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626/jkfrma.2020.24.2.001

Types of Work-Life Satisfaction among Married Wage Workers: Focusing on Family-Friendly Leave Policies in the Workplace  

Lee, Yu Ri (Research Institute of Healthy Family Consulting)
Lee, Sung Hoon (Dept. of College of Liberal Arts, Anyang University)
Park, Eun Jung (Dept.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4, no.2, 2020 , pp. 1-2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first, to classify work-life satisfaction among married wage workers aged 20-59 years into several distinct types based on two dimensions of work and life, using data from the 20th(2017) wave of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Second, the study aimed to assess the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x, age, educational level, average monthly income), and workplace-related variables (weekly working hours, full-time employment, job stability, business type, family-friendly leave policies) by work-life satisfaction type. Accordingly, four types of work-life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work-life satisfaction, work-life dissatisfaction, work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of work-life satisfaction among married waged workers based on sex, age, educational level, and average monthly income.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of work-life satisfaction for all workplace-related variables, namely, weekly working hours, full-time employment, job stability, business type, and family-friendly leave policies. In particular, proportionally higher values of work-life satisfaction were evident among the workers in companies with family-friendly leave policies such as paid leave, menstrual leave, maternity leave, childcare leave, and family events leave, whereas there was a high rate of work-life dissatisfaction among the workers in companies without family-friendly leave policies.
Keywords
married waged workers; work-family balance; work-life balance; work-life satisfaction type; family-friendly polici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8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가영희(2006). 성인의 직장-가정갈등이 영역별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여성, 11(2), 163-186.
2 가족친화 사회환경의 조성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제4조.
3 강민재.최수찬.조영은(2017). 기혼 근로자의 일-가정 전이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인식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2, 119-145.
4 강정희.박경숙(2009). 가족친화적 기업복지제도 이용가능 정도가 기혼여성근로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7(4), 83-98.
5 김경근(2013). 한국사회에서 교육수준과 삶의 질. 교육문제연구, 48(3), 1-28.
6 김영흥.나승일.김지현.박용진(2018). 근로자의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차이에 대한 메타분석. 직업교육연구, 37(1), 101-118.
7 김외숙.이기영(2015). 가사노동과 시간관리.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8 김주희(2012). 맞벌이 부부의 시간배분을 통해 본 일-생활 유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허중욱(2018). 일과 생활의 균형이 직무만족과 생활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2(12), 151-164.
10 홍승아.전기택.박수범.배호중.성민정 (2018). 2018년 기업 및 공공기관의 가족친화수준 조사. 여성가족부.
11 통계청(2019). 2019년 사회조사결과(복지.사회참여.문화와 여가.소득과 소비.노동).
12 Brown, D., & McIntosh, S.(2003). Job satisfaction in the low wage service sector. Applied Economics, 35(10), 1241-1254.   DOI
13 Casper, W. J., Weltman, D., & Kwesiga, E. (2007). Beyond family-friendly : The construct and measurement of singles-friendly work cultur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0(3), 478-501.   DOI
14 Clark, A. E.(1997). Job satisfaction and gender : Why are women so happy at work?. Labour Economics, 4(4), 341-372.   DOI
15 Clark, M. A., Rudolph, C. W., Zhdanov, L., Michel, J. S., & Baltes, B. B.(2017). Organizational support factors and work-family outcomes : Exploring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Family Issues, 38(11), 1520-1545.   DOI
16 Clark, S. C.(2000). Work/family border theory : A new theory of work/family balance. Human Relations, 53(6), 747-770.   DOI
17 De Cuyper, N., & Witte, H.(2006). The impact of job insecurity and contract type on attitudes, well-being and behavioral reports : A psychological contract perspectiv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9, 395-409.   DOI
18 Depedri, S., Tortia, E., & Carpita, M.(2010). Incentives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 Empirical evidence in Italian social enterprises. Euricse Working Papers, N.012 $\mid$ 10
19 김진희.한경혜(2002). 남성과 여성의 일.가족 전이와 관련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0(11), 55-69.
20 김준기.양지숙(2012).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사회적 지원의 효과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0(4), 251-280.
21 김홍규.가영희(2005). 성인의 직장-가정에서의 갈등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85-98.
22 남기섭.유병주(2007). 직무불안정성 지각과 정신적 건강 및 조직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0(1), 65-85.
