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Middle-Aged and the Elderly People's Anxiety about Economic Chang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Hong, Sung-Hee (Dept. of Consumer Information Studies, Keimyu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1, no.2, 2017 , pp. 95-11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anxiety about economic change in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is anxiety. The data, derived from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 were collected from Survey Research Center of Sung Kyun Kwan University. The samples included 821 people over the age of 40, including 529 middle-aged people who were from 40 to 59, and elderly people who were over 60.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showed that age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had crucial effects on the entire group's anxiety about unemployment and poverty, housing prices, financial markets, and economic recession in the older life. For the middle-aged group, age in particular had crucial effects on all the components of its anxiety about economic change. For the elderly group, geographical region was the most critical factor that affected its anxiety about economic change, the elderly people who were living in metropolitan area and towns had more anxiety than those who were living in rural areas. In particular, region was the only factor that affected the elderly group's anxiety about financial markets, and economic reces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specific age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had the crucial effects while their sex, educational level, and the employment status of their spouse had no effects on their anxiety about economic change. Objective economic indices such as their earned-income and other income including savings and pensions had no effects on their anxiety level. While as noted above subjective economic indices such as their standard of living compared with their parents, projected economic status, and level of socio-economic success had an effect on anxiety about economic change.
Keywords
anxiety about economic change in older life; standard of living compared with parents; projected economic status; level of socio-economic succ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소정(2009). 우리나라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에 관한 인식과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1, 72-80.
2 이윤경(2013). 경제적 노후준비실태 및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 이정화(2009). 광주 전남 중년층의 노년기 인식과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노후준비: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2), 275-289.
4 이정희. 안영식. 윤소정(2007). 노인과의 동거 및 노인에 대한 교육 경험이 노화지식 및 노후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7(2), 345-355.
5 정순둘. 박현주. 김보경(2011). '고령화 사회 (Ageing society)'에 관한 인식과 대책-신문기사를 통한 동향분석. 한국사회복지학, 63(4), 203-223.
6 정순둘. 정윤경(2012).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과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32(2), 541-557.
7 정순둘. 이현희(2012). 가족특성과 노후준비의 관계 : 베이비붐 세대와 예비노인세대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58, 209-232.
8 조명덕(2010).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원인 및 경제적 효과분석. 사회보장연구, 26(1), 1-31.
9 조선일보(2017). '고령사회' 1년 일찍 왔다, 2017. 2. 22일자 사회 A12면.
10 조성숙. 서훈(2011). 우리나라 중년 남성과 여성의 노후에 대한 인식 차이 연구: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2(4), 707-717.
11 정경희. 이소정. 이윤경. 김수봉. 선우덕. 오영희. 김경래. 박보미. 유혜영. 이은진 (2010). 베이비 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12 최순옥. 김숙남. 신경일. 이정희(2008). 일부지역 성인의 노후불안, 한국노년학, 28(1), 19-32.
13 최태을. 권경주. 최미영(2016).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1(4), 221-242.
14 최혜지. 정순둘(2012). 노후불안과 고령화 사회에 대한 불안 : 지식과 태도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2), 91-116.
15 홍성희. 곽인숙(2006). 중년기 남녀 봉급생활자의 은퇴계획 비교분석: 경제적 준비와 건강 준비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193-207.
16 홍영오. 송관재. 박수애. 이혜진. 이재창(2006). 한국사회의 사회적 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2, 121-160.
17 Harris, L.A. & Dollinger, S.M.C.(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sonality traits and anxiety about ag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4, 187-194.   DOI
18 Miller, D.A.(1981). The sandwich generation: Adult children if the aging, Social Work, 26, 419-423.
19 Lasher, K.P. & Faulkender, P.J.(1993). Measurement of aging anxiety: development of the anxiety about aging scal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37(4), 247-259.   DOI
20 Larson, R.(1977). Thirty years of research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older Americans, Journal of Gerontology, 33, 109-125.
21 Lazarus, R.S. & Lazarus, B.(1994). Passion & Reason: Making sense of our emo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2 Lynch, S.M.(2000). Measuerment and prediction of aging anxiety. Research on Aging, 22(5), 533-558.   DOI
23 Klemmack, D.L., & Roff, L.L.(1984). Fear of personal aging and subjective well-being in later life. Journal of Gerontology, 39, 756-758.   DOI
24 Orthner, D.K.(1981). Intimate relations: An introduction to marriage and the family, Reading, MA: Addison-Wesley.
25 김주성. 최수일(2010).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 지학, 15(3), 97-119.
26 강은나. 김혜진. 김영선(2012). 베이비부머의 노년기 근로지속의사 및 근로형태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55), 159-182.
27 김양이. 이채우(2008). 중년층의 노후준비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9, 55-82.
28 김왕배(2002).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안전의식 조사연구, 국무총리실 안전관리개선계획단.
29 박수애. 송관재(2005). 사회적 불안이 개인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1, 1-29.
30 박선영(1999). 사회적 지지가 저소득층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박주희(2016). 베이비부머 세대의 가족 특성이 노후준비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4), 1-18.
32 박창제(2016). 베이비붐 세대와 베이비붐 직전세대의 사적 재무적 준비와 영향요인 비교, 노인복지연구, 71(3), 305-333.
33 박형수. 홍승현(2011). 고령화 및 인구감소가 재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 조세연구원.
34 방하남. 신동균. 이성균. 한준. 김지경. 신인철(2010).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근로생애, 한국노동연구원.
35 보건복지부(2010). 저출산 고령화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보고서. 보건복지부.
36 박길성(2011).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연금과 일자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2(1), 3-25.
37 백은영(2011). 베이비부머의 은퇴 준비와 준비 유형 결정요인 분석, 사회보장연구, 27(2), 357-383.
38 백지은(2014). 노인의 노후불안과 자살생각에 관한 연구, 사회연구, 26, 151-176.
39 백지은(2015). 고령친화산업 서비스 이용경험과 노후불안에 대한 연구- 서울과 경기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 지역산업연구, 38(1), 47-65.
40 설동훈(1998). 한국인의 위험인식, 한국사회과학, 20, 22-61.
41 신계수. 조성숙(2011). 베이비붐세대의 직업만족도와 경제적 은퇴준비실태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5(3), 41-50.
42 유용식(2013).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2),738-747.
43 이선형. 최은희(2010). 안정적 노후준비 가계의 특성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193-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