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Perceptional Discrepancy of Emotional Coaching between Mother and Child and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Kim, Seo-Young (Dept. of Consumer and Family-Child Studies Graduate School, Sunchon National Univ.)
Kim, Sunghee (Dept. of Social Welfare, Sunchon National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0, no.2, 2016 , pp. 1-1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emotional coaching communication and to contribute to the mental health of youth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al discrepancy of emotional coaching between a mother and her child related to the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Two hundre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s and their 200 mothers living in Suncheon were purposefully sampl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rogram SPSSVIN 2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perception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eir children's in emotional coaching communications. Second, pairs of mothers and children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ir emotional coaching communication. There were more pairs with discrepancies of perception of emotional coaching than pairs with corresponding perceptions. Third, the pairs with corresponding perceptions of emotional coaching showed fewer maladjustment problems. According to the mothers' descriptions, a sneering child appeared to have the worst effect with respect to maladjustment.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 on emotional coaching for mothers should be developed and increased to prevent maladjustment problem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Keywords
adolescent; emotional coaching; communication; maladjust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이영경 (2008). 부모-자녀의 의사소통에 대한 지각일치도와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이용숙, 김영화, 최상근 (1988). 어머니의 취업과 학교교육 및 자녀의 성취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 이요나 (2007).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이지미 (2010). 청소년이 지각한 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이지현, 최정임 (2011).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이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찬주 (2009). 부모의 부부갈등과 아동기 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조붕환, 임경희 (2003).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자기보고형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15(4), 729- 746.
8 조수철, 남민 (1994). 소아와 청소년의 행동장애와 우울, 불안증상과의 상호관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33(6), 1273-1283.
9 조주연 (2013). 가족 적응력 및 결속력과 청소년의 문제 행동과의 관계: 순환모델의 곡선성대 선형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존 가트맨(John Gattman), 남은영 (2007). 내 아이를 위한 사랑의 기술 : 감정코칭. 서울 : 한국경제신문사.
11 차은정 (1993). 청소년 스트레스와 가족체계 및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최성애, 조벽 (2012). 청소년 감정코칭: 교사와 부모들을 위한 사랑의 기술. 서울 : 해냄출판사.
13 최인재, 김혜인 (2012).아동 청소년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II:조사 결과 자료집.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4 최인재, 모상현, 이선영, 김혜인, 이재연 (2012).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II :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5 Achenbach, T. M. (1991).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4-18, and 1991 profile. Burlington, VT :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16 최정혜 (2013). 코칭철학을 적용한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증등교육연구, 25, 199-214.
17 한국일보 (2015.05.29.). "중2병 퇴치법? 자녀와 놀이부터 해보세요". http://www.hankookilbo.com.
18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1). 전국 청소년 문제행동 실태조사 연구: 기초실태조사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Barens, H. L. & Olson, D. H. (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cale. In D. H. Olson, H. I. McCubbin, H. Barnes, A. Larsen, M. Muxen & M. Wilson(eds) Family Inventorries. St Paul, MN :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asota.
20 Barens, H. L. & Olson, D. H., (1985).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Home Economics, 62(5), 344-345.
21 Guilamno-Ramos, V., Jaccard, J., Dittus, P. & Bouris, A. M.(2006). Parental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accessibility :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dolescent risk be havior.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8(5), 1229-1246.   DOI
22 Hartos, J. L., & Power, T. G. (2000). Association between mother and adolescent reports for assessing relations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dolescent adjustment.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9, 441-450.   DOI
23 Hock, E., Eberly, M., Bartle-Haring, S., Ellwanger, P. & Widaman, K. F. (2001). Separation anxiety in parents of adolescents: theoretical significance and scal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2(1), 284-298.   DOI
24 김진주, 조규판 (2012). 청소년의 스트레스, 부모-자녀 의사소통, 우울 및 자살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20(2), 251-270.
25 Noller, P., Seth-Smith, M., Bouma, R. & Schweitzer, R. (1994). Parent and adolescent perceptions of family functioning : A comparison of clinic and non-clinic families. Journal of Adolescence, 15(2), 101-114.   DOI
26 강민희 (2007). 부모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관계.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김순미 (201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학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김지은 (2013).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유형과 또래 관계에서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김진수 (2012).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기업관리자의 코칭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김현주, 손정희 (2009). 부-모 및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일치유형과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2, 315-342.
31 김호정, 허전 (2008). 한글 SPSS WIN 14.0. 서울 : 삼영사.
32 나탈리 르비살 (Natalie Levisalles) 지음. 배영란 옮김 (2011). 청소년, 코끼리에 맞서다. 서울: 한울림.
33 도미향, 정은미 (2012). 대학에서의 코칭학의 교육과정안. 2012년도 한국코칭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34 류성진 (2007). 어머니와 자녀간의 의사소통 행위와 어머니의 감정지도에 대한 지각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그리고 어머니의 감정지도에 대한 지각과 자녀의 감정조절능력에 대한 지각과의 관계에 대한 추가분석. 언론과학연구, 7(3), 116-150.
35 서숙경, 김은경 (2012). 감정코칭 부모교육이 어머니의 정서반응 태도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16(1), 95-109.
36 박진희 (2014). 부모와 자녀의 지각차이 연구: 가족사정척도(FAD)와 부모-자녀 의사소통 척도(PASC)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9(1), 103-124.
37 박지은 (2012). 감정코칭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보건복지부 (2009). 2008년 아동청소년 종합실태조사.
39 서윤정 (2010). 중학생의 자아상태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및 학교부적응행동 간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서주연, 정남운 (2011).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대상 신뢰가 자녀와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문제형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신연희 (2001). 자아존중감, 청소년 비행, 그리고 어머니의 역할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13(1), 107-132.
42 안혜원 (200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부모애착 및 부모감독의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2013). [동상이몽] 10대 자녀 vs 10대부모: 상호간 의사소통 및 양육방식 관련 인식평가. 서울 : embraintrendm onitor.
44 이명순, 김종운 (2014).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2(1), 335-356.
45 유천기 (2013).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과 친구관계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정서지능을 매개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이동훈 (2010). 중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학교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논단, 9(1), 185-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