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Case Study on the Dual Readership Represented in the Use of Picture Books by Families of 5-year-olds  

Choi, Na-Ya (Dept. of Child Studies, The Catholic Univ. of Korea)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29, no.3, 2011 , pp. 99-11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ual readership represented in the use of picture book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 of 9 families including 5-year-ol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exercised their exclusive right to choose books for their children. They usually used online bookstores, libraries, or book rental shops by consulting other mothers or merchandisers. On the other hand, fathers and children seldom involved themselves in the selection of picture books. Second, children preferred interesting books, while mothers favored complete series of books, which were usually for educational purposes. Third, dynamic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was occurred during their daily routine of reading picture books together. Five-year-olds seemed to be transitioning into independent readers, and mothers showed that they were also readers of picture books when they appreciated and enjoyed them.
Keywords
picture books; dual readership;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현은자․김세희(1996). 전래동화와 이솝우화의 인물에 대한 유아의 반응. 유아교육연구, 16(2), 5-25.
2 정남미(1998). 유아문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유아, 교사, 학부모의 동화선호도 조사. 숭의논집, 22, 125-150.
3 차은영(2003). 남여 유아의 그림책 디자인 선호 경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최영신(1999). 질적자료수집: 생애사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2(2), 1-22.
5 임연수(1999). 가족구매의사 결정의 단계별 역할구조 및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아동도서구매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경우․정영희․이차숙․노영희(1997). 유아에게 적절한 그림책. 서울 : 양서원.
7 장지영(1994). 전래동화에 대한 유아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전효훈(2000).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에 대한 유아의 반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은미영(2010). 인터넷동호회의 전집 정보 유통과 독서문화1. 어린이도서연구회 창립30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22-34.
10 이영숙․신유림(2006).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도서구입 실태와 도서 정보원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연구논집, 25(1), 141-161.
11 이지연․이근영․장유경(2004). 어머니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1), 131-146.
12 유향선(1997). 유아 문어교육의 효과적 지도 : 그림책 중심과 학습지 중심 교수방법의 비교 연구. 유아교육연구, 17(2), 97-117.
13 서정숙(1999).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부모의 그림책읽어주기. 서울: 창지사.
14 윤진주(2009). 그림책 관련 논문의 경향 분석-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 학회지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47-66.
15 Shapiro, J., Anderson, J., & Anderson, A.(1997). Diversity in parental storybook reading.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27-128, 47-59.
16 Snow, C. E., & Dickinson, D. K.(1990). Social sources of narrative skills at home and school. First Language, 10, 87-103.   DOI
17 어린이도서연구회(2010). 아동전집 출판 현황과 쟁점 II. 어린이 도서연구회 창립30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18 오세란(2010). 2010년 (사)어린이도서연구회 심포지엄을 열면서. 어린이도서연구회 창립30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p.4.
19 여을환(2010). 인터넷동호회의 전집 정보 유통과 독서문화2. 어린이도서연구회 창립30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35-49.
20 박찬수(1997). 유아 그림책 구매행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서정숙․남규(2005). 그림책으로 하는 유아문학교육. 서울 : 창지사.
22 Reutzel, D. R., & Gali, K.(1998). The art of children's book selection: A labyrinth unexplored. Reading Psychology, 19(1), 3-50.   DOI   ScienceOn
23 Schneider, P., & Hecht, B. F.(1995).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their mothers during a book-sharing activity.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bility, Development and Education, 42(1), 41-56.
24 Robinson, F.(1983). Parents' descriptions of young children's behavior toward favorite books. (M.A. Thesis). Evanston, Illinois: Northwestern Universit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30 910).
25 박상희․김명화․천혜경(2008). 연령별 반복적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8(5), 115-139.
26 박유미(2008). 친사회적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또래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7(1), 19-35.
27 Roser, N., & Martinez, M.(1985). Roles adults play in preschoolers' response to literature. Language Arts, 62, 435-453.
28 박은경(2010). 아동전집의 소매가격 실태 조사. 어린이도서연구회 창립30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14-21.
