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386/SIME.2021.29.3.63

The Effect of Government Support on Management Performance of ICT Venture Companies : Focusing on the Effectiveness of Funding and R&D Support  

Chung, Do-Bum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책연구실)
You, Hwasun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책연구실)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v.29, no.3, 2021 , pp. 63-9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oday, venture companies are increasingly important in that they play a key role in national economic growth. However, ICT venture companies are having great difficulties in securing a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due to rapid environmental changes, and as one of the ways to solve this problem, they rely on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government support on management performance of ICT venture companies. For empirical analysis, the data from the 2016 ICT venture panel survey was collected, and 687 and 538 companie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funding and R&D support, respectively. Then,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 companies that received government support and compani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control group)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funding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growth potential of ICT venture companies, and R&D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ability of ICT venture companies. This mean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management performance of ICT venture companies depending on the type of government support.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effect of government's policies, and various support policies for specific purposes should be pursued to foster ICT venture companies. In addition, for the continued growth of ICT venture companie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package (technology, management, commercialization, etc.) support rather than individual funding support or R&D support.
Keywords
ICT venture company; Funding support; R&D support; Management performance; Propensity score match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Songling, Y., Ishtiaq, M., Anwar, M. and Ahmed, H. (2018), "The Role of Government Support in Sustainable Competitive Position and Firm Performance", Sustainability, Vol. 10, No. 10, pp. 1-17.   DOI
2 김윤정.서윤교.홍정임 (2018), "벤처기업의 내부역량과 성장단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부지원자금 활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21권, 제2호, pp. 636-662.
3 오승환.장필성 (2020), "정부 R&D 지원이 제조기업의 혁신활동 및 혁신성과에 미치는 효과", 「기술혁신학회지」, 제23권, 제5호, pp. 941-966.
4 우석진 (2018), 「정책분석을 위한 STATA」, (주)지필미디어.
5 유승주.엄영호.노성민 (2020), "성향점수 매칭을 활용한 중소기업 조세지원 정책의 효과 분석", 「융합사회와 공공정책」, 제13권, 제4호, pp. 190-215.
6 윤상만.이유환.서영욱 (2018), "정부정책과 내부혁신요인에 따른 기업혁신활동 연구: 제조업과 서비스업 집단분석", 「기업경영연구」, 제25권, 제5호, pp. 131-157.
7 이병기 (2013), 「중소기업의 중견.대기업으로의 성장동인과 정책과제」, 한국경제연구원, 정책연구 2013-06.
8 이병헌.이수욱.위세안 (2014), "정부의 기술개발 지원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제9권, 제5호, pp. 157-171.
9 McConnell, J. J. and Servaes, H. (1990), "Additional evidence on equity ownership and corporate value",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Vol. 27, No. 2, pp. 595-612.   DOI
10 송치승.박재필 (2013), "우리나라 벤처기업 지원정책의 실효성에 관한 분석", 「기업경영연구」, 제20권, 제5호, pp. 215-240.
11 최영근 (2012), "국내 코스닥 등록 IT벤처에서 최고경영진의 인적 및 사회적 자본이 대기업과의 제휴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제25권, 제8호, pp. 3165-3193.
12 중소벤처기업부 (2021), 「2021년도 중소.벤처기업 지원사업」, 중소벤처기업부.
13 유형선.김지희.전승표.서진이.유재영 (2013), "중소기업 기술혁신 극대화를 위한 중점지원분야 선정방안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16권, 제1호, pp. 41-62.
14 Tsai, K. H. and Wang, J. C. (2008), "External technology acquisition and firm performance: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 23, No. 1, pp. 91-112.   DOI
15 Wernerfelt, B. (1984), "A 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5, No. 2, pp. 171-180.   DOI
16 이성호 (2018), 「중소기업 R&D 지원의 정책효과와 개선방안」, 한국개발연구원, KDI FOCUS, 통권 제89호.
