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고용노동부(2013). 고용보험 DB자료. 고용노동부.
|
2 |
김미주(2006). 육아휴직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여성학, 22(4), 157-195.
|
3 |
김은정(2005). 육아휴직제도의 이용실태 및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공공부문의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4 |
김진욱(2008). 여성근로자의 육아휴직과 근로 지속성에 관한 실증연구. 사회복지정책, 33, 239-260.
|
5 |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http://www.law.go.kr.
|
6 |
도남희(2013). 기업의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지원 현황과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이슈페이퍼, 08.
|
7 |
박미영(2013). 육아휴직제도의 현실과 개선방안 : 경상북도교육청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8 |
백선정(2009). 육아휴직이 여성공무원의 승진 기대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9 |
손민하(2002). 한국육아휴직제도의 일 고찰. 한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0 |
원숙연(2005).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을 둘러싼 수사와 현실-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중심으로 한 탐색적 사례연구. 한국정책학회보, 14(2), 157-188.
|
11 |
이기연(2011). 여교사의 육아휴직제도의 활용과 만족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2 |
이동선(2007). 육아휴직제도의 활용 실태와 개선 방향.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3 |
이미지(2013).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회사의 태도가 사회복지종사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4 |
이수영.이근주(2011). 한국 민간기업 근로여성의 육아휴직 활용패턴 영향요인 연구 : 고용보험 DB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논총(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5, 61-91.
|
15 |
임은정(2007). 육아휴직제도의 인식과 활용에 관한 연구 : 포항시 공무원을 중심으로. 대구 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6 |
정영신(2010). 여성근로자의 일가정양립제도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 : 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7 |
조용환(2002).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파주 : 교육과학사.
|
18 |
한겨레뉴스(2014). 육아휴직 끝나면, 1만명이 '집으로'. 2014. 6. 15.
|
19 |
Chang, J.(1997). Labor force withdrawal and entry surrounding first childbirth of marri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
20 |
Lincoln, Y. & Guba, E.(1985).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