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Netizen's Self-Enhancing Emotional Experiences in Avatar Consumption - Using Ethnographic Interviews  

Song, Hyun-Ju (Dept. of Consumer and Child, Inha Univ.)
Yoon, Jung-Hai (Dept. of Consumer and Child, Inha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25, no.4, 2007 , pp. 151-16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netizen's emotional experiences in avatar consumption. We studied the emotional experience through ethnographic interviews with six informants. In this study, we used the descriptive questions, structural questions, and comparative questions. Netizen's self-enhancing emotional experience were divided into two emotional experiences: emotional experiences in one's world and emotional experiences in relationship with others. First, emotional experience in one's world included self-satisfaction, releasing stress, catharsis, immersion, desire of change, and sense of achievement. Second, emotional experiences in relationship with others were divided into self-enhancing emotional experiences and self-humbling emotional experience. Self-enhancing emotional experiences included the relative satisfaction, the desire of showing off/distinction, and the desire of conformity. Self-humbling emotional experience included the feeling of inferiority.
Keywords
avatar consumption; self-enhancing emotional experience; self-humbling emotional experien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범성균 (2004) 네티즌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바타 서비스 이용행태와 만족에 관한 연구: 대학생 네티즌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신경림.장연집.조영달.김남선 외 (2003). 질적연구 용어사전. 서울: 현문사
3 안광호.유창조.김수현 (2004). 아바타에 대한 꾸밈욕구, 아바타 동일시 및 사이트 태도와 충성도에 관한 구조적 모형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5(2), 19-37
4 유창조 (2003). 아바타의 소비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자아와 아바타의 관계를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8(1), 79-98
5 유창조.성영신.박주영.이재형.차승욱(1999). 매장에서의 고객-판매원의 관계형성에 관한 Naturalistic Inquiry. 소비자학연구, 10(2), 41-69
6 함인희.이동원.박선웅(2001). 의복의 소비문화와 계급 정체성. 가족과 문화, 13(1), 133-153
7 Bocock, R.(2003). Consumption, London: Routhedge, 소비: 나는 소비한다. 고로 존재한다. 양건열 역(2003). 서울: 시공사
8 송인숙 (2002). 소비문화에 관한 연구의 현황과 전망. 대한가정학회지, 40(2) 39-56
9 Triandis, H. C.(1995).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Boulder. CL: Westview Press
10 박명희 . 송인숙 . 손상희 . 이성 림 . 박미혜 . 정주원 (2006). 생각하는 소비문화. 서울: 교문사
11 유창조 (1997). 자연주의적 연구방법의 체계와 사례. 광고연구, 36(가을), 9-37
12 정주원 (2000). 가계내 재산상속에 따른 재무관리 행동에 관한 연구: 부모와 기혼 자녀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Bourdieu, P.(1984).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Translated by Nice, R.,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4 Crary, W. G.(1966). Reactions to incongruent self-experiences.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30, 246-252   DOI   ScienceOn
15 McCracken, G.(1996). Culture and consumption, IN: Indiana University Press. 이상률 역(1997) 문화와 소비. 서울:문예출판사
16 황상민.허미연.김지연(2005). 온라인 게임에서의 '재미 경험'의 섬리적 분석: 리니지 2를 중심으로. 정보와 사회, 39-51
17 삼성경제연구소 (2001). 2001년 10대 히트상품. 삼성경제연구소 연구보고서
18 Colvin, D. R., Block, J., & Funder, D. C.(1995). Overly positive self-evaluations and personality: negative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1152-1162   DOI   ScienceOn
19 Jordan, T.(1999). Cyber-the culture and politics of cyberspace and the internet. London: Routledge
20 백수경.고재홍(2007). 자기고양편향이 행복감과 인기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1) 89-104
21 전자신문(2007). 가상현실에서 의류 착용해보고 주문하는 i 패션 시대 열린다. 2007.4.26
22 John, S.(1999). The psychology of avatar and graphical space in multimedia at communities, www.rider. edu/-suler/ psycyber/psyav.html
23 김호경 (2001).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에서 아바타에 대한 자아 개념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Benford, D., Bowers, J., Fahlen, L. E., Greenhalgh, C., and Snowdon, D.(1995). User embodiment in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 Proceedings CHI '95, U.S.A., May
25 Kwan, V. S., John, O. P., Kenny, D. A., & Bond, M. H. (2004). Reconceptualiz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self-enhancement bias: an interpersonal approach. Psychological Review, 111, 94-110   DOI   ScienceOn
26 정기도 (2000) 나, 아바타 그리고 가상세계. 서울: 책세상
27 황상민 (2000). 사이버 공간에 또 다른 내가 있다. 서울: 김영사
28 강혜승(2003). 익명성 유무에 의한 서비스 특성이 아바타 이용 실태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박아청 (2003). 자존감과 자기보호감 및 자기고양행동의 관계에 대한 연구분석. 교육심리연구, 17(4), 1-22
30 박유진 (2006). 청소년의 인터넷 아이템 이용동기가 아이템 소비행동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7(1), 75-92
31 한국경제(2006). 세계는 세컨드 라이프 열풍. 2006.12.4
32 Weiss, R. S.(1994). Learning from strangers: the art and method of qualitative interview studies. N.Y.: Free Press
33 Spradley, J. P.(1979). The ethnographic interoiew. Orlando, FL: Harcourt Brace Jovanovich College Publishers
34 세이클럽. www.sayclub.com
35 안영민 (2003). 아바타 사용자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아바타 아이템의 구매의도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Boyd-Wilson, G., McClure, J., & Walkey, F.(2004). Are wellbeing and illusory perceptions linked: The answer may be yes, but.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56, 1-9   DOI   ScienceOn
37 박희정 (2001). 온라인채팅에서 아바타의 도입이 사용자의 매체에 대한 인지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손상희.천경희 (2004). 십대 초반 청소년의 아바타 소비행위를 통해 본 소비의 상징적 의미 연구. 소비자학 연구, 15(4) 77-102
39 최광식 (2000). 웹 기반 채팅 인터페이스 차이에 따른 이용자들의 커뮤니케이션 경험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최세경 (2000) 소비문화적 현상으로서 네트워크 게임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위키디피아. http://en.wikipedia.org/wiki/Avatar(virtual_reality)
42 Padgett, K. D.(1998).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Sage Publications, Inc. 유태균 역(2001). 사회복지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 나남출판
43 채지형 (2005). 싸이월드는 왜 떴을까?. 서울: 제우미디어
44 Triandis, H. C., Bentempo, R., Villareal, M. J., Asai, M., & Lucca, M.(1988).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cross-cultural perspectives on self-ingroup relationship.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323-338   DOI
45 김용준.여정성.하영원(1999). 분류와 분석-창간호(1990)부터 9권 4호(1998) 까지. 소비자학연구, 10(2), 113-131
46 Baudrillard, J. (1991). La societe de consommation ses mythes ses structures. 이상률 역 (2002). 소비와사회. 서울:문예출판사
47 Lincoln, Y. S. & Guba, E. G.(1985). Naturalistic inquiry. London: Sage Publications
48 김기옥(1999) 소비생활 이야기에 반영된 소비자의 사회.문화적 경험 분석: Narrative 분석의 실험적 적용. 대한가정학회지, 37(5), 61-82
49 Baudrillard, J.(1988). Selected writings. Cambridge: Polity Press
50 여명숙 (1999). 사이버스페이스의 존재론과 그 심리철학적 함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1 Aliche, M. D.(1985). Global self-evaluation as determined by the desirability and controllability of trait adjectiv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 1621-1630   DOI
52 세컨드 라이프.www.secondlif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