질학회지, 31(6), 583-607.
12 고정선, 윤성효, 안지영, 김향수, 최유종 (2000) 경상 분지내 백악기 화강암류의 정치깊이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1(1), 59-66.
13 조등룡 (1992) 남한에 분포하는 현생 화강암류의 기원에 대한 광물 및 암석화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이학박사 학위논문, 189p.
14 조등룡, 권성택 (1994) 남한의 중생대 화강암에 대한 각섬석 지압계와 지각 두께의 진화. 지질학회지, 30(1), 41-61.
15 신기철 (2001) 유천화강암체내에 산출되는 화강암질 마그마와 염기성 마그마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이학석사 학위논문, 106p.
16 McBirney, A.R. (1993) Igneous petrology.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508p.
17 진미정, 김종선, 이준동, 김인수, 백인성 (2000) 양산시 원효산 화강암에 산출되는 포획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9(3), 142-167.
18 Powell, M. and Powell, R. (1977) Plagioclase-alkalifeldspar geothermometry revisited. Mineralogical Magazine, 41, 253-256.
19 신성천, 진명식 (1995) 한국지질도(1:1,000,000), 한국지질자원연구소(KIGAM).
20 Kim, C.S. and Kim, G.S. (1997) Petrogenesis of the early Tertiary A-type Namsan alkali granite in the Kyongsang Basin, Korea. Geoscience Journal, 1(2), 99-107.
21 Raymond, L.A. (1995) Igneous petrology. Wm. C. Brown Publishers, 742p.
22 Stormer, J.C.Jr. (1975) To each plutonic rock its proper name. Earth Science Review, 12, 1-33.
23 황병훈, 이준동, 양경희 (2004) 양산단층 주변에 분포하는 화강암질암의 암석학적 연구: 양산단층의 수평 변위량. 지질학회지, 40(2), 161-178.
24 Hollister, L.S., Grisson, G.C., Peters, E.K., Stowcll, H.H., and Sisson, V.B. (1987) Confirmation of the empirical conrrelation of Al in hornblende with pressure of solidification of cale-alkaline plutons. American Mineralogist, 72, 231-239.
25 진미정 (1998) 양산시 원효산 남부의 화강암질암체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이학석사 학위논문, 1-61.
26 진명식 (1981) 남한의 백악기 화강암류에 관한 암석학적, 지화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이학박사 학위논문, 144p.
27 황병훈 (2004) 경상분지 남부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질암에 대한 암석학, 동위원소 및 성인.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9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