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 Effect of Group Art Therapy by Way of Reminiscence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npatients with Geriatric Illness  

Kim, Hyo-Jeong (Dept. of Public Art Therapy, Yeungnam Univ.)
Choi, Sun-Nam (Dept. of Public Art Therapy, Yeungnam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28, no.1, 2010 , pp. 99-11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thesis is to inquire into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by way of reminiscence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npatients with geriatric illness. The subjects are 20 inpatients whose age is over sixty in the Elderly Nursing Hospital located in K county. Among them, 10 inpatients are arrang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10 inpatients, as control group. The research period is from February 28, 2009 to August 21, 2009.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group art therapy by way of reminiscence is carried out during 21 sessions once a week for 60 minutes per session. For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re and post test is carried out, and then after four weeks, the further test is carried out. The measurement tools are KGDS(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KHTP. The data are analyzed by SPSS(for Windows) and SAS(ver. 9.1.2), by which one-way ANOVA, two-way ANOVA, and Scheffe test are carried 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the whole elderly depression levels is shown significantly in the post test and the further test between the two groups. The art therapy group is more effective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inpatients with geriatric illness than control group. Second, it is shown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the elderly depression by KHTP. The art therapy group is more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the reduction of the elderly depression in view of KHTP. In conclusion, the group art therapy is an efficient intervention which enables to reduce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npatients with geriatric illness.
Keywords
elderly inpatient; reminiscence; group art therapy; geriatric illness; depression; ego-integr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Solty, F. G., & Coats, L. (1994). The Solcos model: Facilitating Reminiscence Therapy. Journal of Gerontoiogical Nursing, 20(11), 11-16.
2 Wang, J. (2004). The comparative effectivenss among institutionalized and non-institutionalized eiderly people in Taiwant of reminiscence therapy as a psychological measure.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2(3), 237-244.   DOI   ScienceOn
3 Yesavage, J., Brink, T., Rose, T., Lum, O,. Huang, V., Adey, M., Von Otto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y Research, 17, 37-49.
4 Miller, J. F. (1992). Coping with chronic illness, overcoming powerlessness (3rd ed). Philadelphia : F. A. Davis Company.
5 Morrow, S. (1999). Geriateic depression scale. Am J Nurs, 99(10), 24   DOI   ScienceOn
6 Sherman, E. (1991). Reminiscentia: Cherished objects as memorabilia in late life reminiscenc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33(2), 89-100.   DOI
7 Newman & Struck, R. (1990). Overwhelming odds: Caregiving Caregiving and the risk of institutionalization. Journal of Gerontology, 45(5), 173-183.   DOI
8 Seligman, M. (1990). Learned Optimism. N.Y. : Alfred Knopf.
9 Seligman, M. (1975). Heplessness: On depression, development and death SanFrancisco : W. H. Freeman.
10 Haight, B. K., Michel, Y. & Heendrix, S. (1998). Life review: Preventing despair in newly relocated nursing home residents: Short and long term effects. International Jouran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47(2), 119-142.   DOI
11 Hamilton (1985). Heminiscence therapy. In G. M. Bluecheck & J. C. McCloskey (Eds), cit, 139-151.
12 McDowell, I., & Kristjanssion, E. (1996). A guide to rating scale and questionnaires. N.Y. : Oxford University Press.
13 Jarvik, L. F. (1976). Aging and depression: some unanswered question. Journal of Gerontology, 31, 324-326.   DOI   ScienceOn
14 Lewinsohn, P. M., Rohde, P., Seeley, J. R., & Fisher, S. A. (1991). Age and depression: unique and shared effects, Psychology and Aging, 6(2), 247-260.
15 Liton, J. & Olstein, S. C. (1969). Therapeutic aspects of reminiscence, Social Casework, 50, 163-268.
16 하양숙(1991). 집단회상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홍주연(2000). 성격과 자아통합감이 노인 회상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Beck, A. (1974). The psychology of depression: Contemporary theory and research. N.Y.: Wiley and Sons.
19 Brink, T. L., & Yesavage, J. A. (1984). Geriatric Depression Scale. Clinical Gerontologist, 1(1), 37-43.
20 Birren, J. E., & Schaie, K. W. (1990).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San Diego: Academic Press, Inc.
21 Campbell, L. (1987). Hopelessness: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25(2), 18-22.
22 Erikson. E. H. (1963). Identity and the life cycle. N.Y. : Norton.
23 조희경(2007). 노인전문요양원에 거주하는 노인성질환자의 우울 감소 및 일상생활 능력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원광 대학교 석사학위.
24 한국미술치료학회(1994). 미술치료 이론과 실제. 동아문화사.
25 통계청(2006). 장례인구추계.
26 주성수․윤숙례(1993). 노부모와 홀로 사는 노인들간의 일반 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3(1), 53-62
27 최숙리(2007). 회상을 활용한 집단 상담이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서울불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최외선․오미나(2002).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우울 및 K-HTP 반응특성 비교. 미술치료연구, 9(2), 1-26.
29 심경혜(2005). 집단미술치료가 우울증 노인의 생활 만족도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윤진(1985). 성인․노인심리학. 중앙적성출판사.
31 이희승편저(1982). 국어대사전
32 이문자(2009). 구조화된 회상을 중심으로 한 노인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이연희(2004). 집단미술치료가 요양시설 여성노인의 우울 겸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이희순(2007). 대상관계 심리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과 자아 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장혜경․최외선(2005).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 질환을 앓는 노인들의 의사소통과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관리 학회지, 24(5), 113-128.
36 전시자(1989). 회상의 내용분석 및 간호적용에 관한 연구. 연세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7 정 영(1994). 회고요법이 노인의 죽음불안, 자아통합과 생활만족 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정인과․곽동일․조숙행․이현수(1998). 한국형 노인우울 표준화 연구. 신경정신의학, 2(37), 340-351
39 조상희(2006). 구조적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 노인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연구. 명지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40 김천호(2007). 통합예술치료가 시설치매노인의 인지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및 회기과정 분석.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박수원(1997). 회상요법이 입원노인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김현주(2000). 집단회상요법이 노인의 우울,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노미경(2008).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질환을 가진 노인들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대한노인정신의학회편(1998). 노인정신의학. 중앙문화사.
45 배강대(2003). 회상기법 집단상담이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배강대(2006). 회상을 활용한 지지적 집단상담이 노인의자아 통합감, 무력감, 죽음불안,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7 서경혜(2007). 종이조형활동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성기월(1992). 정서적지지 간호를 병행한 등공예 작업이 시설에 노인의 인지 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49 김지희(2002). 회상요법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김영숙․도복늠(2005). 회상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 기능, 우울과 삶의 질이 미치는 효과. 미술 치료연구, 12(2), 483-500.
51 김재은(1988). 그림에 의한 아동의 심리진단. 교육과학사.
52 김수영(1998). 집단회상요법이 노인의 통증,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요양원 만성통증을 가진 여성노인을 대상 으로.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3 김귀분․이경호․최양자․전은희․홍영혜․이은자․김인 숙․김미영․강경숙․석소현(2001). 한국노인의 회상 에 대한 문화기술지. 노인간호학회지, 2(3).
54 김동연․공마리아․최외선(2002). HTP와 KHTP 심리진단법. 동아문화사.
55 김수영(2002). 쑥향기 흡입을 병행한 집단회상요법이 노인의 통증, 우울 및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56 김안젤라(2003). 회상을 주제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 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구미영(1998). 노인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회상기법 중심 집단 상담의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8 김인자․서금옥․김금순․조남옥(1999). 사회적 지지의 특성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우울. 재활간호학회지, 2(2), 206-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