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f attitudes toward childbearing and the need to childcare support policie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Song, Hyerim (Dep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Ulsa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0, no.3, 2016 , pp. 67-9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ttitudes toward childbearing and the need for policies supporting childcare according to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Data from 6 employed and 6 unemployed housewives with 1 child were collected using in-depth interviews. The main results from the data analysis comprised 4 themes: 1. the ideal and the real about childbearing; 2. changed experiences after bearing the first child; 3. the meaning of parenting; and 4. husband's division of household/caring labor. A difference 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 housewives was founded in their attitude toward childbearing. Furthermore, it was verified that the respon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present policies and services for childbearing and childcare and they required existing policies to be more effective. The implications for related polices a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Keywords
attitude for child-bearing; child-caring support policy; needs to polici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8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권영인(2013). 출산장려정책 및 경제 상황 인식과 가족 가치관이 미혼 남녀의 미래 예상 출산 자녀수에 미치는 영향: 생태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1), 75-92.
2 김은정(2013). 미취학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일 가정양립정책 인지도와 이용의향 : 시간지원정책과 서비스지원정책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4(2), 617-642.
3 김일옥. 왕희정. 정구철. 최소영(2011). 출산 장려정책과 근로시간이 기혼여성의 둘째아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4(3), 139-155.
4 김정석(2007). 기혼여성의 출산아수별 추가출산계획. 한국인구학, 30(2), 97-116.
5 마미정(2012). 맞벌이 부부의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출산기피 요인 탐색 연구. 부모교육연구, 5(1), 75-116.
6 목진휴. 안미영. 김병준(2013). 아동 돌봄 정책의 기대와 만족에 관한 인식연구 -한국의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2(2), 207-231.
7 박수미(2008). 둘째 출산 계획의 결정요인과 가족 내 성 형평성. 한국인구학, 31(1), 55-73.
8 박은정. 이성림(2013).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자녀양육시간유형에 따른 시간부족감 및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97-111.   DOI
9 박찬화(2012). 10개월 이하 영아를 둔 취업모의 양육지원체계, 자녀가치관 및 심리적 안녕감이 둘째아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50(1), 95-111.
10 방은령(2014). 출산장려정책방안을 위한 탐색적 연구 -셋 이상 자녀를 둔 부모를 중심으로. 놀이치료연구, 17(1), 53-74.
11 배광일. 김경신(2012). 가족가치관 및 출산정책이 희망자녀수 출산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43(3), 239-266.
12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www.mohw.go.kr
13 송헌재. 김지영(2013). 출산장려금이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재정정책논집, 15(1), 3-27.
14 송혜림(2012). 남성의 일-가정 양립 실태와 요구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18.
15 김경선. 오진환(2007). 여대생의 자녀출산에 대한 태도 연구-Q 방법. 주관성연구, 15, 149-161.
16 송혜림. 권혜진. 진미정. 이현아(2012). 현 정부의 가족정책 평가 및 차기 정부의 가족정책과제. 가정학실천위원회 단기정책연구과제 자료집.
17 송혜림. 박정윤. 이완정. 성미애. 서지원. 진미정(2009). 부모역할 지원정책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6), 91-108.
18 송혜림. 유아랑(2013). 돌봄노동의 사회적 지원 정책을 통해 본 일-가정 양립 실태에 대한 연구 : 학령전기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4), 101-125.
19 신윤정(2008). 보육. 교육비 부담이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분석. 보건사회연구, 28(2), 103-134.
20 은기수. 김외숙. 조희금. 송혜림. 서지원. 송유진. 김은지. 차승은(2015). 201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를 활용한 한국인의 삶 심층분석. 통계청 위탁 연구 자료집.
21 이명호(2013). 출산장려정책으로 인한 여성의 출산의식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4), 127-144.
22 이민아(2013). 계획적 무자녀가족-한국 사회에서 아이 갖기의 의미와 가족주의의 역설. 한국사회학, 47(2), 143-176.
23 이선형(2009). 자녀교육비 및 노부모에 대한 생활비 지원이 둘째자녀 출산의도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20-45세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2), 42-63.
24 이성림(2010). 자녀양육비와 둘째 자녀 출산의도. 대한가정학회지, 48(10), 105-119.   DOI
25 이성용(2006). 경제위기와 저출산. 한국인구학, 29(3), 111-138.
26 이소영(2008).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15-30.
27 이연주. 김재일(2009). 출산장려정책의 인지도와 직종에 따른 효과적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 35(1), 61-90.
28 이완정(2009). 취업모의 일-자녀양육 양립 부담감과 영유아기 자녀를 위한 시간연장 보육서비스 요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4), 117-126.
29 이진숙. 최원석(2012).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계획 경로에 관한 연구-성역할태도, 일가족양립갈등, 결혼행복감과 출산계획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연구, 43(4), 5-30.
30 임성옥(2012). 기혼남녀의 재출산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차승은(2008). 부모역할의 보상/비용과 둘째자녀 출산계획 :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3, 111-134.
32 천혜정(2005). 둘째자녀 출산 희망에 대한 배우자간 차이와 이에 따른 집단간 특성 분석.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25-22.
33 통계청(2016). 2015년 출생 사망 통계.
34 한국경제(2016.4.26). 첫째도 이리 힘든데 둘째가 웬 말?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42511861.
35 한은주. 박정윤(2006). 한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선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11), 1-12.
36 홍승아(2013). 가정내 육아지원정책 현황과 개선방안: 양육수당과 아이돌봄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정책세미나 자료집.
37 정은희. 최유석(2013). 기혼여성의 둘째자녀출산계획 및 출산과 관련된 요인. 보건사회연구, 33(1), 5-34.
38 정혜은. 진미정(2008). 취업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의도. 한국인구학, 31(1), 151-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