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669/krsa.2020.36.2.025

The Effect of Satisfaction and Safety Recognition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of the inter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Jung, Suyoung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v.36, no.2, 2020 , pp. 25-3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recent urban policies, the importance of 'health'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Korea, the deterioration of physical health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rapid urbanization and the deterioration of mental health due to the disconnection of social relations in a competitive society are constantly occurri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atisfaction and safety recognition on pedestrian environment 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of the inter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 used 2018 Seoul Survey and employed Structural Equation Model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in male groups, the satisfaction and safety recognition on the pedestrian environment affect social capital. Also, satisfaction and social capital affect subjective health status. On the other hand, in female group, percep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 affect social capital. In addition, satisfaction, safety recognition and social capital affect subjective health status. Therefore, interdisciplinary study in the field of health and urban policy and discriminatory policy for strategic urban policy for citizen's health is necessary.
Keywords
Subjective Health Status; Pedestrian Environment; Structural Equation Model;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은정, 2010, 건강도시 현황 및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10(5), pp.27-38.
2 고은정, 2018, 근린의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다양성, 사회자본의 상관관계 분석, 서울도시연구, 19(2), pp.73-86.
3 김동배.유병선, 2013, 근린환경과 노인의 사회적 관계, 우울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3(1), pp.105-123.
4 김영.안성진.박진호.최진도, 2009, AHP 기법을 이용한 건강결정요소 및 건강도시사업 가중치 분석, 도시행정학보, 22(3), pp.365-387.
5 김영, 2007, 건강도시(Health Cities, Healthy Communities), 국토계획, 42(1), pp.5-6.
6 김영미, 2013,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이웃사회자본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0(10), pp.235-261.
7 김영욱.신행우, 2007, 토지이용에 따른 보행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8(3), pp.83-94.
8 김은정.강민규, 2011, 도시환경과 개인특성이 지역주민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지역연구, 27(3), pp.27-42.
9 김창일, 2017, 사회적자본이 지역주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GRI 연구논총, 19(3), pp.89-115.
10 김혜연, 2011, 사회적 자본이 지역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3(3), pp.1-29.
11 김희철.안건혁.권영상, 2014, 개인의 보행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거주지 환경요인: 서울시 행정동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5(3), pp.5-18.
12 노경섭, 2014,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SPSS & AMOS 21, 서울: 한빛아카데미.
13 박해완.서정운.채재성, 2014, 생활체육 참가와 사회적 자본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6(1), pp.95-104.
14 배병렬, 2011, Amos19 구조방정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도서출판청람.
15 배병렬, 2014,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분석, 서울: 도서출판 청람.
16 성태제, 2015, spss/amos를 이용한 알기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17 어유경.김인태.홍석호.김순은, 2017, 사회자본과 건강한 노후-다층모형(Multilevel Modeling)을 활용한 사회 자본의 영향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26(1), pp.121-151.
18 오현옥, 2014, 신체활동 참여노인들의 사회자본과 우울 및 삶의 질,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53(3), pp.535-547.
19 우천식.김태종, 2007, 한국 경제, 사회와 사회적 자본,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0 유민이.문상호.이숙종, 2012, 사회자본의 정부성과인식에 대한 영향: 시민참여의 매개효과에 대한 집단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1(4), pp.111-145.
21 이경환.안건혁, 2007, 커뮤니티의 물리적 환경이 지역 주민의 보행 시간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42(6), pp. 105-118.
22 이경환, 2009, 근린의 보행 환경이 지역 주민의 커뮤니티 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5(7), pp.203-210.
