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626/jkfrma.2020.24.1.002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unmarried one-person households according to marital experience  

Kang, Sohyun (Dept. of Child and Youth Studies, Chung Ang Univ.)
Park, Jeoung Yun (Dept. of Psychology, Chung Ang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4, no.1, 2020 , pp. 21-3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unmarried one-person households and to examine how these factors influence this population. This study targeted 308 unmarried one-person households.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one-person households without marriage experience had higher levels of job stress than one-person households with marriage experience, and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of family projections was lower; the overall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in one-person households without marriage experience than in one-person households with marriage experience; in one-person households without marriage experience, higher life satisfaction correlated with higher levels of self-integration, family projection processes, and family retirement differentiation, and lower job stress, which was correlated with higher self-control ability, higher evaluation and higher mater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higher in unmarried one-person households that received more information and had a lower age, lower job stress, and higher monthly incom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in that it explores how marital experience interacts with demographic variables, occupational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and social support factors and consequently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of unmarried one-person households.
Keywords
unmarried one-person households; life satisfaction; self-control ability; job str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0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통계청(2015). 인구주택총조사(1990-2015).
2 통계청(2018). 인구주택총조사에 나타난 1인 가구의 현황 및 특성.
3 통계청(2019). 2018 한국의 사회지표.
4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6). 2016년 보건복지정책 수요조사 및 분석.
5 이혜숙(1994). 가정환경 변인과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한석빈(2015). 중년여성의 자아분화수준이 가족스트레스와 가정생활만족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한임섭(1987).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경제활동과 가족관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홍순혜(1984). 활동이론에 따른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홍영윤.주영애.박인선(2018). 남녀대학생의 1인 가구 선택의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4), 75-87.
10 홍주우(1999). 노인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Bailey, T. C., & Snyder, C. R.(2007). Satisfaction with life and hope: A look at age and marital status. The Psychological Record, 57(2), 233-240.   DOI
12 Ben-Zur, H.(2012). Loneliness, optimism, and well-being among married, divorced, and widowed individuals. The Journal of Psychology, 146(1-2), 23-36.   DOI
13 Lucas, R. E.(2005). Time does not heal all wounds: A longitudinal study of reaction and adaptation to divorce. Psychological Science, 16(12), 945-950.   DOI
14 강상경(2012). 삶의 만족도와 관련요인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연구, 43(4), 91-119.
15 강승엽(2017). 주거환경과 고용환경이 청년 1인 가구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경기도 거주 청년 1인 가구를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강은영.진미정.옥선화(2010). 비혼 여성의 비혼 자발성 관련요인 탐색 : 결혼 및 가족 가치관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8(2), 135-144.   DOI
17 강은택.강정구.마강래(2016). 1인 가구의 주관적 삶의 만족감에 관한 연구: 미혼 1인 가구와 기혼 1인 가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7(1), 3-23.
18 김나영(2007). 대학생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김도희(2012). 청년 1인가구 증가 요인에 따른 생활실태분석과 정부의 정책과제.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0(0), 1-27.
20 김명자(1996). 중년기 부인의 사회적 지원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3), 151-166.
21 김사라.김유숙(2017).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5(4), 815-837.
22 김아영(1998). 동기이론의 교육현장 적용 연구와 과제 : 자기효능감 이론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2(1), 105-128.
23 김선.최재희(2013). 생활무용참여 노인의 자기효능감,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 무용과학회지, 30(1), 175-191.
24 김세영(2018). 청년 1인가구의 정신건강과 생활만족도 : 다인가구 청년 구성원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11-16.
25 김순정(2019). 1인 가구주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김연옥(2016). 1인 가구 시대의 도래 : 특성과 생활실태. 한국가족복지학, 52, 139-166.
27 김옥연.문영기(2009). 1인 가구 주거실태 분석 : 서울시 1인 가구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7(2). 37-53.
28 김옥태.정용승.채재성(1999). 생활체육참가자의 스포츠 참여동기가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8(3), 87-95.
29 김은수(2007).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법과의 관계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김학주(2016). 경제적 요인이 한부모가구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건강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3(2), 191-214.
31 김향순.김순덕.구명이(2019). 기혼여성의 자아분화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159-176.
