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Study of the Time Use of Unmarried Single Households -With a Focus on Meal Acivities and Leisure by Gender and Employment Status-  

Song, Hye-Rim (University of Ulsan, Child and Family Welfare)
Kang, Eun-Joo (University of Ulsan, Child and Family Welfare)
Kim, Min-Joo (Seoul Dongdaemunku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2, no.2, 2018 , pp. 45-6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ime allocation in unmarried single household. It examined meal activities and leisure by gender and employment status using the 2014 time-use survey data of 1,664 cases provided by Statistics Korea. Descriptive statistics, a paired t-test, and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4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time for meal activities in unmarried single households was 125 minutes. Most meal activities consisted of eating activities, and the meal preparation time was about 19 minutes. Females spent much longer time in meal preparation than males. Leisure time was 285 minutes, and the longest time spent of leisure activities was spent using medias. Males' total leisure time was longer than females' total leisure time. Finally, employed individuals spent much longer periods of time in leisure than unemployed individuals. All the results showed differences between genders and employment status.
Keywords
single households; time use; meal activities; leisur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은나.김혜진.김영선(2017). 도시지역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수준. 보건사회연구, 37(2), 184-216.
2 강은주(2017). 노인 1인가구의 여가생활시간. 한국 가족자원경영학회 2017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3 고지영.이연숙.안소미(2015). 농촌 주거취약 청장년 1인가구의 심리적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규명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4 김도희(2015). 검색데이터 분석의 사회과학 연구에의 적용과 시사점: 청년 1인가구 생활실태분석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9(1), 75-95.
5 김외숙.송혜림.조희금.김주희(2016).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 집단의 근무일과 비근무일 생활시간 배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3), 25-43.
6 김은경.조춘한(2015). 스마트폰을 활용한 온라인 시대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1인가구와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16(4), 231-263.
7 김태주.안정근.정오락(2015). 농어촌지역 1인 가구 주택공급 방향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5(5), 1199-1207.   DOI
8 김현아.조영아.김요완(2014). 탈북 1인가구의 남한생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4), 321-354.
9 김희연(2016). HMR 상품의 선택속성이 1인가구의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온라인 리뷰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지, 22(8), 109-121.   DOI
10 뉴스핌(201.10.6). 나혼자 산다, 1인가구용 '일코노미 재테크'. http://www.newspim.com/news/view/20170929000299.
11 네이버 이슈(2016.2.20). 1인가구가 바꿔놓은 먹고 살고 노는 풍경. https://blog.naver.com/mychefnz?Redirect=Log&logNo=220635367876.
12 박근화.김지학.곽신석.이충희(2015). 1인가구와 2인 이상 가구의 문화소비지출 추세비교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5), 2495-2508.
13 박문수.정호근.김화년.고대영(2015). 1인 가구의 품목별 소비지출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2), 987-994.   DOI
14 박수연.김영주(2013). 1인가구의 주거환경 및 주거서비스 요구 분석 - 2000년 이후 선행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15 박재홍.유소이(2016).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식품소비행태 및 식생활 만족도 분석. 농업경제연구, 57(2), 103-138.
16 박현우.나건(2015). 1인가구의 소비 패턴을 반영한 외식업 서비스 방향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5(3), 697-704.
17 배건이.정극원(2014). 1인가구 주거지원을 위한 주택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토지공법연구, 64, 157-176.
18 서명희.김영희.이현옥(2017). 1인가구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 연구: 미혼과 기혼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 718-727.   DOI
19 서지원.양진운(2017). 청년 1인가구의 성별 생활시간 사용구조와 주관적 시간빈곤: 부부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55(5), 451-463.
20 서지원(2017). 가정안전에 대한 사회자본의 효과분석: 1인가구와 한부모가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2), 25-50.
21 성영애(2013). 군집분석을 통해 살펴본 1인가구의 연령대별 소비지출패턴. 소비자학연구, 24(3), 157-181.
22 송완구.임지은.도해용(2015). 1인가구의 관광참여행동에 관한 연구: 국민여행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대한관광경역학회, 30(6), 193-216.
23 송유진(2007). 사별 후 혼자 사는 노인 1인가구의 특성: 지역별 분포와 사회경제적 특성,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8(1), 147-160.
24 송혜림(2016). 건강가정정책의 트렌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6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5 송혜림(2017). 가족정책의 동향.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종사자교육 자료집.
