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 Korea  

Choi, Hea Young (Center of Family-School Partnership Policy Research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19, no.3, 2015 , pp. 1-1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results of studies on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children. Using the author's own selection criteria, 17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and 31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from these studies and used for meta analysis. The overall effect size for all studies on the random effect model was .802, and it was positive and high. Given the heterogeneity among the effect size, subgroup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effect sizes significantly differed depending on program goal, concerned multi-cultural higher than others. Result also showed that the high scored effect sizes were the general family, pre-school age children group, and the program were 11-20 children group in size, and 11~20 times in frequency of education.
Keywords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Meta-analysis; Effect size; Program effectiven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고은아(2005). 수도권 초등학생의 인종편견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3 김계수(2015). 빅데이터 분석과 메타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4 김용숙.성영란.유지은(2015). 유아 다문화교육 연구동향-KCI 등재 논문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403-422.
5 남성희.전종설(2013). 아동.청소년 다문화 프로그램 연구에 대한 경향분석. 청소년학연구, 20(3), 129-158.
6 박신규.이성희(2015). 다문화가족의 영유아 양육환경과 발달상태에 관한 연구-전라북도 다문화 영유아교육지원방안을 위한.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159-187.
7 박종대.박지해(2014). 한국 다문화정책의 분석과 발전방안 연구. 문화정책논총, 28(1), 35-63.
8 법무부(2015).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15년 4월호.
9 서은아(2014). 반편견 주제의 동화 읽어주기 활동이 통합학급 학생의 다문화 인식 및 인권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7(1), 27-51.
10 서종남(2010). 다문화교육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11 양옥승(2008). 유아교육과정 탐구. 서울: 학지사.
12 양옥승.김지현.최경애.이옥주.이혜원,(2014). 유아다문화교육. 경기: 학지사.
13 오성삼(2009).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건국대학교 출판부.
14 이경란.정기섭(2011). 유아 다문화교육 연구경향 분석. 교육문화연구, 17(2), 5-28.
15 이정민.전경남(2013). 일반가정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원교육, 29(2), 279-306.
16 이혜원(2014). 유아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의 이론과 실천, 19(1), 43-63.
17 장한업(2015). 유네스코의 교육적 관점의 변화 연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20(1), 113-131.
18 정동영(2010). 특수교육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19 조영달(2015). 한국 다문화가족정책의 지향: 구성적/성찰적 참여의 사회화. 다문화가족포럼 자료집.
20 조윤동.강은주.고호경(2013). 2011년 수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나타난 다문화.탈북가정 학생의 학교급별 성취 특성 분석. 학교수학, 5(1), 179-199.
21 채영란.박희숙(2009).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지, 18(3), 571-581.
22 채영란.유승우(2014).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연구 동향: 1999년 이후의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8(6), 551-571.
23 최미숙.김경숙.윤현숙(2008). 다문화교육 활동이 유아의 반편견 인식 및 다른 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7(2). 65-79.
24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P. T., & Rothstein, H. R.(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Wiley-Blackwell.
25 Cohen, J.(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Jersey: Lawrense Erlbaum.
26 Derman-Sparks, L. & Task Force, A. B. C.(1989). Anti-Bias Curriculum: 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이경우.이은화(편역, 1999). 반편견 교육과정: 어린이에게 대응능력을 길러주는 도구. 서울: 창지사.
27 Hedges, L. V. & Olkin, I.(1985).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Orland, FL: Academic press.
28 김민채.김영연(2012). 다문화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연구, 32, 407-430.
29 김종운.박춘자(2011). 품성계발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 북한, 페루, 중국, 파키스탄, 일본, 필리핀 다문화가정 아동을 중심으로. 동북아 문화연구, 27, 41-59.
30 박미자.임귀자.윤경선(2011). 다문화 주제에 관한 협동 활동이 유아의 편견감소와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5(1), 227-248.
31 소성숙.박승순(2012). 다문화적 반편견 미술 활동이 유아의 편견개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 25-43.
32 오재연(2013).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학회지, 17(1), 137-162.
33 신선순(2012). 학교생활적응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자아정체감, 교우관계,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종합연구, 10(4), 459-481.
34 안세근.김현욱(2011). 동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동화와 번역, 22, 83-104.
35 염승희.신현균.오수성(2010). 사회적 기술훈련 집단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 및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스트레스 수준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3), 853-873.
36 이규림.김영옥(2010). 다문화적 접근에 의한 통합 활동의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2(15), 75-102.
37 이선미.이선화(2009).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적응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상담학연구, 10(4), 2273-2286.
38 이은희.이경옥(2013). 교우관계 향상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2), 605-612.   DOI
39 이춘옥.김판희(2011). 원어민 교사와 함께하는 체험중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아동교육,(20)2, 187-206.
40 이혜진.장석진(2012).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미술치료연구, 19(4), 837-858.
41 정금자.이영숙(2013). 사회극 놀이를 통한 다문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학연구, 48, 367-393.
42 조성심.주석진(2014). 생태체계관점의 진로탐색멘토링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교사회복지, (27), 51-82.
43 최미숙.강은영.윤수인.송순옥(2012). 다문화적 접근에 의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2(3), 29-50.
44 홍길회(2014). 일과를 통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6), 313-332.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