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669/krsa.2020.36.3.017

A Qualitativ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Baby boomers' Desire of Homecoming Migration  

Kim, Ji-Won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Kang, Jung-Ku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Ma, Kang-Rae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v.36, no.3, 2020 , pp. 17-2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Baby boomers are the population group born between 1955 and 1974 in South Korea. They are the generation to grow up in the rural areas and it has been report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that a large part of baby boomers now hopes to return their hometowns after their retir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obstruct the baby boomers' residential relocation to their hometowns by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different types of baby boomers: returners, soon-to-be returner, and wanna-be returner.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reasons behind the hesitation to the migration may be grouped into four categories: concerns about insufficient jobs, lack of medical services, concerns about social relation network and poor cultural environment in their hometown.
Keywords
Baby boomers; homecoming migration; retirement migration; hometow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은택.마강래, 2012, 수도권으로의 이동에 따른 경제적 효 과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7(1), pp.33-43.
2 강호제.김창현.민성희.홍사흠, 2018, 고령인구를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 연구, 국토연구원.
3 김용주.서정렬, 2013,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에 따른 주거선호특성 분석, 주거환경, 11(1), pp.37-49.
4 김원동, 2015, 베이비붐 세대의 귀농: 향수 너머의 현실과 활성화 방안 탐색, 농촌사회, 25(2), pp.93-144.
5 김창현, 2011,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농촌지역 활성화 전략, 국토연구원.
6 김태헌, 2010, 우리나라 인구전개에서 베이비붐 세대의 의미, 연금포럼, 37, pp.4-11.
7 김혜연.이연숙.윤혜경, 2010, 베이비부머의 은퇴 후 선호하는 주택특성에 관한 연구-서울 강남지역 공동주택거주자를 대상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5), pp.83-92.   DOI
8 남기찬, 2013, 베이비붐세대 및 에코세대의 인구동향과 지역 정책에 대한 시사점, 국토정책 Brief, 432, pp.1-6.
9 농림부, 2006,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농촌이주.정착의향 조사.
10 마강래.강정구.이경수, 2019, 지방 인구문제 해결을 위한 귀향지원정책의 구상, 도시정보, 10월호, pp.3-18.
11 박태정, 2013,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삶을 통해 본 일과 은퇴의 경험적 의미에 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13(3), pp.29-57.   DOI
12 변우섭, 2012,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주거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위기관리논집, 8(2), pp.238-266.
13 서수복, 2010, 베이비붐 세대의 농촌이주 결정요인 분석, 국토연구, 64, pp.21-37.   DOI
14 송성환.박혜진, 2018, 농업.농촌에 대한 2017년 국민의식 조사 결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161, pp.1-24.
15 이관우.김지현, 2018, 은퇴 후 라이프스타일이 주거선호에 미치는 영향분석, 부동산학보, 75, pp.87-100.
16 이영준.이수진, 2016, UJI턴 형태의 지방회귀 및 정주 결정요인, 지역사회연구, 24(2), pp.163-180.   DOI
17 이윤수.우석진, 2011, 주관적 기대가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자산축적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31(4), pp.855-870.
18 이수진.허선희.홍순영, 2011, 베이비붐 세대 은퇴에 따른 여가소비문화 활성화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19 이종상, 2007,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생활에 관한 연구: 주거형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임기흥.백성준, 2014, 한국 베이비붐세대의 은퇴 후 주거선택과 이동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1), pp.438-449.   DOI
21 채종훈.서정원, 2019, 고령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도.농간 비교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1(3), pp.137-157.
22 통계청, 2010, 통계로 본 베이비붐 세대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23 통계청, 2010, 사회조사를 통해 본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
24 Creswell, J. W., 2003,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25 Noy, C., 2008, Sampling Konwlege: The Herme-neutics of Snowball Sampling in Qualitativ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esearch Methodology, 11(4), pp.327-344.   DOI
26 Cromartie, J., & Nelson, P, 2009, Baby boom migration tilts toward rural America, Amber Waves, 7(3), pp.6-21.
27 Denzin, N. K., & Lincoln, Y. S. (Eds.), 2011,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28 Dukes, S., 1984,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n the human sciences,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23(3), pp.197-203.   DOI
29 Guba, E. G., & Lincoln, Y. S., 1989,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Newbury Park, CA: Sage.
30 Mi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 sourcebook of new method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