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a Parenting Coaching Program for Parenting Competence, Empathy, and Parenting Stress in Mothers  

Kim, Sarah-Hyoung-Sun (Dept. of Korea Baptist Theological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29, no.5, 2011 , pp. 141-15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develop a Parenting Coaching Program to improve parenting competence, and empathy skills, and reduce parenting stress for mothers and second, to examine the program's effectiveness. The program consists of 8 sessions and each session employs a variety of activities and parenting skills to help mothers. The Parenting Sentence of Competence Scale, Empathy Scale, and Parenting Stress Index were used as a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respectively.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16.0 program, which applied the t-test. Twelve mothers participated in eight sessions of the Parenting Coaching Program, and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f twelve mothers who did not receive treatment. The treatment group statisticall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parenting competence, empathy,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stress level,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It was concluded that the Parenting Coach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parenting competence, and empathy skills, and reducing stress.
Keywords
parenting coaching program; parenting comptence; empathy; parenting str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기정(2009). 다문화 가족 모(母)의 부모역량 강화를 위한 부모코칭 경험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3), 111-125.
2 Johnston, C., & Mash, E. J.(1989).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al and efficac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2), 167-175.   DOI
3 Kotchick, B. A., Forehand, R., Brody, G., Armistread, L., Simon, P., & Clark, L.(1997). The impact of maternal HIV infection on parenting in inner-city African American famili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1(4), 447-461.
4 Letoumeau, C.(1981). Empathy and stress: How they affect parental aggression. Social Work, 26, 383-389.
5 Levitt, M. J., Weber, R. A., & Clark, M. C.(1986). Social network relationships as sources of maternal support and wellbeing. Developmental Psychology, 22, 310-316.
6 신용주․김혜수(2003). 안드라고지의 실천적 개념으로서의 부모효능감. 안드라고지 투데이, 6(1), 1-17.
7 Redmond, M. V.(1989). The function of empathy(decentering) in human relations. Human Relations, 4, 593-605.
8 Levy-Shiff, R., Dimitrovsky, L., Shulman, S., & Har-Even, D.(1998). Cognitive appraisal, coping strategies and support resources as correlates of parenting and infant development. Development Psychology, 34(6), 1417-1427.
9 Mondell, S., & Tyler, F. B.(1981). Parental competence and style of problem-solving: Play behavior with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17, 73-38.
10 Popkin, M. H.(1983). 홍경자․노안영․차영희․최태산 역(2007). 부모코칭 프로그램: 적극적인 부모역할 NOW. 부모용 지침서. 서울: 한국 심리상담연구소.
11 Scheel, M. J., & Rieckmann T.(1998). An Empirically derived description of self-efficacy and empowerment for parents of children identified as psychologically disordered.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6(1), 15-27.   DOI   ScienceOn
12 Teti, D. M., & Gelfand, D. M.(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5), 918-929.   DOI   ScienceOn
13 Whipple, E. E., & Webster-Stratton, C.(1991). The role of parental stress in physically abusive families. Child Abuse & Neglect, 15, 279-291.   DOI   ScienceOn
14 Beautrais, A. L.(2000). Risk factors for suicide and attempted suicide among young people.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34(3), 420-436.   DOI   ScienceOn
15 Bennett, S., Coggan, C., & Adams, P.(2003). Problematising depression: Young people, mental health and suicide behaviors. Social Science & Medicine, 57(2), 289-299.   DOI   ScienceOn
16 Booth, C. L., Mitchell, S. K., Barnard, K. E., & Spieker, S. J.(1989). Development of maternal social skills in multi-problem families: Effects on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Development Psychology, 25, 403-412.
17 Dix, T.(1992). Parenting on behalf of the child: Empathic goals in the regulation of responsive parenting. In I. E. Siegel, A. V., McGillicuddy-DeLisi, & J. J. Goodnow(Eds.), Parental belief systems: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for children(2nd ed.)(319-346). Hillsdale: Lawence Erlbaum Associates.
