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626/jkfrma.2019.23.3.006

A Study on the Community Care as Alternative Care  

Cha, Sung-Lan (Dept. of Child Education and Counseling, Daejeo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3, no.3, 2019 , pp. 109-13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oblems in defining the concept of care and redefine it broadly,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mmunity care as an alternative way to change the negative image of care concept. Method : The literature review method was used for the study. Results : First, care is limitedly conceptualized as a concept of physical care and care for children and the elderly. Second, child care is perceived only as a burden, and it is avoided to express care needs in the youth period, and the care of the elderly is putting off responsibility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tor. Third, through community care, we should be able to feel happiness in life itself and care needs to be recognized as a way of being throughout our life.
Keywords
care; child care; family carre; community; community car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소랑.정혜윤.송창용.최일선.유선치.임승연(2017). 국내외 정부 및 민간의 50+정책.사업 실태연구. 서울시 50플러스재단.
2 강은나.이민홍(2016). 우리나라 세대별 1인 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34, 47-56.
3 공병혜(2010). 한국사회에서 노인 돌봄. 한국여성철학, 13권, 1-22.   DOI
4 권용신(2016). 세대간 교류의 인식 및 소통증진. 한국노인복지학회. 한국노인복지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421-433.
5 권혁철.김형용(2017). 홀로 살아야 행복한, 중년남성의 삶 - 4050세대 1인 남성 가구의 사회적 관계와 주관적 행복감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사회과학연구, 24(3), 267-290.
6 김동철.고혁근.김대건(2016). 활동적 고령화가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사회과학연구, 55(1), 123-153.
7 김명자(1998). 중년기발달, 서울:교문사.
8 김미경(2016). 1인 가구 시대 노후와 가족에 관한 새로운 인식을 위한 소고. 사회사상과 문화, 19(4), 167-190.
9 김미영(2015). 현대사회에 존재하는 공동체의 여러 형식. 사회와이론, 27, 181-218.
10 김미정.백선정.남승연(2017). 마을 중심 보육.돌봄체계 운영에 관한 기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11 김소영.선보영.전미영.남지민(2017). 가족친화 지역사회 조성 정책 10년 평가와 과제. KWDI 이슈페이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2 김연자(2011). 혼종모형을 이용한 중년여성의 위기개념 개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영옥.이승현.이선행(2016). 일-가정양립실태조사(2016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4 김영란(2014). 노인1인가구 돌봄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노인돌봄공동체 제안-노인돌봄협동조합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젠더리뷰 2014 여름호, 21-32.
15 김영란.장혜경.이윤석(2017). 가족계층에 따른 청년자녀세대의 성인기 이행 및 정책대응 방안 연구. 2017 연구보고서-5.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6 김영옥(2014).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연구, 34(6), 173-207.
17 김유진(2016a). '지역 공동체 내에서 나이 들어가기' 관점에서 살펴 본 농촌 독거노인 공동생활거주제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71(1). 251-273.
18 김유진(2016). 농촌지역 독거노인 공동생활거주에 관한 질적 사레연구. 한국노년학, 36(1), 21-38.
19 김정석.김송은(2012). 남녀노인의 노년시작인식연령과 노인인지. 한국노년학, 32(1), 103-114.
20 김진욱.권진(2015). 아버지들의 육아휴직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사회정책. 22(3), 265-302.
21 김현희.박진아(2014). 지역사회 육아품앗이 활성화 모델 개발, 부산여성가족개발원.
22 김혜경(2017). '가족 이후'의 대안적 친밀성 - 비혼 청년층의 공동주거 사례를 통해 본 돌봄과 우정의 공동체 실험. 한국사회학, 51(1), 155-198.
23 김희선(2016). 힘의 악용으로서의 가정폭력과 종교: 기독교신앙의 역할. 목회와 상담. 27호, 71-98.
24 노인환(2017). 농촌노인의 행복감에 대한 연구-경로당 노인공동생활가정 이용노인을 중심으로- 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보건복지부(2017). 2018년도 보건복지 예산안 분석-보육분야. 복지동향, 2017년 11월.
26 류경희.김순옥(2000). 공동육아협동조합의 대안적 가족형태로서의 가능성 탐색.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2), 119-151.
27 박은영(2002). 애착이론과 자아분화이론의 유사성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변금선(2018). 활동적 노화 수준의 변화: 1931-1951년생 출생코호트 비교. 비판사회정책 61호, 95-135.
29 보건복지부(2018). 노인 절반 이상(57.6%), '거동 불편해도 살던 곳에서 여생 마치고 싶다' - 2017년 노인실태조사 결과 발표-,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8. 5. 24.
30 서홍란.정윤경.김희년(2013). 신체적 질환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돌봄 행위의 조절효과. 노인복지연구, 통권 61호, 57-83.
31 석상훈(2011). 고령은퇴자의 퇴직과정과 은퇴 후 소득 비료. 응용경제, 13(3), 269-295.
32 석재은(2014).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개념 정립과 향상 방안-현행 전략의 한계와 '좋은 돌봄'을 위한 현장의 목소리-. 한국사회복지학, 66(1), 221-249.
33 손태주.차성란(2018). 제주지역 돌봄공동체 활성화 방안. 제주여성가족연구원.
34 송경미(2016). 중년기의 가족부양부담과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송성성(2014). 부모-자녀간의 애착유형과 자녀의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 상향 및 갈등해결전략 간의 관계-중국인을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신경아(2011). 노인돌봄의 탈가족화와 노인의 경험 - 재가노인과 시설거주 노인의 경험 연구. 한국사회학, 45(4). 64-96.