32 김혜영(2014). 유동하는 한국가족 : 1인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5(2), 255-292.   DOI
33 김혜영.선보영.진미정.사공은희(2007). 비혼 1인 가구의 가족의식 및 생활실태조사.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2-314.
34 김혜정(2015). 비혼 여성 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여성학연구, 25(2), 7-40.
35 김화진(2015). 1인 가구원의 행복지수와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박영신.김의철(2008). 배우자의 사회적 지원, 자녀에 대한 신뢰 및 자기효능감이 성인의 가정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14(4), 71-101.
37 김효진(2007). 사회적 지지가 시설거주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박미석.김미영(2012). 중년기 기혼남녀의 가정자원 수준 및 집단별 생활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35-51.
39 박미석.전지원(2017). 비혼 1인가구의 생활불안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4), 25-42.   DOI
40 박영신.김의철.김영희.민병기(1999). 사회문제 : 초등학생 생활만족도 형성요인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5(1), 57-76.
41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 박휘수(2017). 미혼 남녀의 자아분화수준과 용서에 대한 신념이 이성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반승주(2019). 중.고령 1인가구의 주거특성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4 변미리.신상영.조권중.박민진(2008). 서울의 1인가구 증가와 도시정책 수요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45 서명희(2018). 1인 가구의 삶의 만족도 예측요인.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6 서명희.김영희.이현옥(2017). 1인 가구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 연구 : 미혼과 기혼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 718-727.   DOI
47 서영희(2006). 기독교 가정에서 부모와의 애착 및 자아분화가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서지원.양진운(2017). 중년1인가구의 혼인상태별 여가시간사용 결정요인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3), 77-95.
49 박선영(1998). 사회적 지지가 저소득층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성지미.이윤정(2001). 노인독신가구의 경제상태와 경제적 불평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2), 111-130.
51 소윤서(2017). 세대별 1인가구의 생활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2 손진분.박미려(2007). 한부모 가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3), 45-65.
53 송혜림.강은주.김민주(2018). 청년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 연구 : 성별.취업여부에 따른 식사와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2), 45-63.
54 오채민(2018). 경제.사회적 요인이 여성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농촌지도와 개발, 20(2), 556-602.
55 심영(2002). 독신가구의 경제생활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197-208.
56 양지명.정영금(2019). 청년 취업 1인가구의 일과 여가의 균형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2), 17-40.   DOI
57 오정석(2013). 경찰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경찰복지연구, 1(1), 87-107.
58 우재영(2013). 경제.사회적 요인이 여성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농촌지도와 개발, 20(2), 556-602.
59 유혜승.김병석(2015). 마인풀니스 및 자기통제력과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16(1), 231-249.
60 이덕근(2008). 리더십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1 이명주(2002). 중년남성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 및 사회적 지지에 따른 삶의 만족도.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 이명진.최유정.이상수(2014). 1인 가구의 현황과 사회적 함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7(1), 229-253.
63 이윤정.김순미(2004). 남녀 노인독신가구의 경제상태와 소비지출의 영향요인 분석.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42(12), 93-106.
64 이서기(2010). 청소년의 스포츠 참여수준, 자기조절능력, 신체적 자기개념, 정서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인과관계 분석.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5 이성림.김기옥(2009). 우리나라 독신가구의 여가활동 소비지출패턴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12(3), 105-123.
66 이영행.최민섭(2009). 1인 가구의 주거선택요인이 원룸 선호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원룸 거주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7(2), 155-174.
67 이재화(2011). 다문화가정 여성의 가족관계 스트레스에 따른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8 이진숙.이윤석(2014). 비혼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 여성과 남성의 교제활동 시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7(4), 1-24.
69 이희정(2004) 성인여성의 여가교육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사회과학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0 장유련(2019). 젊은 여성 1인가구의 안전에 대한 인식과 삶의 만족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1 장현주(2009). 미혼어머니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부모만족도, 사회적 지지, 사회적 편견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2 정경희.남상호.정은지.이지혜.이윤경.김정석.김혜영.진미정(2012). 가족구조 변화와 정책적 함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73 제석봉(1989).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 :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4 주태하(2011).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스트레스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가구유형별 비교연구.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5 차정은(1997).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6 통계청(2012). 인구주택총조사에서 나타난 1인 가구 현황 및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