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Effect of Rearing Grandchildren and Parenting Efficacy on Life Satisfaction  

Jeon, Eunmi (Dept. of Social Welfare, Sungshin University)
Koh, Sun-Kang (Dept. of Social Welfare, Sungshi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0, no.4, 2016 , pp. 69-8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researched the life satisfaction of grandparents currently rearing grandchildren between 0 to 6 years old. We conducted a survey in Seoul, Gyeonggi-do, and Jeolla-do, collecting 134 questionnaires in tot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ing efficacy of grandparents presently rearing grandchildren had a profound impact on life satisfaction. Precedent studies revealed that the physical conditions of grandparents, their education levels, and household income were factors related to the life satisfaction of seniors.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arenting efficacy had a far greater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an other factors. It was revealed in this study that parenting efficacy is a very important variable for life satisfaction, not only for mothers and grandmothers but for all grandparent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ndchildren also had an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ir grandparents, although not more than parenting efficacy. Out of the characteristics of grandchildren, variables including sex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ease were shown to ha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Secondly, the difficulty of parenting activities influence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efficacy has an impa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grandparents. The more difficult the parenting activities of grandparents, the lower the parenting efficacy, and the higher the parenting efficacy,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of grandparents.
Keywords
rearing grandchildren; life satisfaction; parenting efficac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상경(2012). 삶의 만족도와 관련요인의 세대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한 베이비붐세대와 이전 및 이후 세대 간 비교. 한국복지연구, 43(4), 91-119.
2 김문정(2009). 손자녀 양육 조모의 생활만족도 구조모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미령(2014). 손자녀 돌봄노동이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26(1), 178-204.
4 김수정(2015). 맞벌이 부부의 배우자 지지와 직무 만족과의 관계에서 일-가족 향상의 매개효과: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은정(2012). 손자녀 양육 조모의 양육보상감 및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32(3), 851-867.
6 김지현(2011).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효능감, 부모역할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5), 49-57.
7 박기남(2004).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차이. 한국노년학회, 24(3), 13-29.
8 배지희.노상경.권경숙(2008). 조부모의 영유아기 손자녀 양육 현황 및 양육 지원에 대한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379-410.
9 신숙재(1997).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안지영(2000).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오진아(2006). 취업모 가정에서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 아동간호학회지, 12(3), 368-376.
12 이윤진.권미경.김승진(2015). 조부모 영유아 손자녀 양육 실태와 지원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13 이현진(2015).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의 삶의 만족도와 관련변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지현(2012).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도남희.김정숙.하민경(2013). 영유아생활시간조사. 육아정책연구소.
16 전연우.김윤숙.조희숙(2012). 손자녀 양육과정에서 경험하는 외할머니의 심리적 상태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175-199.
17 통계청(2015).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 보도자료(2015.7.8.)
18 전혜정.조규영.박민경.한세황(2013). 손자녀 양육자로의 전이가 조부모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3(3), 515-536.
19 조영숙.이양희(2007).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취학 전 아동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5(4), 97-112.
20 최명희(2012). 영유아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DOI
22 Neugarten, B., Havighurst, R. & Tobin, S.(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1), 134-143.   DOI
23 Medley, M. (1976).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person sixty-five years of age and older. Journal of Gerontology, 31(4), 448-455.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