37 심미경.민현정(2017). 아이키우기 좋은 광주전남, 육아공동체에서 대안을 찾다. 광전리더스, 통권 60호, 1-20.
38 어유경.김순은(2016). 지역 사회자본의 노인문제 대응: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지방행정연구, 30(3). 275-305.
39 유은주.김미영.이건정(2013). 농촌 공동생활가정 거주 노인의 공동생활체 경험 연구. 노인복지연구. 2013.12. 통권 62호, 151-172.
40 오제은(2013). 중년, 위기인가? 전환점인가? 중년기 위기에 대한 통합적 접근 - 인간발달에 대한 세 가지 주요 관점을 중심으로. 현상과인식, 37(3), 141-166.
41 윤성호.주상현(2018). 농촌 노인돌봄의 한계와 새로운 정책 방향: 노인돌봄을 위한 지역 공동체 조성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32(1), 203-223.
42 이명진.최유정.이상수(2014). 1인 가구의 현황과 사회적 함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7(1), 229-253.
43 이병창(2017). 자주성의 공동체. 서울: 먼빛으로.
44 이승윤.김민혜.이주용(2013). 한국 양육수당의 확대는 어떠한 정책형성과정을 거쳤는가?-정책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사회정책 20(2), 195-232.   DOI
45 이여봉(2017). 1인 가구의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17년 10월, 64-77.
46 이옥경.문정희.박나리(2016). 부산지역 아빠육아 참여 활성화 방안. 부산: 부산여성가족개발원.
47 이은희.유현정.이준영(2016). 20대 청년세대의 고민과 경제문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주요 인터넷 게시판 분석을 중심으로-.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2(2). 121-143.
48 이정민.이만형(2017). 대안적 공동체론과 관련 조례의 공동체 개념화. 서울도시연구, 18(2), 177-192.
49 이진숙(2010). 가족대안으로서의 농촌 독거노인 생활공동체에 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2(1), 95-119.
50 임소라(2018). 청년 주거 공동체의 지속가능성 '달팽이 집'. 도시문제, 53(595), 32-35.
51 장수정(2012). 과천지역 공동체에 관한 연구 - 돌봄공동체 가능성과 여성주의적 함의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12(2), 31-68.
52 이수민(2013). 노인돌봄서비스 체계의 변화 - 노인장기요양제도 시행후 -.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11, 7-22.
53 차성란(2018). 제주 공동육아나눔터 운영 실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2), 1-24.
54 조한혜정.차성란(2017). 제주도 육아 공동체와 육아 나눔터 활성화를 위한 사례연구. 제주가족친화지원센터 포럼.
55 차선자(2008). 새로운 가족문화를 위한 가족정책 : 대안가족 구성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47(2), 39-72.
56 차성란.권혜진.조정현(2011). 가족품앗이 및 공동육아나눔터 성과발굴 및 운영모델개발 연구. 여성가족부.
57 최인희.홍승아.김주현.정다은(2014). 중장년 및 노년기 남성의 가족생활 현황과 지원방안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58 최협.김명혜.김세건.윤수종.정근식.표인주(2006). 공동체의 현실과 전망. 서울: 선인.
59 최희경(2018).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와 돌봄 정의. 한국사회정책, 25(3), 103-130.
60 한국건강가정진흥원(2018).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안내.
61 함선유.홍백의(2017). 공식 돌봄과 비공식 돌봄의 관계-재가 노인돌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지, 69(4), 203-225.
62 홍승아(2018). 남성 육아휴직과 기업의 조직문화. 젠더와 문화, 11(1), 145-183.
6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64 고용노동부 보도자료(2018.1.26). 17년 육아휴직자, 8명 중 1명은 아빠.
65 Charles, K. K.. & Sevak, P.(2005). Can Family Caregiving Substitute for Nursing Home Care?, J. of Health Econ, 24(6), 1174-1190.   DOI
66 Davey, A. & Patsios, D.(1999). Formal and Informal Community Care to Older Adult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United States and Great Britain. Journal o fFamily and Economic Issues, 20(3), 271-299.   DOI
67 Van Houtven, C, H. & Norton, E. C.(2004). Informal Care and Health Care Use of Older Adults, J Health Econ, 23(6), 1159-1180.   DOI
68 Hillery, G. A.(1955). Definition of Community : Area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20. 111-123.
69 Motel-Klingebiel, A., Tesch-Roemer, C., & Von Kondratowicz, J. -J.(2005). Welfare States do not crowd out the family: evidence for mixed Responsibility from Comparative Analyses, Ageing and Society, 25(6); 863   DOI
70 Nisbet, R. A.(1966). The Sociological Tradition. New York: Basic Books.
71 여성가족부 홈페이지 (http://www.mogef.go.kr/nw/enw/nw_enw_s001d.do?mid=mda700&bbtSn=705978)
72 서울특별시 50플러스 재단 (https://www.50plus.or.kr/org/index.do)
73 오마이뉴스(2014. 1. 20). "모유수유 빼고 모두 가능 ... 나는 육아빠". 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1950009
74 한겨레(2018. 9. 4) 남성 육아휴직, 꿩 먹고 알 먹고.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60679.html
75 한국일보a(2018. 4. 2). 독거 중년남들 텃밭 가꾸며 수다. . . "외롭지 않아요"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804020475694684
76 한국일보b(2018. 9. 11). 우리 시대의 마이너리티 - 이혼, 실직, 부도에 은둔형 외톨이로 . . . 위기 내몰린 중년 1인 가구.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809100942095231
77 e - 나라지표. 여성경제활동인구 및 참가율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