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Impact of leisure activity on the leisure economy of Korean baby-boomers  

Jeong, Young-Keum (The Catholic Univ. of Korea, Consumer & Housing Studies)
Yoon, So-Young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Convergence Research Divis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18, no.3, 2014 , pp. 61-7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family resource management's strategies and leisure culture revitalization to Korean baby-boomers. This study review leisure activities characteristics of Korean baby-boomers and find their characteristics' impact on leisure economy. This research analyzed with raw data of "National Research Leisure Activities 2012" in different methods: analysis of frequenc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rrespondence Analysis, and etc. As a result, compared to all age groups in Korea, Korean baby-boomers current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is low, but their expense on leisure is high. Their leisure activities are varied from different genders to their incomes. Especially, baby-boomers, who are on high income, participate in wasteful leisure activities and their consuming behavior will be the mainstream of Korean leisure economy, so economy, which is aiming for baby-boomers, will be invigorated when the economy is more concerned with use values toward time. Particularly, preparing for the retirement of baby-boomers, further researches based on integrated family policy should be considered plans and efforts on encouraging active volunteer works and participation in leisure culture revitalization of Korean baby-boomers.
Keywords
Korean baby-boomers; leisure activity; leisure economy; family polic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Meadows, P.(2003). Retirement Age in the UK: a review of the literature. Employment Relations Research Series, 18, DTI.
2 Tillesley, C., P. Taylor, J. Beausoleil, R. Wilson & A. Walker(2001). Factors Affecting Retirement Behavior. Department of Education and Skills Research Report.
3 강상경(2012). 삶의 만족도와 관련요인의 세대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한 베이비붐 세대와 이전 이후 세대간 비교. 사회복지연구, 43(4), 91-119.
4 국토연구원(2002). 레저행태 변화와 여가공간 조성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5 권현정 .박화옥(2008). 베이비붐세대의 문화자본이 문화활동에 미치는 영향: 문화복지 관점에서. 한국노년학, 28(3), 535-553.
6 김지훈 .강욱모(2013).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 갈등대처방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1), 51-69.
7 대한상공회의소(2006). 국내실버산업의 성장성 전망 보고서. 대한상공회의소 보도자료.
8 문화체육관광부(2012). 2012 국민여가활동조사 원자료. 문화체육관광부.
9 박태정(2013).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삶을 통해 본 일과 은퇴의 경험적 의미에 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13(3), 29-57.
10 삼성경제연구소(2001). 주5일제 근무와 소득과 여가에 대한 인식. 삼성경제연구소.
11 삼성경제연구소(2003). 한국사회의 가치관 급변과 혼동. 삼성경제연구소.
12 삼성경제연구소(2010). 베이비붐 세대 은퇴의 파급효과와 대응방안. 삼성경제연구소.
13 삼성경제연구소(2011). 뉴시니어 세대의 3대 키워드. SERI 경영노트. 삼성경제연구소.
14 서울대 노화.고령 사회 연구소(2011). 한국의 베이비부머 세대 연구. 서울대 노화.고령 사회 연구소.
15 윤소영(2012). 100세 시대 대비 지역여가향유 확대를 위한 전달체계 모델 구축.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기본과제 보고서.
16 송태정(2000). 근로시간 단축의 경제 . 사회적 파급효과. LG경제연구원. 주간경제, 596.
17 여가문화학회(2002). 주5일 근무제 실시 이후 직장인 및 생활변화에 대한 조사. 여가문화학회.
18 윤소영(2006). 노인 여가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4), 47-63.
19 윤소영(2010). 여가에 대한 생애주기 관점과 여가생활주기 단계별 모형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4), 103-115.
20 이지현 .김선우(2012). 한국의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이 삶에서 추구하는 가치에 대한 질적연구 - 서울 거주 중산틍을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14(2), 127-157.
21 이혜정 .유규창(2013). Y세대의 일과 삶의 균형: 세대별 일의 가치를 통해 본 의미 및 역할. 노동정책연구, 13(4), 1-32.
22 전찬호 .진성미(2011). 경력중기 남성 사무직 베이비부머의 경력개발 학습동기에 관한 연구. HRD연구, 13(2), 21-43.
23 정경희(2010). 베이비부머의 노년기 진입에 따른 정책과제. 한국사회보장학회 추계정기학술대회 자료집, 1-22.
24 정영금(2009). 가족여가를 통한 가족자원봉사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연구논집, 29(1), 5-21.
25 정영금(2011). 일생에 걸친 경력관리를 통한 일-생활 균형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1), 41-53.
26 조선일보(2011).100세 쇼크 축복인가 재앙인가! 71년생 돼지띠 남성들 절반이 94세 이상 산다. 2011.01.03. 1면.
27 중앙일보(2012).여가활동을 제2직업으로. 노후 '행복 포트폴리오' 짜라. 2012.03.06. 10면
28 통계청(2000). 생활시간조사. 통계청.
29 통계청(2009). 2009 생활시간조사 원자료. 통계청.
30 통계청(2010). 사회조사를 통해 본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 통계청 보도자료.
31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9). 여가백서 2008.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2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0). 신노년층의 일과 여가에 대한 욕구와 정책적 함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현대경제연구원(2002). 주5일 근무제 실시와 소비변화. 레포트 자료. 현대경제연구원.
34 Nazareth, L.(2007). The Leisure Economy. Canada: John Wile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