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Public Services for Families in Crisis - focused on the Family empowerment program at the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 -  

Jeong, Jeeyoung (Dept. of Social Welfare, Yeojoo Univ.)
Park, Jeongyoon (Dept. of Psychology, Chungang Univ.)
Koh, Sunkang (Dept. of Social Welfare, Sungshin Women's University)
Lee, Heeyun (Dept. of family welfare, Chungang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19, no.3, 2015 , pp. 101-11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urrent performance of the public services for families in crisis by analyzing the family empowerment service in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s. We analyzed performance data of the family empowerment service provided by 25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s from 2011 to 201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families in crisis which received public services from the family empowerment service by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in 2013 were less than the number in 2011, but increased from 2012. Second, according to the types of crisis, school violence was the most service needed family crisis in 2011, and it was suicide in 2012 and 2013. Third, in the specific services in emergency support for families and family function recovery program,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services were the most offered services during 3 years. Accordingly, efficiency of the programs and services in terms of budget is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services. Fourth, analys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amily empowerment services in 2014, we found that its network is still heavily weighted in certain side by the lack of the utilization and the foundation of the network.
Keywords
family empowerment services; families in crisis; public services for families in cri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승권.김연우(2012). 한부모 가족정책의 실태와 정책적 제언, 보건복지포럼, 59-69.
2 김승돈.김용환(2009). 가족탄력성이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노인복지학회, 45, 7-31.
3 김안자(2005). 가족레질리언스가 한부모가족의 가족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유경.김양희.임성은(2009). 한국가족의 위기변화와 사회적 대응방안 연구-경제위기 이후 가족생애주기별 위기유형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 김행섭.김진숙(2008). 상담일반 : 자녀 스트레스가 여성 한부모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처전략과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9(4), 1567-1584.
6 노정자.강기정(2012). 한부모 이혼 남성의 홀로서기과정.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pp.145-163.
7 박정윤(2012). 위기가족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7(4), 35-62.
8 박충선(2010). 조손가정의 형성원인과 양육 경험에 따른 조모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2(2), 105-125.
9 배은숙.강기정(2006). 시설청소년의 가족인식 및 건강가정 형성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요구-시설청소년과 퇴소자 대상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2), 107-125.
10 서해정.민소영.안태윤.이사라(2011).경기도 위기가정 생활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경기도 여성가족연구원.
11 손진분.박미려(2007). 한부모 가정의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3), pp.45-65.
12 송혜림.박정윤.라휘문.오문완(2011). 2014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평가지표 개발.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위탁연구 보고서.
13 송혜림.성미애.진미정.박정윤(2009). 경제위기와 가정 가족의 일상과 대안 (사) 가정을 건강하게 하는 시민의 모임 2009년도 1차 가족정책포럼 자료집. (사) 건강하게 하는 시민의 모임.
14 경기복지재단(2014). 무한돌붐 사업 운영매뉴얼. 경기복지재단.
15 여성가족부(2010). 2010년 조손가족 실태조사.
16 송혜림.김유경.조영희(2012). 2011 건강가정지원센터 조손가정 지원 시범사업의 성과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83-107.
17 신연희(2012). 수용자 위기가족의 문제와 지원방안: 탄력성이론의 접근. 한국범죄학, 6(2), 123-156.
18 여윤경(2003). 경기변동기의 가계재정관리전략.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2003년도 제7차 춘계학술대회, 65-84.
19 여성가족부(2014). 가족역량강화사업 매뉴얼. 여성가족부.
20 이미영(2007). 조손가정의 형성과정 및 생활 실태. 복지행정논총, 17(1), 203-230.
21 이연숙.한지수.한영선.김하늬(2009).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에 게재된 연구의 경향 및 발전방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207-226.
22 이정연(2011). 사회환경변화와 가족의 위기관리. 한국가족관계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13-28.
23 전재일.이종복.조운희.이준상.이애재.이성희(2007). 사회복지실천론. 서울: 형설.
24 정지영.박정윤.고선강(2014). 가족역량강화 사업의 개선방향 및 표준화 모델 개발. 여성가족부.
25 조희금.송혜림.박정윤.권태희.김경화.김혜영.윤소영.윤진숙.이진숙.정민자(2010). 2010년 제2차 가족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6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11a). 조손가족 희망사다리 사업 운영 매뉴얼.
27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11b). 조손가족 희망사다리 사업 개요.
28 최숙희(2003). 최근의 경기동향 분석과 가계의 대응전략.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학술대회 논문집, 2003년도 제7차 춘계학술대회, 3-38.
29 최현미.장수미.김연수.김혜성(2009).아동의 범죄피해를 경험한 위기가족의 사회적 지원체계 구축 연구. 사회보장연구.49(2), 195-226.
30 한인영.김연미.장수미.최정숙.박형원.이소래 역(2001), 위기개입, 나눔의 집.
31 한국사회복지관협회(2013). 사회복지관 사례 관리현황 보고서 및 사례관리 우수사례집. 한국사회복지관협회.
32 Figley, C. R.,(1994). Helping traumatized family. San Francisco; Jossey & Bass Co.
33 James, R., & Gilliland, B,.(2001). Crisis Intervention Strategies(4th ed.). Pacific Grove, CA: Brooks/Cole.
34 Roberts, A, R., & Everly, G, S.,(2006). A Meta-Anaysis of 36 Crisis Intervention Studies, Brief Treatment and Crisis Intervention, 6(1), 10-21.   DOI
35 Walsh F. (2007). TraumaticLossand Major Disaster: Strengthening Family and Community Resilience, Family Process, 46(2), 207-227.   DOI
36 권희경(2009). 가족 외부 지원의 경제적 압박 완화 효과 : "경제적 압박에 따른 가족 스트레스 모델"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1(2), 111-131.
37 고선강(2009). 주부의 가정자원관리에 대한 질적 접근: 경제위기에 대한 개별가정의 이해와 대처.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1), 99-118.
38 고선강(2014). 한부모 가계의 자산과 부채 상태: 남성가구주와 여성가구주 가계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pp.93-114.
39 권오균.김지현.김충식.나용선.남화수.박종선.신상수.양시영.이경자.조상윤.최광수.황희숙(2011). 사회복지실천론. 서울: 공동체.
40 김경순(2010). 이혼여성한부모가족의 가족레질리언스가 모의 심리적 안녕 및 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모자보호시설 입소자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김민경.김경신.김득성.이정연.조희선(2011). 가족위기의식과 대처 및 정신건강. 한국가족관계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29-56.
42 김밀양(2014). 위기가족의 가족레질리언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김성희(2003). 심리적 위기관리 전략.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03년도 제7차 춘계학술대회, 41-58.
44 김성희(2008). 청소년의 형제자매 신체폭력 가해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4), 47-62.
45 김소영.황정임.이아름.김연재(2014). 위기가족지원서비스 확대를 위한 정책과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6 김승권.장경섭.김호기(2009). 한국의 사회위기 지표개발과 위기수준 측정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7 김승권.조현순.김연우(2010). 취약.위기가족 및 다문화가족의 예방맞춤형 복지체계 구축 및 통합사례관리 연구(1차년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8 김승권.김유경.박정윤.김연우.최영준(2011). 취약.위기 및 한부모 가족지원체계 구축과 자립지원 방안 연구. 여성가족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