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Effects of Future Orientation on Self-Esteem, Self-Control, Scholastic Performance, and Sexual Permissiveness among Korean Adolescents  

Yoo, Ji-Seon (Dept. of Education Development, Headquarters for Healthy Family-Support Centers)
Yoo, Gye-Sook (Major in Child & Family Studies, College of Human Ecology, Kyung Hee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25, no.4, 2007 , pp. 1-1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dolescent future orientation in relation to education, work and career, and marriage and family.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effects of adolescent future orientation in relation to their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self-esteem, self-control, scholastic performance, and sexual permissiveness. Data were collected from 345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male: 166, female: 179) of two middle schools in Seoul, Korea. Scale for adolescent future orientation was formula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dolescents were found to be more future-oriented in the areas of work and career and in the area of marriage and family than in the area of education. Several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also performed to examine the contribution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uture orientation to predictions of adolescent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und that adolescent future orient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self-esteem, self-control, and scholastic performance, while having no significant influence on sexual permissiveness.
Keywords
future orientation; self-esteem; self-control; scholastic performance; sexual permissiven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용미 . 김현옥(2001). 남녀 고교생이 이성교제 단계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성적폭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 (4), 185-199
2 김완옥 (2004). 대학생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남현미 . 옥선화(2001).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의 자기 통제력 및 친구특성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7), 37-58
4 이지연 (2003). 한국 진로교육 전반에 관한 OECD 견해. 한국진로교육학회지, 16(1), 101-122
5 하창순 (2004). 한국판 자기통제력 척도 타당화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홍성흔 . 도현심 (2002). 모자녀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성취 동기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12), 145-157
7 McCabe & Barnett(2000b). The relation between familial factors and the future orientation of urban, African American sixth grader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9(4), 491-508   DOI   ScienceOn
8 Seginer & Moyman(2005). Future orientation, identity and intimacy: Their relations n emerging adulthood. European JournaI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1), 12-37
9 연문희 (1985). 청소년들의 발달과업 성취를 위한 상담방법 연구. 교육발전논총, 7(1), 171-193
10 김옥희 (2004) 청소년의 진로상담 프로그램 효과분석 : 청소년의 상담프로그램 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제 18차 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199-221
11 이창식 . 김윤정 (2003). 청소년들의 사랑과 성태도: 남학생과 여학생의 지각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0(1) 277-296
12 정금희 . 양순옥 . 백성희 (2002). 아동 및 청소년 성교육 자료의 활용 실태와 평가. 아동간호학회지, 8(3), 313-321
13 Yowell (2000). Possible selves and future orientation: Exploring hopes and fears of Latino boys and girls.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0(3), 245-280   DOI
14 윤지은 . 최미경 (2004).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모-자녀간 갈등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37-251
15 이운경 . 도현심 (2005).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관련된 변인들: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기대 및 정서적지지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아동학회지, 26(3), 43-59
16 Mirza & Somers(2004). Future orientation among Caucasian and Arab-Americ an adolescents.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25(3), 361-72   DOI
17 양은정 (2002). 고등학생의 진로미결정과 자아정체감 및 인생 목적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임은실 (2003). 부모의 양육태도 및 그 일치도가 아동의 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현지혜 (2003).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나타난 가정생활교육 분야 내용 분석.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 Arnelkev, Grasmick, Tittle, & Jr(1993). Low self-control and imprudent behavior. Journal of Quantitative Criminoogy, 9(3), 225-247   DOI
21 Seginer(1992). Future orientation: age-related differences among adolescent female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1(4), 421-436   DOI   ScienceOn
22 Gjesme(1981). Is there any future in achievement motivation? Motivation and Emotion, 5(2), 115-138   DOI
23 Malmberg & Trempala(1997). Anticipated transition to adulthood: The effect of educational track, gender and se If-evaluation on Finnish and Polish adolescent's future orienta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6(5), 517-537   DOI   ScienceOn
24 Gardner, Giese, & Parrott(2004). Evauation of the connection s: Relationships and marriage curriculum Family Relatins, 53(5), 521-527   DOI
25 Seginer & Schlesinger(1998). Adolescents' future orientation in time and place: The case of the Israeli Kibbutz.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2(1), 151-167   DOI
26 Seginer, Vermulst & Shoyer(2004). The indirect link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nd adolescent future orientation: A multiple-step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8(4), 365-378   DOI
27 김윤정 . 이창식 (2005). 부모의 성교육이 청소년들의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2(1), 250-268
28 Trommsdorff, Lamm & Schmidt(1979). A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s future orientation(Time Perspective) JournaI of Youth and Adolescence, 8(2), 131-147   DOI   ScienceOn
29 김대용 (2003). 학교교육에서 성교육의 문제. 교육철학, 30, 27-45
30 김완수 (2005).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McCabe & Barnett(2000a). First comes work, then comes marriage: Future orientation among African American young adolescents. Family Relations, 49(1), 63-70   DOI   ScienceOn
32 강숙경.고정자(1996). 가정의 심리적 과정 환경과 대학생의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1), 85-95
33 Polakowski(1994). Linking self and social control with deviance: Illuminating the structure underlying a general theory of crime and its relations to deviant activity, Journal of Quantitative Criminology. 10 (1), 41-76   DOI
34 Poole & Cooney(1987). Orientations to the future: A comparison of adolescents in Australia and Singapor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2), 129-150   DOI   ScienceOn
35 Robbins & Bryan(2004). Relationships between future orientation, impulsive sensation seeking, and risk behavior among adjudicated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9(4), 428-445   DOI
36 유계식 . 이재창(1997). 대학생의 성공공포와 성취동기 및 성역할정체감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9(1), 259-288
37 문선아 (2000). 불안과 성취동기가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정현숙(2004). 청소년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사회과학연구,18 , 1-13
39 조미숙 . 오선주(1999).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관계 변인과 청소년의 가족가치관.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1), 67-89
40 이윤옥 (2004). 고등학생의 진로준비 및 진로지도 실태. 교육문제연구소 논문집, 20(2), 59-81
41 한상숙 , 김경미 (2006)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6(1), 37-44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42 정미란(2004).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삶의 의미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Seginer(1988). Adolescent's orientation to ward the future: Sex role differentiation in a sociocultural context. Sex Role, 18(11/12), 739-757   DOI
44 기광도 (2002). 부모의 양육방식이 자녀비행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교정학회 16, 7-27
45 김예정 . 김득성 (1999). 대학생들의 데이팅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 피해자를 중심으로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 (3), 187-202
46 윤경자 (2002). 청소년의 원하지 않는 성행동의 발생과 관련 위험 요인들. 대한가정학회지, 40(1), 179-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