17 전기영 (2021), "ICT 벤처기업 성장단계별 정부지원의 효과 분석", 「경영경제연구」, 제43권, 제1호, pp. 207-230.   DOI
18 이준영.기지훈 (2020), "ICT 분야 정부 R&D 지원의 효과성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제23권, 제4호, pp. 698-722.
19 이준원 (2019), "기술금융 중소기업과 일반 중소기업의 경영성과 비교분석: 기술신용대출을 받은 기술금융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국혁신학회지」, 제14권, 제1호, pp. 279-299.
20 장수덕.Christopher Scotte.이상설 (2008), "벤처기업의 실패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연령의존관점과 자원기반관점의 통합적 접근", 「벤처경영연구」, 제11권, 제2호, pp. 41-63.
21 정도범 (2020), "제조업의 내.외부 환경이 혁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 ICT 기업과 비ICT 기업의 비교", 「기술혁신학회지」, 제23권, 제1호, pp. 42-63.
22 조유리.김정호 (2016), "정부지원을 받는 신생 ICT 벤처기업의 특성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제29권, 제6호, pp. 2293-2322.
23 황정태 (2012), "벤처기업의 생존에 기술혁신이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제15권, 제1호, pp. 69-92.
24 이영훈.송유진 (2019), "정부지원자금이 벤처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내부 역량의 매개효과와 기업 성장단계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제14권, 제2호, pp. 31-46.   DOI
25 채광기.윤병섭.하규수 (2011),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이 중소.벤처기업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진흥공단 정책자금 지원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제6권, 제3호, pp. 85-107.   DOI
26 최은영.박정수 (2015), "기술혁신성과에 있어서 R&D협력과 내부R&D투자의 역할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연구」, 제23권, 제1호, pp. 61-86.   DOI
27 Barney, J. (1991),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nagement, Vol. 17, No. 1, pp. 99-120.   DOI
28 김근희.곽기호 (2018), "정부의 벤처기업 R&D 지원에서의 역선택 가능성에 관한 연구: 정부 R&D 수혜기업과 비수혜기업 간 경영효율성 비교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21권, 제4호, pp. 1366-1385.
29 박상문.이병헌 (2006), "외부자원 활용이 벤처기업의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제28권, 제2호, pp. 181-206.
30 Aspelund, A., Berg-Utby, T. and Skjevdal, R. (2005), "Initial resources' influence on new venture survival: A longitudinal study of new technology-based firms", Technovation, Vol. 25, No. 11, pp. 1337-1347.   DOI
31 Barney, J. B., Ketchen, D. J. and Wright, M. (2011), "The Future of Resource-Based Theory: Revitalization or Decline?", Journal of Management, Vol. 37, No. 5, pp. 1299-1315.   DOI
3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 「2020 ICT 중소기업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벤처기업협회.
33 Barr, S. H., Baker, T., Markham, S. K. and Kingon, A. I. (2009), "Bridging the Valley of Death: Lessons Learned From 14 Years of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y Education",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 Education, Vol. 8, No. 3, pp. 370-388.   DOI
34 Baumol, W. J. (2002), "Entrepreneurship, innovation and growth: The David-Goliath symbiosis", Journal of Entrepreneurial Finance, Vol. 7, No. 2, pp. 1-10.
35 Birchall, D. W., Chanaron, J. J. and Soderquist, K. (1996), "Managing innovation in SMEs: A comparison of companies in the UK, France and Portugal",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Vol. 12, No. 3, pp. 291-305.
36 강원진.이병헌.오왕근 (2012), "국내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별 외부자원 활용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제7권, 제1호, pp. 35-45.   DOI
37 고영권.박종우.조동혁 (2016), "기술혁신 활동 집중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CT 상장기업을 중점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 347-358.   DOI
38 권세훈 (2012), "기술신용보증 기업의 특성과 성과에 관한 실증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5권, 제3호, pp. 2069-2087.
