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Successful Ageing among the Elderly : Influence of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You, Yong-Mi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Sunchon National Univ.)
Kim, Sunghee (Dept. of Social Welfare, Sunchon National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3, no.1, 2019 , pp. 1-1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successful ageing and the influencing factors focusing on social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to improve elderly's quality of life. The 300 respondents, all participants in programs at facilities for the elderly, were interviewed via a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for successful ageing among the participants was above average. Second, the level of successful ageing varied according to income and religion. Third, the common variables affecting active or emotionally successful ageing were support from friends,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and gender. It is suggested that the community should be informed of the importance of support from family through educational programs, as the elderly still want the support of family despite family's reduced role.
Keywords
successful ageing; support from family; support from friends; social network;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재중(2008).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 김정순(1988). 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정영.한상훈(2013). 노인의 평생학습 참여도가 심리적 안녕감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논총, 34(2),179-208.
4 김호정.허전(2008). 한글 SPSSWIN 14.0 통계 분석 및 해설. 서울: 삼영사.
5 김희영(2013). 농촌지역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관련된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사회 심리적 특질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희주.주경희(2008). 한국적 노후 성공적 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1(13), 125-158.
7 노준희(2014). 농촌거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모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경희(2006).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은희(2015).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을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주희(2017). 장기요양노인을 돌보는 가족의 부양부담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자원의 조절효과-장기요양재가서비스 이용자를 돌보는 가족부양자를 중심으로.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3), 121-139.
11 박현식(2008).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차별경험이 사기(morale)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1), 127-139.
12 백은미(2013). 노인의 사회적 여가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백지은(2008). 한국노인의 전통적 가치관에 따른 성공적 노화인식 차이. 한국노년학, 28, 227-249.
14 보건복지부.사회보장정보원(2018). http://www.bokjiro.go.kr.
15 서울시복지재단(2018). http://www.welfare.seoul.kr.
16 성혜영.유정헌(2002). 성공적 노화 개념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2), 75-93.
17 유계숙.김제희(2017). 효도계약과 불효자 방지법안에 대한 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의 태도. 보건사회연구, 37(1), 216-252.
18 신유진(2009). 노인의 비공식적 지지망 기능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신학진.전상남(2009). 노인의 이미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26, 165-187.
20 오인근.오영삼.김명일(2009). 저소득 노인들의 사회적 네트워크와 무망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관 서비스이용의 조절효과. 노인복지연구, 14(1), 111-130.
21 유호신(2001). 전국 법정복지대상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치매와의 상관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1(1), 139-149.   DOI
22 윤정원.엄기욱(2015). 여성노인의 긍정적 사회관계망 기능이 사회적관계망 접촉빈도와 성공적 노화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연구. 노인복지연구, 69, 171-192.
23 윤지원(2015). 노인의 여가활동 및 여가만족과 성공적 노화 인식의 관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윤현숙. 유희정(2006).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 5-31.
25 이미나(2016).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민주(2013).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송혜자(2009). 노인의 역할수행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이주환(2014). 노후 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 대한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전상남.신학진(2009). 주관적 건강 및 노인차별경험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9(4), 1383-1396.
30 이혜준(2017). 도시 초고령 노인의 친구관계의 경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정병은.이기홍(2009). 노인이 인식하는 사회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3), 1327-1340.
32 정여진.안정신(2010).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가족관계 변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2), 535-550.
33 최해경(2013). 노인의 성공적 노화수준과 예측요인. 사회과학연구, 24(1), 193-217.
34 정혜윤.정혜민(2016). 농촌노인의 지각된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지지, 건강증진 행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4), 2167-2181.
35 지승훈(2010). 노인의 여가활동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차경숙(2015). 노인의 여가활동 만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7 통계청(2018). http://www.index.go.kr.
38 홍성희 (2016). 노인의 삶의 질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1), 89-108.
39 홍성희.곽인숙(2012). 베이비부머세대의 성공적 노화 : 중산층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4), 69-92.
40 홍현방(2001). 성공적 노화 개념정의를 위한 문헌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홍현방(2002). 성공적인 노화와 노인의 종교성 관계 연구. 한국노년학, 22(3), 245-259.
42 홍현방(2005). 생산활동 수준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9, 203-235.
43 Mitchell, B. A.(1995). Successful aging: Integrating contemporary ideas, research finding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Springfield: Charles C. Thomas.
44 Atchley, R. C.(2000). Social forces and aging. Belmont. CA: Wadsworth Thompson Learning.
45 Baltes, P. B. & Baltes, M. M.(1991). Successful ageing perspective from the behavior scie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Ell, K. (1984). Social networks, social support, and health status : A review. The Social Service Review, 58(1), 133-149.   DOI
47 Rowe, J. W. & Kahn, R. L.(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 433-440.   DOI
48 고윤순.이정숙(2009). 노인대학에 참여하는 농촌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능력, 여가만족 및 성공적 노화. 노인간호학회지, 11(2), 226-235.
49 강신옥.방혜선(2010).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비교연구 : 충북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49, 287-310.
50 고대선.원영신(2005). 노인주거복지시설의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의 의미. 한국사회체육학회, 24, 413-424.
51 곽인숙(2011). 노인의 자녀와의 상호간 지원 교환이 성공적인 노후생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107-127.
52 김동배(2008).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0(1), 211-231.
53 김미령(2008).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 28(1), 33-48.
54 김미혜.신경림(2005).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5(2), 3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