18 Burns, J. & Hickie, I.(2002). Depression in young people: A national school-based initiative for prevention early intervention and pathways for care. Australian Psychiatry, 10(2), 134-138.   DOI   ScienceOn
19 Crnic, K. A., & Greenberg, M. T.(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 1628-1637.   DOI   ScienceOn
20 Dinkmeyer, D., & McKay, G.(1985). 이경우 역(2010). 당신도 유능한 부모가 될 수 있다. 서울: 창지사.
21 Evans, G. W., Boxhill, L., & Pinkava, M.(2008). Poverty and maternal responsiveness: The role of maternal stress and social resourc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ral Development, 32(3), 232-237.   DOI   ScienceOn
22 Gordon, T.(1970). 김인자 역(1988). 효과적인 부모역할 훈련. 서울: 한국심리상담연구소.
23 Gordon, M.(2003). Roots of empathy: Responsive parenting caring societies. Keio Journal of Medicine, 52, 236-243.   DOI   ScienceOn
24 Gottman, Katzn, & Hooven(1997). Parent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emotional life of families: Theoretical models and preliminary data.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0(3), 243-268.
25 Huth-Blocks, A. C., & Hughes, H. M.(2008).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adjustment in families experienc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Journal of Family Violence, 23(4), 243-251.   DOI   ScienceOn
26 이상희(2003). 母-兒 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공감능력 및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8(2), 62-82.
27 이소희․서우경(2008). 부모교육에서의 코칭 접근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부모교육학회, 5(1), 5-21.
28 이영미(2009).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애정 및 거부적 양육행동에 따른 남녀 유아 자기조절. 가족과 문화, 21(4), 41-61.
29 이은주․이은숙(2002). 고등학생의 소외와 우울, 자살사고, 비행과의 관계연구. 기본간호학회지, 9(1), 56-65.
30 이호영(2006). 유치원 어머니의 부모교육 참여,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외영(2002).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현(2001). 어머니-자녀 향상을 위한 집단활동 프로그램: 사회 극과 집단미술치료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장미경․손금옥․김성은(2009). 놀이치료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의 공감 능력 및 자녀의 정서행동문제의 변화과정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8(2), 225-240.
34 장성애․유연옥(2008). 적극적 부모역할 훈련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 17(3), 187-202.
35 전병성(2003). 공감과 이타행동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전종국․최선남(1998). 집단미술치료가 부모-자녀 관계 증진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5(1), 125-137.
37 정기언(1997). 부모훈육이 자녀가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효성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조용주(201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공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청소년학연구, 17(4), 127-156.
39 조정아(1996).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의사소통 기법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지용근․김옥희․양종국(2005). 진로상담의 이해. 서울: 동문사.
41 천성문․박명숙․박순득․박원모․이영순․전은주․정봉희(2009).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42 최미경․신정희․구현경․박선영․한현아․최단비(2008).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의 부모교육 지식수준 및 요구도. 아동학회지, 29(5), 227-242.
43 최영희(2007). 공감과 수용에 초점을 둔 부모놀이치료의 추후효과. 아동학회지, 28(3), 45-49.
44 Bandura, A.(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2(2), 122-147.
45 구계희(2009). 적극적 부모역할 훈련 프로그램이 부모의 역할 효능감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김미례․오명자․오익수․허승준(2008). 적극적 부모역할 훈련이 장애아 어머니의 자기격려와 자기낙담 및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9(4), 1665-1683.
47 도미향․채경선(2006). 부모 자녀 관계 코칭기법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 부모교육 연구, 3(2), 68-89.
48 김미옥(2011). 부모코칭 프로그램이 부모의 분노, 양육스트레스 및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김순옥․노명숙․류경희․유현정․이영호(2008).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6(8), 37-54.
50 김현미․도현심(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51 두진영(2008).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이 정서행동문제 청소년의 자기표현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정신보건, 14, 1-29.
52 명신영(1999). 집단정신치료에 따른 어머니의 가족지각, 부모효능감, 양육스트레스 변화에 따른 사례 연구: 집단미술치료와 집단 정신치료극을 통하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문혁준(1999). 취업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부모효능감이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7(6), 1-11.
54 박성연․전춘애․한세영(1996).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4), 203-215.
55 박수선․강기정(2008). 부모교육 실천을 위한 부모코칭 모형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부모교육연구지, 5(2), 27-55.
56 박진옥(2006).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스트레스와 유아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4(1), 37-45.
57 박혜원(2002). 공감훈련이 여중생의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서소희․최외선(2008). 부모교육 이론을 적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초등학생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한가정학회지, 46(6), 61-73.
59 송미혜(2006).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양육 효능감과의 관계.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송주미(1992). 양육스트레스 상황에서 사회적 지지가 부모의 자녀 행동지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신숙재(1997).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2 아시아코치센터(2006). 부모 교사 코칭 매뉴얼. 서울: 아시아코치센터.
63 유우영․이숙(1998). 유아의 사회적 적응과 관련변인 간의 인과관계. 대한가정학회지, 26(10), 6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