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Conger, R. D., Conger, K. J., Elder, G. H., JR., Lorenz, F. O., Simons, R. L., & Whibeck, L. B.(1992). A Family process model of economic hardship and adjustment of early adolescent boys. Child Development, 63, 536-541.
|
2 |
Duncan, G. J., Yeung, W. J., Brooks-Gunn, J., & Smith, J. R.(1998). How much does childhood poverty affect the life chances of childre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406-423.
DOI
|
3 |
Conger, R. D., Conger, K. J., & Elder, G.(1997). Family economic hardship and adolescent adjustment: Mediating and moderating processes. pp. 288-310. in G. J. Duncan and J. Brooks- Gunn(ed.). Consequences of Growing Up Poor.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
4 |
Gulati, J. K., & Dutta, J.(2008). Risk, conflict between parents and child adjustment in families experiencing persistent poverty in India. Journal of Family Studies, 14(1), 107-123.
DOI
|
5 |
Jarjoura, G., Triplett, R., & Brinker, G.(2002). Growing up poor: Examining the link between childhood poverty and delinquency, Journal of Quantitative Criminology, 18, 159-187.
DOI
|
6 |
McLoyd, V. C. (1990). The impact of economic hardship on black families and children: Psychological distress, parenting,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61, 311-346.
DOI
|
7 |
Mullin, W. J., & Arce, M.(2008). Resilience of Families Living in Poverty.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11(4), 424-440.
DOI
|
8 |
Santiago, C. D., & Wadsworth, M.(2009). Coping with family conflict : whatʼs helpful and whatʼs not for low-income adolescents. Journal of Child & Family Studies, 18, 192-202.
DOI
|
9 |
Seccombe, K.(2000). Families in poverty in the 1990s: Trends, causes, consequences, and lessons learne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4), 1094-1113.
DOI
|
10 |
강희경(2005). 가족의 건강성과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93-102.
|
11 |
고경애.정민정(2007). 가족기능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5(2), 301-320.
|
12 |
고영희(2014). 빈곤아동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 우울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3 |
김경신(2015). 가정관리학 관점에서의 가족교육현황과 전망.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11), 3-34.
|
14 |
김광혁.김예성(2008). 가족빈곤이 아동학대 및 방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 부모의 우울 및 가족 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생활과학회지, 17(5), 1-13.
|
15 |
김광혁.신다은(2013). 빈곤한 주거환경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메커니즘 - 부부 및 가족갈등과 부정적 양육행동의 매개적 작용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논총, 28(2), 73-93.
|
16 |
Yeung, W. J., Linver, M. R., & Brooks-Gunn, J.(2002). How Money Matters for Young Childrenʼs Development: Parental Investment and Family Process. Child Development, 73, 1861-1879.
DOI
|
17 |
Voydanoff, P.(1991). Economic distress and family relations: A Review of the eighti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2, 1099-1115.
DOI
|
18 |
Walsh, F.(2002). Resilience and social work practice: Three case studies. Journal of Contemporary Human Services, 82, 441-448.
|
19 |
Wender, P. H., Kety, R. D., Schulsinger, S. S., & Welner, J.(1973). Social class and psychopathology in adoptee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8, 318-325.
DOI
|
20 |
김두연(2006). 빈곤과 핵가족 해체: 빈곤층 조손가족 사례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1 |
김승용(2005). 빈곤여성의 가족기능과 관련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3), 107-124.
|
22 |
강선경(2011). 부모역할훈련프로그램이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가족유연성 및 가족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4, 109-136.
|
23 |
김영하(2008). 빈곤가정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4 |
김영희.안상미(2008).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가족갈등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 청소년학연구, 15(2), 1-30.
|
25 |
김정희(2015). 청소년기 자녀를 둔 가족의 가족건강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6 |
남희수(2009). 저소득 모자가정 가구주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가족기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7 |
노윤옥.전미경(2006).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1), 1-15.
|
28 |
도미향(2006). 빈곤가족의 해체현상에 관한 연구. 아동복지연구, 4(3), 47-65.
|
29 |
박정애(2015). 빈곤아동과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30 |
박상규.이병하(2004). 빈곤층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6(4), 813-824.
|
31 |
박정윤.박연숙.전미경(2019). 가족사례관리 사업 운영 현황 및 효율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1), 35-60.
|
32 |
백혜영(2017). 빈곤이 부모우울과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을 통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38, 47-74.
|
33 |
박주희(2019). 중년기 취업모의 가족부양부담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가족지지 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3), 133-148.
DOI
|
34 |
배한나(2012). 빈곤가정 부부갈등이 아동의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35 |
백정재.이재연(1997). 빈곤아동이 지각한 가정의 심리사회적 환경과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생활과학연구지, 12(1), 71-93.
|
36 |
서종수.조희금.이재법(2016). 기혼남성의 가정건강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4), 19-34.
|
37 |
서하진.김정옥(2009).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3), 141-178.
|
38 |
손서희.계선자(2014). 서울시 자치구 건강가정지원센터 이용자의 가족건강성 및 프로그램 요구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6), 19-30.
DOI
|
39 |
어은주.유영주(1995).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145-156.
|
40 |
윤혜미(2005). 경제적 곤란과 가족갈등이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7(3), 133-164.
|
41 |
위종희(2012).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42 |
이국화.류점숙.이선정.신효식(2011).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와 가정생활만족도. 生活科學硏究, 21, 95-102.
|
43 |
하경희.강병철(2013). 빈곤가구의 심리적 디스트레스(Distress)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7(2), 115-137.
DOI
|
44 |
이성휘.박정윤.김양희.장영은.어성연(2009). 빈곤가정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2), 305-316.
|
45 |
이혜숙.임은하(2009). 빈곤가정의 빈곤화 과정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6, 255-294.
|
46 |
임재현(2011). 주거빈곤이 가족생활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42(1), 279-304.
|
47 |
임정아.이인수(2006). 청소년기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 연구. 아동교육, 15(2), 37-62.
|
48 |
최정혜(2004). 주말부부의 가족스트레스, 대처전략 및 가족건강성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2), 69-83.
|
49 |
하태정.강현아(2012). 가족 빈곤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환경과 부모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아동복지학, 40, 139-166.
|
50 |
한주리.허경호(2005). 가족 구성원의 의사소통 능력, 내외 통제성, 충동성, 낙관성이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보, 2, 251-282.
|
51 |
황인실(2004). 가족건강성과 중장년기 성인남녀의 자아정체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52 |
허미영(2006). 빈곤의 여성화: 빈곤의 계기와 가족의 역할 - 부산.경남지역 심층면접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여성학, 22(4), 235-262.
|
53 |
Banovcinova, A., Levicka, J., & Veres, M. 2014). The Impact of Poverty on the Family System Functioning.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 132, 148-153.
|
54 |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DOI
|
55 |
Barton, P.(2006). The dropout problem. Educational Leadership, 63, 14-18.
|
56 |
Cohen, M. A.(1998). The monetary value of saving a high-risk youth. Journal of Quantitative Criminology, 14(1), 5-33.
DO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