23 이경환, 2012, 지역주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특성 요소 분석: 한국의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7), pp.3237-3243.   DOI
24 이수기.이윤성.이창관, 2014, 보행자 연령대별 보행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로환경의 특성분석, 국토계획, 49(8), pp.91-105.   DOI
25 이수기.고준호.이기훈, 2016, 근린환경특성이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계획, 51(1), pp.169-187.   DOI
26 임현철, 2019, 사회적 자본과 안전인식 그리고 개인 웰빙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행정연구, 28(4), pp.165-198.   DOI
27 장유미.염동문, 2014, 지역 주민의 사회적 자본과 정신건강 과의 관계: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2), pp.764-774.   DOI
28 장후석.고승연, 2014, OECD 비교를 통해 본 한국 사회자본의 현황 및 시사점, 서울:현대경제연구원.
29 정현.전희정, 2019, 근린환경과 지역주민의 신체활동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20(1), pp.91-110.
30 유호, 2011, 독일의 건강지향적 생활체육의 과제, 활동영역 그리고 목표집단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0(5), pp.309-317.
31 조혜민.이수기, 2016, 근린환경특성과 주민의 보행활동이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시 4개 자치구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1(6), pp.59-77.   DOI
32 조혜민.이수기, 2017, 근린환경특성이 사회적 자본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행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2(4), pp.111-133.   DOI
33 Ewing, R., & Handy, S., 2009, Measuring the unmeasurable: Urban design qualities related to walkability, Journal of Urban Design, 14(1), pp. 65-84.   DOI
34 최진도.김영.유시생, 2014, 건강한 도시환경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 12(2), pp.199-209.
35 한세희.김연희.이희선, 2010, 사회자본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한국행정학보, 44(3), pp.37-59.
36 Caspersen, C. J., Powell, K. E., & Christenson, G. M., 1985, Physical activity, exercise, and physical fitness: definitions and distinctions for healthrelated research, Public Health Reports, 100(2), pp.126-131.
37 Ewing, R., Handy, S., Brownson, R. C., Clemente, O., & Winston, E., 2006, Identifying and measuring urban design qualities related to walkability,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3(s1), pp.S223-S240.   DOI
38 Forsyth, A., 2015, What is a walkable place? The walkability debate in urban design, Urban Design International, 20(4), pp.274-292.   DOI
39 Frank, L. D., Sallis, J. F., Conway, T. L., Chapman, J. E., Saelens, B. E., & Bachman, W., 2006, Many pathways from land use to health: associations between neighborhood walkability and active transportation, body mass index, and air quality,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2(1), pp.75-87.   DOI
40 Herman, DR, Ganz, PA, Peterson, L & Greendale, GA., 2005, Obesity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younger breast cancer survivors,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93(1), pp.13-23.   DOI
41 Jun, H. J., Namgung, M., 2018, Gender difference and spatial heterogeneity in local obe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5(2), pp.311(1-17).   DOI
42 Leyden, K. M., 2003, Social capital and the built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walkable neighborhood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9), pp.1546-1551.   DOI
43 Jun, H. J., Park, S., 2019, The Effect of Cross-Level Interaction between Community Factors and Social Capital among Individuals on Physical Activity: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6(3), p.495.   DOI
44 Kelly-Schwartz, A. C., Stockard, J., Doyle, S., & Schlossberg, M., 2004, Is sprawl unhealthy? A multileve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metropolitan sprawl to the health of individuals,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24(2), pp.184-196.   DOI
45 Kim, J., 2010, Neighborhood disadvantage and mental health: The role of neighborhood disorder and social relationships, Social Science Research, 39(2), pp.260-271.   DOI
46 Rogers, S., Gardner, K., & Carlson, C., 2013, Social capital and walkability as social aspects of sustainability, Sustainability, 5(8), pp.3473-3483.   DOI
47 Steptoe, A., Feldman, P. J., 2001, Neighborhood problems as sources of chronic stress: development of a measure of neighborhood problems, and associations with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3(3), pp.177-185.   DOI
48 Talen, E., 1999, Sense of community and neighbourhood form: An assessment of the social doctrine of new urbanism, Urban studies, 36(8), pp.1361-1379.   DOI
49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http://www.khcp.kr/hb/main)
50 Putnam, RD.,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