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혜규.박세경.함영진.이정은.김태은.최지선.김보영.Hudson, J., & Wenham, A. (2016). 사회보장부문의 서비스 전달체계 연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 |
김보영(2018). 통합적 공공 복지전달체계를 위한 조건. 한국사회정책, 25(2),403-428.
|
3 |
김근세.허아랑.김예린(2014). 다문화가족지원 센터의 운영과 서비스통합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행정논집, 26(3), 521-552.
|
4 |
김정흔(2017). 한국 다문화가족정책 통합에 대한 현장전문가의 인식: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통합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10(2), 89-124.
|
5 |
박정윤.송혜림.정지영.진미정(2014). 가족정책전달체계 통합의 방향과 방안. (사)가정을 건강하게하는 시민의 모임, 제24차 가족정책포럼 자료집(pp. 1-55).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6 |
성미애․송혜림(2008). 사회투자론적 관점에서 본새 정부의 가정정책: 분석과 과제. 한국가족자원 경영학회지, 12(4), 1-14.
|
7 |
송혜림.박정윤.진미정.정지영(2015). 가족정책 전달체계 통합 논의에 대한 제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1), 49-71.
|
8 |
여성가족부(2018c). 2018년도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
9 |
이승미.송혜림.라휘문.박정윤(2012). 가족복지전달체계 통합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5), 1-15.
DOI
|
10 |
이진(2015). 사회서비스전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 가족복지전달체계를 중심으로. 충청남도: 충남연구원.
|
11 |
최은희.장온정(2017). 지방자치단체 가족지원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적 통합방안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2(2), 329-353.
|
12 |
홍승아.황정임.김소영.이아름(2014). 가족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을 위한 통합모델 개발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13 |
Braun, V.,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DOI
|
14 |
Wade-Berg, J. A., & Robinson-Dooley, W. (2015). Perceptions of collaboration and service integration as strategic alternatives: An examination of social service nonprofit organization in the late 1990s. Journal of Public Management & Social Policy, 20(2), 119-136.
|
15 |
여성가족부(2018a).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통합서비스 사업안내(I).
|
16 |
여성가족부(2018b). 2018년도 건강가정지원센터사업안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