26 신미림.남진(2011). 서울시 1인가구의 주택수요 예측. 국토계획, 46(4), 131-145.
27 신상영(2010). 1인가구 주거지의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사례로. 대한민국통계학회지, 45(4), 81-95.
28 심애리.박성신(2017), 군산시 노인 1인가구의 현황 및 커뮤니티센터 요구도 분석.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9(4), 29-40.
29 어경은.김승인(2016). 1인가구 증가에 따른 가구브랜드 발전 방안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4(8), 393-398.   DOI
30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2016). 1인가구 보고서.
31 엠브레인 리포트(2015). 1인가구 관련 조사.
32 연합뉴스(2017.4.13). 청년 1인가구, 10평 집에 살며 1년 3개월만에 이사.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4/12/0200000000AKR20170412169600003.HTML.
33 은기수.김외숙.조희금.송혜림.서지원.김은지.차승은(2015). 201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를 활용한 한국인의 삶 심층분석. 통계청위탁연구 보고서
34 염혜실.권오정(2014). 노인 1인가구를 위한 시니어 쉐어하우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5(6), 123-132.
35 우민희.이명진.최샛별(2015). 청년세대 일인 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세대 다인가구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6(1), 201-231.
36 원종현.정재은(2015). 소비가치에 따른 1인가구 세분화와 구매행동: Sheth의 소비가치이론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26(1), 73-99.
37 이선희.윤동현.고준환(2015).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서울시 1인가구의 연령별 분포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3(3), 11-21.
38 이은주.권오정(2015). 청년 1인가구를 위한 소형주택에서의 스마트홈서비스 선호도에 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234-3571.
39 이재수.양재섭(2013). 서울의 1인가구 특성과 거주 밀집지역 분석을 통한 주택정책 방향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48(3), 181-193.
40 이지유.신애선(2015).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2년)를 이용한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채소와 과일 섭취 비교. 한국영양학회, 48(3), 269-276.
41 이철성.김장현(2016). 식료품 쇼핑에 있어 일반가구와 1인가구의 충동구매 차이. 한국물류학회, 26(1), 111-126.
42 이현정(2012). 한국과 미국의 1인가구 특성 비교.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43 장연주.이기영.최현자(2012). 여가시간과 시간압박감의 관계: 성별에 따른 성역할 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4), 195-211
44 장용현.이보순.이종호(2016). 1인가구 형태의 식생활유형이 외식선택속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지, 22(5), 25-36.
45 윤소영(2017). 노년 1인가구의 여가적 삶과 행복.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7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46 조필규(2016). 1인가구의 경제적 특성이 외식산업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1(4), 321-331.   DOI
47 정운영.정세은(2011). 1인 노인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 연구: 저소득가구와 고소득가구의 비교. 한국노년학, 31(4), 1119-1134.
48 조미라(2016). 여가시간 불평등 연구. 한국인구학, 39(1), 29-57.
49 조영희(2017). 1인가구 시대, 가족자원경영학적의 과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7년 추계학술대회 기조강연.
50 차승은(2010). 남녀의 시간압박인식 차이와 관련요인 탐색. 한국인구학, 33(1), 27-49.
51 최민영.김승인(2017).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소셜로봇의 역할에 관한 고찰: 1인가구 생활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5(2), 295-300.   DOI
52 최은정.박수빈(2017). 원룸 도시형 생활주택거주자의 수납가구 사용 요구에 관한 연구-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8(1), 27-36.
53 통계청(각년도). 인구주택총조사.
54 통계청(2015). 201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55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5). 2015 빈곤통계연보.
56 한국일보(2017.10.6). 1인가구가 이렇게나... 소형 오피스텔이 답이네. http://www.hankookilbo.com/v/830dfe7b9c134e518453ac50647e2b05.
57 허윤경.심기현(2016). 수도권에 거주하는 1인 가구 식생활 태도 조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9(5), 735-745.   DOI
58 호정화(2014). 비혼과 1인가구시대의 청년층 결혼 가치관 연구: 혼인 및 거주형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7(4), 25-59.
59 황성은.강부성.박지연(2013). 주택유형별 1인가구의 범죄 안전성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4(4), 9-17.
60 KB 금융지주경영연구소(2017). 2017 한국 1인가구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