39 길운규.배홍범.심용호.김서균 (2018), "창업기업 지원 정책 개선 방안 연구: ICT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제13권, 제4호, pp. 117-128.
40 김문준.김택근.조남호 (2019), "혁신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정부지원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ICT 분야의 창업.벤처기업을 중심으로", 「혁신기업연구」, 제4권, 제2호, pp. 105-118.
41 김민창.성낙일 (2012), "정부 R&D 자금지원과 중소기업의 성과", 「중소기업연구」, 제34권, 제1호, pp. 39-60.
42 김영훈.황석원 (2016), "정부의 R&D 지원이 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혁신학회지」, 제11권, 제2호, pp. 131-154.
43 김현욱 (2005), "재정자금을 이용한 중소기업 정책금융의 수익성 개선효과", 「한국개발연구」, 제27권, 제2호, pp. 45-87.
44 김홍기.유진만.오근엽 (2016), "자료포락선분석을 활용한 벤처기업 자금지원정책의 기업 효율성 및 생산성 효과 분석", 「중소기업연구」, 제38권, 제3호, pp. 165-184.
45 Wang, E. C. (2007), "R&D efficiency and economic performance: A cross-country analysis using the stochastic frontier approach", Journal of Policy Modeling, Vol. 29, No. 2, pp. 345-360.   DOI
46 Doh, S. and Kim, B. (2014), "Government support for SME innovations in the regional industries: The case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rogram in South Korea", Research Policy, Vol. 43, No. 9, pp. 1557-1569.   DOI
47 벤처확인종합관리시스템, https://www.smes.go.kr/venturein/
48 박병춘 (2013), "글로벌 전문기업 육성을 위한 중소 중견기업 기술혁신 지원 정책: R&D 지원 정책 및 사업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제21권, 제2호, pp. 1-27.   DOI
49 Svensson, R. (2007), "Commercialization of patents and external financing during the R&D phase", Research Policy, Vol. 36, No. 7, pp. 1052-1069.   DOI
50 Fatoki, O. (2014), "Enhancing access to external finance for new micro-enterprises in South Africa", Journal of Economics, Vol. 5, No. 1, pp. 1-6.   DOI
51 송성환.권성훈.홍순기.유경진.배영임 (2010), "벤처기업의 효율성과 재무요인이 기업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경영과학」, 제27권, 제1호, pp. 107-116.
52 Freeman, J., Carroll, G. R. and Hannan, M. T. (1983), "The liability of newness: Age dependence in organizational death rat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48, No. 5, pp. 692-710.   DOI
53 Hall, L. A. and Bagchi-Sen, S. (2002), "A study of R&D, innov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in the Canadian biotechnology industry", Technovation, Vol. 22, No. 4, pp. 231-244.   DOI
54 Kaufmann, A. and Todtling, F. (2002), "How effective is innovation support for SMEs? An analysis of the region of Upper Austria", Technovation, Vol. 22, No. 3, pp. 147-159.   DOI
55 안승구.김정호.김주일 (2017),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이 중견기업의 투자에 미치는 효과", 「기술혁신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546-575.
56 양울민.장군.김성훈 (2017), "R&D활동과 기술혁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내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비교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30권, 제7호, pp. 1139-1157.
57 Laursen, K. and Salter, A. (2006), "Open for innovation: The role of openness in explaining innovation performance among U.K. manufacturing firm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27, No. 2, pp. 131-150.   DOI
58 Miller, D. and Friesen, P. H. (1982), "Innovation in conservative and entrepreneurial firms: Two models of strategic momentum",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3, No. 1, pp. 1-25.   DOI
59 Narula, R. (2001), "Choosing Between Internal and Non-internal R&D Activities: Some Technological and Economic Factors",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Vol. 13, No. 3, pp. 365-387.   DOI
60 Rosenbaum, P. R. and Rubin, D. B. (1983),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Biometrika, Vol. 70, No. 1, pp. 41-55.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