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Mother-Toddler Verbal Interaction Comparative Study in Traditional, Free and Block Play  

Lee, Heang-Suk (Dept. of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Myongji Univ.)
Han, Eu-Gene (Dept. of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Myongji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27, no.1, 2009 , pp. 181-19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mother-toddler verbal interaction by play type (traditional play, free play, block play), and child's sex and age. Subjects were 10 boys and 10 girls ranging in age from 25- to 36-months and their mothers. An observer videotaped the children and their mothers at play in their homes. Results showed that (1) Mothers attempted more positive verbal interaction in traditional than in block play. (2) Mothers expressed more positive emotion in free than in traditional and block play. (3) Mothers more answer 'reflection' in traditional than in free play (4) Toddlers attempted more positive verbal interaction in block than in traditional and free play. (5) Toddler's positive emotion express was not distinguished by play type or by child's sex or age. (6) From 31- to 36-months's boys expressed more play situation than from 25- to 30-months' girls. This study provides groundwork for mother-toddler traditional play programs with potential for improving positive expression of emo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Keywords
mother-toddler interaction; traditioanal play; free play; block pla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류현주(2005). 전래동요놀이가 발달장애 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45, 137-154
2 유안진(1981). 한국 고유의 아동놀이. 서울: 정민사
3 장유경.이근영.곽금주.성현란(2003).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6(4), 227-241
4 한유진(2003). 글 없는 그림책과 이야기 그림책의 유아와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 및 유형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1(3), 17-30
5 Baldwin, D. A. (2000). Interpersonal understanding fuels knowledge acquisition.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9, 40-45   DOI   ScienceOn
6 Caldera, Y. M., Huston, A. C., & O'Brien, M. (1989). Social interactions and play patterns of parents and toddlers with feminine, masculine, and neutral toys. Child Development, 60, 70-76   DOI   ScienceOn
7 Leaper, C., & Cleason, J. B. (1996). The relationship of play activity and gender to parent and child sex-typed commun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9(4), 689-703   DOI   ScienceOn
8 O'Connell, B., & Bretherton, I. (1984). Toddler's play, alone with mother: The role of maternal guidances. In T Bretherton (Ed.), Symbolid play: The development of social understanding. Oriando, FL: Academic Press
9 Tomasello, M. (1995). jonint attention as social cognition. In C. Moore and P. J. Dunham(Eds.), Joint attention: Its origin and role in development (pp.103-130).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0 곽금주.김민화.한은주(2004).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 방식과 영아기 사회적 의사소통능력. 아동학회지, 25(5), 111-128
11 조윤정(2002). 놀이감과 성별에 따른 영아-어머니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Slade, A. (1987). A longitudinal study of maternal involvement and symbolic play during the toddler period. Child Development, 57, 376-375
13 성미영(2003). 자유놀이 상황에 나타난 어머니의 대화 양식과 유아의 의사소통 의도. 아동학회지, 24 (5), 77-89
14 정영주(2006). 영아의 어휘 및 상징놀이 발달과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작용 및 놀이 참여수준 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유아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Bloom, L. (1998). Language acquisition in its developmental context. In D. Kuhn and R. S. Siegler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2, Cognition, perception, and language
16 Levy, A. K. (1984). The language of play: The role of in language development.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 49-62   DOI   ScienceOn
17 Akhtar, N. & Tomasello, M. (2000). The social nature of word learning. In R. Golinkoff & K. Hirsh-Pasek (Eds.), Becoming a word learner: A debate on lexical acquisition. Oxford, U. K. Oxford University Press
18 Messinger, D. S., & Fogel, A. (1998). Give and take: The development of conventional infant gestures. Merrill-Palmer Quarterly, 44, 566-590   ScienceOn
