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for a Job Analysis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er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 Focused on the Deduction of the Standard Job  

Lee, Yoon-Jung (Dept. of Welfare for the Aged, Hoseo Univ.)
Jung, Eun-Hee (Dept. of Educational Development, Headquarters of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26, no.5, 2008 , pp. 177-19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be offered data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as the deduction of the standard job of healthy family supporter. The process of this study take the major steps as subject selection based on career, investigation about range and contens of healthy family support work and deduction and examination job areas, duty and task. Consequently, the job areas of healthy family supporter are generalization, counseling, education, culture, administrative affairs, taking care of children and taking care of children for family living with a handicapped child. The standards of job analysis are frequency, importance and number of human power. The result and procedure of this article provides the main data and idea for the development of a tool of measurement, ajob analysis and information of the specialty and role of healthy family supporter.
Keywords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healthy family supporter; job analysis; standard job;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노동부(2007). 2007 직무분석 및 직무평가 가이드북
2 안정선(2005).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 T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 사회복지연구, 28(가을호), 243-274
3 안정선.진혜경.윤철수(2006).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분석과 직무표준안 개발. 한국아동복지학, 21, 147-179
4 여성가족부(2006). 2006년도 건강가정지원센터 세부운영지침
5 신택현.박상업(1995). 직무분석 현황과 과제. 대한산업공학회 95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22-225
6 최재성(2002). 조직이론적 접근을 통한 사회복지조직의 집단화(체인화) 현상에 대한 이해와 전망, 연세사회복지연구, 8, 136-157
7 한상근.박종성(2005).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진로교육연구, 18(2), 20-40
8 강흥구(2006). 사회복지사의 직무특성과 1급과 2,3급의 직무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8(1), 209-235
9 송상호(1997). 동태적 직무분석: 직무분석의 새로운 대안. 임금연구, 5(1), 4-33
10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6). 2006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가이드북
11 군포시.경기개발연구원(2007). 군포시 행정기구 조직진단 : 기능 및 직무조사 설문지
12 정무성(2002). 비영리조직에서의 효율성 적용기준 -사회복지조직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7, 39-52
13 조성우(2007). 사회복지사 훈련프로그램의 내용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 종합사회복지관의 종사자 훈련에 대한 적용. 한국사회복지학, 59(2), 115-142
14 오복자.김일옥.김영혜.신성례.이경순.한숙정(2006). 노인 케어매니저의 직무분석. 대한간호학회지, 36(5), 770-781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15 여성가족부.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7). 건강가정지원센터 종사자 직무현황과 인적자원개발 방안 - 직무 및 역량 도출을 중심으로 -
16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7). 2007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가이드북
17 한국생산성본부(2001). 직무분석. 한국생산성본부
18 김성국.홍지숙(2002). 직무분석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 연구. 기업경영연구, 16, 223-244
19 윤철수.진혜경(2006).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직무분석과 직무표준안 개발. 청소년학연구, 13(6), 221-246
20 건강가정기본법령집
21 엄명용.조성우.박지영.임은혜(2006). 사회복지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역량모델 컨설팅 결과보고.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2 박충훈.라휘문.신열.홍근석(2007). 오산시 행정기구 조직진단. 오산시
23 여성가족부(2007). 2007년도 건강가정지원센터 세부운영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