29 대한출판문화협회(2010). 2009년 출판통계. 서울: 대한출판문화협회. http://www.kpa21.or.kr/bbs/ board.php?bo_table=d_total&wr_id=103
30 Palmer, B., Coding, &., & Gambell, L.(1994). In their own words: What elementary students have to say about motivation to read. The Reading Teacher, 48, 176-178.
31 김양선(1997). 소그룹 그림책 읽기에서 그림책에 대한 5세 유아의 반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박상희(2008).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인식과 활용.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2(3), 105-239.
33 김정화(2009). 유아의 그림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어린이미디어연구, 8(1), 1-17.
34 노진형․김은주(2009). 어머니의 유아용 도서 구입과 지도 및 그 어려움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18(1), 79-95.
35 Olhausen, M., & Jepsen, M.(1992). Lessons from Goldilocks: "Somebody's been choosing my books but I can make my own choices now!" The New Advocates, 5, 31-46.
36 Owens, E.(1992). Parent decision-making in reading aloud to first graders. (Ed. D. Dissertation). National-Louis Universit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49 534).
37 김숙령․육길나(2007). 어머니와 유아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현황 및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과 유아의 언어표현력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50, 73-94.
38 Mohr, K. A.(2006). Children's choices for recreational reading: A three-part investigation of selection preferences, rationals, and processes. Journal of Literresearch, 38(1), 80-104.
39 Morrow, L. M.(1988). reading and retelling stories: Strategies for emergent readers. The Reading Teacher, 38, 870-875.
40 Neuman, S. B., Dwyer, J., & Koh, S.(2007). User's guide to the Child/Home Early Language & Literacy Observation. Baltimore: Paul H. Brookes Publishing.
41 김규연(1999). 한국 아동도서의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권미은․신현기(2008). 유아기 자녀의 장애유무에 따른 어머니의 그림책 선정기준 비교. 지적장애연구, 10(2), 123-143.
43 Nikolajeva, M., & Scott, C.(2001). How picture books work. N.Y.: Garland Publishing.
44 Mangleburg, T. F.(1990). Children's influence in purchase decision: A review and critiqu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7, 813-825.
45 Mason, J.(1992). Reading stories to preliterate children: A proposed connection to reading. In P. B. Gough, L. C. Ehri, & R. Treiman(Eds.), Reading acquisition(pp. 215-241). Hillsdale, NJ: Erlbaum.
46 김선옥․윤정빈․지은주․유승희(2006).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그림책 선호경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291-318.
47 김석진(2001). 유아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Doyle, B. G. & Bramwell, W.(2006). Promoting emergent literacy and social- emotional learning through dialogic reading. The Reading Teacher, 59(6), 554-564.   DOI
49 McNeal, J. U., & Yeh, C.(1997). Development of consumer behavior patterns among Chinese children.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4(1), 45-59.   DOI   ScienceOn
50 Davila, D., & Patrick, L.(2010). Asking the Experts: What children have to say about their reading preferences. Language Arts, 87(3), 199-210.
51 Anderson, J., Anderson, A., Shapiro, J., & Lynch, J.(2001). Fathers' and mothers' book selection preferences for their four year old children abstract. Reading Horizons, 41(4), 189-210.
52 김경호(1993). 도서구매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석사학위논문.
53 강병재․하정희(2000). 유치원 교사 추천 동화에 나타난 비교육적 요소. 열린유아교육연구, 5(1), 141-162.
54 Kragler, S.(2000). Choosing books for reading: An analysis of three types of readers.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14(2), 133-141.   DOI   ScienceOn
55 현은자․김세희(2005). 그림책의 이해1. 파주: 사계절.
56 Adams, M. J.(1990). Beginning to read: Thinking and learning about print. Cambridge, MA: MIT Press.
57 현은순․홍혜경(2009). 심미적 탐색을 통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159-183.
58 강은진․현은자(1998).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유아의 반응 비교연구-소집단 그림책 읽기 활동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19(1), 169-182.
59 권기남(2000). 유아의 성별 및 기질에 따른 동화선호도: 낭만적, 폭력적 및 무서운 그림동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Arnqvist(2000), Linguistic games as a way to introduce reading and writing in preschool groups. Childhood Education, 76(6), 365-367.   DOI   Scienc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