23 문선희(2013). 기업복지제도가 기혼 직장여성의 가정생활과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가족친화 제도의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8(1), 119-141.
24 문영만(2014).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생활만족도 패널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20(2), 187-218.
25 박광표.김동철(2019).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고용관계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19(1), 59-91.   DOI
26 박은정(2019). 1인가구와 다인가구 미혼자의 전일제임금근로자의 시간사용과 시간부족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7(3), 1-18.
27 박주희(2018). 취업모의 일-가정 갈등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배우자지지 및 일-가정양립지원제도의 조절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3), 43-59.
28 서종수(2009). 일-생활균형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성미애.이강이.정현심(2019). 인간발달.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30 Greenhaus, J.H., & Powell, G.N.(2006).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 72-92.   DOI
31 Haar, J. M., Russo, M., Sune, A., & Ollier-Malaterre, A.(2014). Outcomes of work-life balance on job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 A study across seven cultur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5(3), 361-373.   DOI
32 King, J. E.(2000). Aggregation bias in estimates of perceptual agree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7(2), 219-229.   DOI
33 Kirchmeyer, C.(2000). Work-life initiatives : Greed or benevolence regarding workers' time? In C. L. Cooper & D. M. Rousseau (Eds.), Trends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 7. Time in organizational behavior (pp. 79-93). New York, NY, US : John Wiley & Sons Ltd.
34 Kleiner, S.(2014). Subjective time pressure : General or domain specific?. Social Science Research, 47, 108-120.   DOI
35 Mennino, S. F., Rubin B. A., & Brayfield, A.(2005). Home-to-job and job-to-home spillover : The impact of company policies and workplace culture. The Sociological Quarterly, 46, 107-135.   DOI
36 심지양(2011). 근로자의 일생활균형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송혜림(2012). 남성의 일-가정 양립 실태와 요구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18.
38 송혜림.고선강.박정윤.권혜진.김유경.진미정(2010). 가족친화환경 측면에서 본 남성의 아버지역할 수행 실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341-361.
39 송혜림.김유경.김주희(2017). 남성 장시간 근로집단 및 그 배우자집단의 생활시간배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3), 43-59.
40 안세연.김효선(2009). 기혼 여성 관리자의 이직의도에 관한 통합적 고찰. 여성연구, 77, 5-48.
41 오현규.박성민(2014). 일과 삶의 균형정책이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공공 및 민간 조직 내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6(4), 901-929.
42 이세훈(2018). 일과 삶의 균형(WLB)이 직무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호텔 종사원을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22(3), 117-135.
43 이수진(2008). 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차이에 대한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4 이유리.이성훈.박은정.이유미(2017). 결혼과 가족생활. 서울 : 시그마프레스.
45 손영미.박정열.김가영(2006). 일과 삶의 균형 정책의 도입에 관한 연구 :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46 송다영.장수정.김은지(2010). 일가족양립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직장내 지원과 가족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7(3), 27-52.
47 이옥순(2011). 가족친화제도와 남성근로자의 일-가족 갈등, 직무만족도 및 생활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이유리.정영금.최나리.강복정.박경은(2018). 가족친화 인증후 컨설팅사업의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1), 1-21.
49 이인숙(2010). 일자리 만족도 결정요인의 성별 격차 분석. 사회복지정책, 37(1), 209-236.
50 이필우(2018). 고용안정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자본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 호텔 조리직원을 대상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최영희.임상훈(2012). 근로자들의 고용안정성에 대한 인식과 혁신활동 간의 관계 :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 노동정책연구, 12(3), 147-175.   DOI
52 Thomas, L. T., & Ganster, D. C.(1995).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 A contro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0, 6-15.   DOI
53 임상현(2015). 호텔 종사원의 사회적 관계망이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고용안정성의 조절효과. Tourism Research, 40(4), 173-195.
54 정광호.김태일(2003). 공공부문 조직과 민간기업 조직의 직무만족도 비교분석 : 한국노동패널 연구(KLIPS)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2(3), 1-28.
55 주은선(2016). 노동시간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7), 750-759.   DOI
56 차승은(2008). 중년의 일, 가족, 여가시간 배분유형과 유형결정요인 : 취업한 기혼남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6(1), 103-116.
57 한상근(2015). 우리나라 직업인의 직무만족도 실태. KRIVET Issue Brief, 83, 한국직업능력개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