19 Rogoff, B., Mistry, J., Concu, A., & Mosier, C. (1993). Guided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y by toddler and caregivers.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8
20 전효정.이귀옥.박혜원(2004). 초기 언어발달에 있어 환경적 영향의 특수성. 아동학회지, 25(5), 163-178
21 김금주(2000).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 유형과 영아의 언어발달에 관한 연구. 논문집, 1, 411-500
22 장유경.임현정.곽금주(2004). 언어적 입력의 품사가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2), 105-120
23 서문옥(1999). 유아의 애착 안정성과 과제수행시 어머니-유아간 상호작용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김명순.홍경은(2000). 글 없는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장단기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0(2), 103-119
25 김경희.엄정애(2007). 노래 그림책이 걸음마기 영아의 읽기 흥미 및 어휘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38(1), 75-94
26 김명순.성지현(2002). 1세 영아의 언어와 놀이의 관계. 아동학회지, 23(5), 19-34
27 이연승.김덕숙(2002). 그림책을 이용한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 작용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어머니의 언어유형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1), 1-28
28 이용남.김영애(2000). 취침전 책 읽어주기 활동과 어머니-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문해 발전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연구, 38(3). 41-56
29 정지나(1997). 어머니-유아간 상호작용과 유아의 장독립성 인지 양식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유안진.한유진(2001). 그림책 읽기에서 유아와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과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 아동학회지, 22(1), 147-162
31 Dunham, P. J., & Moore, C. (1995). Current themes in research on joint attention. In C. Moore and P. J. Dunham (Eds.) Joint attention: Its origin and role in development (pp. 15-28).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2 Huttenlocher, J., Vasilyeve, M., Cymerman, E., & Levine, S. (2002). Language input and child syntax. Cognitive Psychology, 45, 337-374   DOI   ScienceOn
33 김지연(2005). 어린이집 교사의 언어적 행동과 영아의 언어발달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34 이지연.이근영.장유경(2004). 어머니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1), 131-146
35 Garry L. Landreth(2006). 유미숙(역). 놀이치료(아동중심적 접근). 서울: 상조사
36 장영숙(2000). 책 읽기 활동에서의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작용 형태와 유아의 읽기 능력. 아동학회지, 21(3), 119-131
37 Dore, J. (1979). What's so conceptual about the acquisition of linguistic structures? Journal of Child Language, 6, 127-137
38 유안진(1990). 한국전통사회의 유아교육.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39 장유경(2004). 한국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 8개월~17개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1), 77-99
40 Watson, J. S., & Ramey, C. T.(1972). Reactions to response contingent stimulation in early infancy. Merrill-Palmer Quarterly, 18, 219-227
41 박성혜.곽금주.성현란.심희옥.장유경.김수정.정윤경(2005). 영아기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인간발달연구, 12(3), 15-29
42 이혜련.이귀옥(2005). 아동의 초기 언어발달과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간의 관계: 동사와 명사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6(5), 205-216
43 Baumwell, L., Tamis-LeMonda, C. S., & Bornstein, M. H. (1997). Maternal verbal sensitivity and child language comprehension.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0(2), 247-258   DOI   ScienceOn
44 Gump, J. P. (1975). Comparative analysis of black women's and white women's sex-role attitud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3, 858-863   DOI
45 Lamb, M. E. (1977). Father-infant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in the first year of life. Child Development, 48, 162-181
46 정계숙.노진형.이정희(2004). 놀이 중심 모자 상호작용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발달지체유아와 어머니 간 상호작용 및 어머니 공감능력 증진. 인간발달연구, 11(3), 17-42
47 김영신(2004). 부모-영아 놀이유형과 부모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비교.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유은영(2000). 중류층 가정에서 사용하는 영·유아의 놀잇감 실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이기숙.김희진.박은혜(2004). 상호작용맥락에 따른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 전략. 아동학회지, 25(4), 33-48
50 이지연.장유경.곽금주.성현란.심희옥(2005). 영아 초기 어머니 언어적 행동에 대한 단기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8(1), 61-77
51 Hart, B., & Risley, T. (1995).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everyday experience of young American children. Baltimore, MD: Br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