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669/krsa.2022.38.4.03

A Study on Impact of Top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and use and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rea On the Average Trip Distance of the Senior Citizens: for Busan Metropolitan City  

Jung, Seungjin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Go, Seungwook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Lee, Seungil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v.38, no.4, 2022 , pp. 3-1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s of th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reas and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and transportation on average trip distance of the senior citizens in Busan Metropolitan city. Multiple regression is conducte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conclusions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residential area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average trip distance of the senior citizens. Thus, urban transportation policies need to take account of th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areas. Second, average distance from the nearest subway station and density of bus stops have positive and negative association respectively. Mobility improvement polices for senior citizens should consider urban spatial structure and different approach processes to transportation facilities by modes. Third, mobilit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olicies for senior citizens should take into account differen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locations. This shows that the mobility convenience policy for senior citizens is more necessary than any other policy for administrative dong, where traffic access is relatively low and the single senior citizen population is concentrated.
Keywords
Senior Citizen; Topographic Characteristic of Residential Area; Trips generated from residential are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경기연구원, 2009. "가구소득을 고려한 가구통행발생모형 개발", 「경기연구원 기본연구 2009-11」, 수원.
2 노시학, 1994, "서울시 노령인구의 통행패턴 분석", 「한국노년학」, 14(2), 1-16.
3 노시학.양은정, 2011, "서울시 이동가능 고령인구의 주요 통행패턴과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제도에 대한 인식", 「국토지리학회지」, 45(4), 545-557.
4 노창균.박범진, 2018, "고령자 보행특성을 고려한 경사보행로 시설한계 연구(고령자 보행변수 실측을 통한 보행 시설물 정립 2)", 「대한교통학회지」, 383-391.   DOI
5 부산광역시, 2017, "2030 부산도시기본계획(변경)", 부산.
6 부산광역시, 2019, "2030 부산광역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부산.
7 부산광역시, 2022, "부산시, 「부산 대중교통 비전 2030」 수립.추진", 부산광역시 보도자료(2022. 8. 23.).
8 서울특별시, 2020, "모노레일, 엘리베이터... 서울시 고지대 7곳 이동편의 개선 '신교통수단'", 서울특별시 보도자료(2020. 11. 2.).
9 송인주, 2018. "노인 1인가구의 고립문제와 대안',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018(5), 70-77.
10 양정란.전철민, 2013,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자전거 경로선정에 관한 연구", 「대한공간정보학회지」, 21(3), 3-9.   DOI
11 오병록, 2014.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한 통행특성 분석과 생활권 기준 설정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15(3), 1-18.   DOI
12 이경재.김찬성.이성우, 2021, "교통접근성의 변화가 수도권 통근자의 통근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 2005-2015 -조건부로짓모형을 활용하여-", 「서울도시연구」, 22(2), 77-102.   DOI
13 이경환, 2013, "근린의 토지이용과 대증교통시설 보행접근성이 통근통행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9), 4593-4601.   DOI
14 이숭봉.정동재.장수은, 2015, "도시기반시설과 고령자 통행의 상관관계 분석: 행정동 단위 대중교통 통행유입 모형을 중심으로", 「大韓交通學會誌」, 33(3), 268-275.
15 이주윤.강영옥, 2020, "경사도 에너지 소모량을 고려한 자전거 경로 선택 모형 개발", 「한국ITS학회논문지」, 19(3), 62-74.
16 이주형.강남훈, 2009. "가구원수에 따른 주택유형 선택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2(3), 151-163.
17 이지연, 1996, "高齡化 社會의 老齡 人口 通行패턴 分析: 서울市 住居 老人을 中心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향숙.추상호.김지윤, 2014, "수도권 고령자의 통행사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ITS학회논문지」, 13(2), 68-79.
19 이희연.노승철, 2013, 「고급통계분석론 -이론과 실습-」, 고양: 문우사.
20 이희연.이다예.유재성, 2015, "저소득층 노인 밀집지구의 시.공간 분포와 근린환경 특성 -서울시를 사례로", 「서울도시연구」, 16(2), 1-18.   DOI
21 정은주.정봉현, 2014, "고령자 통행특성과 주거환경 선호요인의 관계에 대한 연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6(5), 161-177.
22 조웅.김형수.노창균.박범진.김명조, 2016, "경사각에 따른 고령자 보행의 하지운동 패턴 변화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0(64), 917-930.
23 추상호, 2008, "고령자의 통행행태 분석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交通硏究」, 15(2), 59-72.
24 추상호.이향숙.신현준, 2013,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한 고령자의 통행행태 변화 분석", 「국토연구」, 76, 31-45.   DOI
25 카마타 요코.강정은, 2021, "대도시 원도심 노후 밀집주거지 빈집 발생, 고착화 및 재사용에 관한 연구: 부산 아미동.초장동을 사례로", 「국토계획」, 56(7), 73-86.
26 통계청, 2021, "2021 고령자통계", 대전.
27 한국은행, 2021, "지역경제보고서(2021.12)", 서울.
28 고준호.김태형, 2013, "보행 경로 선택 행태 분석: 최단경로 선택 요인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14(4), 157-169.   DOI
29 고승욱.김기중.이창효, 2017, "토지이용 특성과 도시활동 잠재력이 여가통행의 연령대별 목적지 선택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서울도시연구」, 18(1), 43-58.   DOI
30 고승욱.이승일, 2017, "통행목적지로서 서울 행정동의 특성이 고령인구 연령대별 비통근통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1), 79-98.
31 공윤경, 2010, "부산 산동네의 도시경관과 장소성에 대한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2), 129-145.
32 국토교통부, 2021, "2020년도 주거실태조사 - 요약보고서-", 세종.
33 김대래, 2016, "(기획논문) 1980~90년대 부산 기업의 역외이전", 「항도부산」, 32, 1-46.
34 Wegener, M. 1996, Educion of CO2 emissions of transport by reorganisation of urban activities, Transport, Land-Use and the Environment.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03-124.
35 한수경.이희연, 2015, "서울대도시권 고령자의 시간대별 대중교통 통행흐름 특성과 통행 목적지의 유인 요인 분석", 「서울도시연구」, 16(2), 183-201.   DOI
36 D. A. Rodriguez and J. Joo,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non-motorized mode choice and the local physical environment,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Transport and Environment, 9(2), 151-173.   DOI
37 Seungil Lee, Changhyo Yi, Soung-Pyo Hong. 2013, Urban structural hierarch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dership of the Seoul Metropolitan Subway and the land-use pattern of the station areas. Cities vol.35, 69-77.   DOI
38 ESRI, 2005. How Mean Center works, (https://desktop. arcgis.com/en/arcmap/10.3/tools/spatial-statisticstoolbox/h-how-mean-center-spatial-statisticsworks.htm), accessed on 2022. 10. 27.
39 早内 玄.中村 文彦.有吉 亮.田中 伸治.三浦 詩乃, 2019, "高低差.勾配の交通手段選択への影響に関する研究", 「土木学会論文集D3」, 75(5), I_565-I_574.
40 松中 亮治.大庭 哲治.中川 大.井上 和晃, 2013, "都市内 の小地域特性を考慮した交通身体活動量の経年変 化とその要因分析", 「土木学会論文集D3」, 69(3), 216-226.
41 溝口 秀勝.山川 仁, 2001, "斜面住宅地における勾配を考 慮した徒歩移動に関する研究", 「都市計画論文集」, 36, 841-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