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Impacts of Household Work Participation and Shared Activities on Marit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Kim, Su-Jin (Dept. of Social Welfare, Sungshin Women's Univ.)
Koh, Sun-Kang (Dept. of Social Welfare, Sungshin Women's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2, no.2, 2018 , pp. 65-8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s of household work participation and shared activities between couples on marit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among retired men and women with retired husbands. To investigate this, a survey of 367 married people is conducted on retired men and women with retired husbands.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marital relationship of retired men are found to be couples' shared activities, gender role attitude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marital relationship of women with retired husbands is influenced by shared activities by couples, the division of domestic labor, and gender role attitudes. The factors affecting retired men's depression are shared activities by couples, perceived health status, type of jobs before retirement, and age. Women's depression is related to household income, shared activities by couples, husbands' jobs before retirement,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division of household labor.
Keywords
household work; retirement; depression; marital relationship;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송혜림(2000). 맞벌이 가정에서 남편의 가사노동참여 실태. 생활과학논문집, 2(1), 103-115.
2 신화용(1996). 남편의 은퇴와 부부관계의 변화에 대한 탐색적 고찰. 사회과학연구, 덕성여자대학교, 4, 117-131.
3 신화용.조병은(1999). 은퇴한 남편을 둔 부부의 상호작용 특성과 결혼만족도. 한국노년학, 19(1), 31-45.
4 양지훈(2012). 가족 공유 활동이 부부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원영희(1995). 동.별거 형태가 한국 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5(2), 97-116.
6 유계숙.강수향.오아림.이주현(2011).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담이 남편과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1), 117-136.
7 유애리(1998). 신세대 주부의 가사노동 가치 인식 및 가사노동 수행과 가정생활만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기영.김외숙.구혜령(1995). 부부의 공유 여가 시간과 결혼만족도. 대한가정학회, 33(3), 113-126.
9 이선미.김경신(2002). 노년기 부부의 생활만족도와 우울 및 관련 변수 연구. 한국노년학, 22(1), 139-157.
10 이승원.김동배.이주연(2008). 중고령자의 은퇴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1), 107-125.
11 이재인(2010). 가사노동 참여에 관한 한국 대기업 남성들의 경험과 인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1), 119-134.
12 이종범.서혜수.정성덕(1984). 노인의 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4(1), 44-51.
13 이주연.김득성(2015). 남편의 은퇴 이후 중노년기 부부의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3(2), 179-193.   DOI
14 임소진(2011). 우리나라 중년기 성인들의 인지된 삶의 질 : 생태체계이론에 근거한 통합적 예측모델검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장은정(2006). 부부간 인식차이에 따른 은퇴 후 가족 관계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정순둘.김고은.김정원(2011). 은퇴한 배우자 를 둔 중고령 여성의 결혼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6(1), 137-155.
17 조유리(2000). 부부 갈등 및 갈등 대처 행동과 결혼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미숙(1995). 맞벌이 부부의 가사 역할 공유와 결혼 만족도의 관계 연구. 생활과학연구논집, 15(1), 41-69.
19 조지은.김양희.박정윤(2007). 기혼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관한 연구: 부모기전이 부부를 대상으로. 생활과학논집, 25, 103-117.
20 채로(2004).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 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채옥희.송복희(2006). 30대 주부의 가사노동 수행과 가정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가정과학회지, 9(4), 14-26.
22 최동숙(1991). 가정 자원 관리 체계 구성 요소 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통계청(2017). 2016 혼인이혼통계. 통계청.
24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0). 베이비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25 한국일보(2017.12.23). 삼식이 남편 둔 아내들 "나에겐 왜 정년퇴직이 없나" 분통. http://www.hankookilbo.com/v/3e2de1882fd14238ba66f2fc58bdc6d4.
26 Glass, J., & Fujimoto, T.(1994). Domestic labor, paid work, and depression among husbands and wive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5(2), 179-191.   DOI
27 Kluwer, E. S., Hessink, J. A., & Evert Van de Vliert.(1996). Marital conflict about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nd paid work.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8, 958-969.   DOI
28 기백석(1996).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의 표 준화 예비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 35(2), 298-307.
29 고선주(2017). 서울시 5060세대의 부부관계 특성 및 가족프로그램 요구. 50+리포트, 서울시 50플러스 재단.
30 권은비(2010). 은퇴 관련 변수와 부부관계의 질이 은퇴한 남성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김명자.박미금.송말희(2005). 남성 퇴직자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3(2), 143-158.
32 김미영.손서희.박미석(2011). 한국 중고령 남성의 은퇴 경험과 은퇴 후 삶의 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65-78.
33 김선미.이기영(2006). 주부의 '일상적 살림살이'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4), 109-124.
34 김여진.박선영(2013). 은퇴여성노인의 우울에 관한 연구: 성별비교분석. 사회과학연구, 24(3), 309-332.
35 김영혜(2004). 유배우 노인의 성역할 태도.가사 노동 분담 및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김주희.이기영.최현자(2009). 은퇴자의 은퇴 이후 생활수준 변화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4), 73-92.
37 김태현.박주희(2005). 부부의 성역할 태도에 따른 부부관계 향상.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3), 79-106.
38 김태현.전길양(1997). 노년기 부부의 상호 간지지와 역할 공유 및 결혼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7(2), 167-182.
39 김효정(2007). 남성노인의 은퇴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박정윤.한은주.이희윤(2014). 은퇴 전.후 중년기 부부관계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117-133.
41 서미숙.성효용(2017). 배우자 간의 시간 공유가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여성경제연구, 14(1), 103-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