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Relationships among Korean Mothers' Parental Intelligence, Parenting Stress and the Perception of Parents Regarding Very Early Extra-Curricula Education  

Kwon, Jeong-Yoo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ungshin Women's Univ.)
Jang, Young-Hee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ungshin Women's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25, no.1, 2007 , pp. 87-9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al intelligence, parenting stress and the perception of parents regarding their children's very early extra-curricula education. A total of 436 mothers, whose children were enrolled in seven private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 in Seoul,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mothers who participated generally have high parental intelligence scores, but the scores of their parenting stress were low. They also tend to view their very young children's extracurricular education in a positive light. These three variables also appear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 educational level and family income of the mothers. Finally, a significant relationship is shown to exist between the mothers' parental intelligence and their parenting stress, although the mothers' parental intelligence does not seem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perceptions of very early extracurricular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However, the study suggests that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perception regarding very early extracurricular education.
Keywords
parental intelligence; parenting stress; very early extra-curricula education; parental percep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수현(1997). 유아용 학습지의 현황 및 인식도에 대한 토론. 한국 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100-104
2 김영화(1993). 학부모의 교육열: 사회계층간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30(4), 173-197
3 김현미 . 도현심(2004).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융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4 박수자(1996). 지각된 부모의 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습소외 및 대처행동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수진(2001).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조기 특기교육에 관한 실태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선미정(1995). 취학전 자녀양육에 대한 아버지의 스트레스연구. 논문집, 15, 33-41
7 안지영(2003) 유아기 자녀의 조기교육 실태와 어머니의 양육 신념, 양육 스트레스 및 성취압력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1(11), 95-111
8 우남희 . 백혜정 . 김현식(2005). 조기사교육 경험이 있는 유아들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3, 23-43
9 전춘애 . 박성연(1998). 어머니 자녀 양육 스트레스와 관련된 심리사회적 변인들.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1), 1-11
10 한지혜(2004). 취학 전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조기교육열. 열린유아교육연구, 9(1), 219-251
11 Belsky, J., Crnic, K. & Woodworth, S.(1996). Trouble in thesecond year: Three questions about family interaction, Child Development, 67, 556-578   DOI   ScienceOn
12 Crnic, K. A., Gaze, C. & Hoffman, C.(2005). Cumulative parenting stress across the preschool period: Relations to maternal parenting and child behavior at age 5.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 117-132   DOI   ScienceOn
13 Davies, S.(2004). School choice by default? Understanding the demand for private tutoring in Canada.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110(3), 233-255   DOI   ScienceOn
14 Holden, G. W. & Ritchie, K. L.(1988). Child rearing and the dialectics of parental intelligence. In J. Valsiner(Ed.), Parental cognition and adult child interaction(30-59). N. J.: Ablex
15 Manzo, K, K.(2002). Japanese schoolchildren 'cram' to boost achievement. Education week, 21(43), 8
16 홍은자(2002). 어머니 성취압력과 학원, 학습지 이용이 유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화교육논총, 12, 137-146
17 Reitman, D., Currier, R. & Stickle, T.(2002).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PSI-SF) in a Head Start population.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31, 384-392   DOI
18 조혜선(2004). 조기교육과 어머니 역할. 한국 여성학, 20(1), 123-161
19 고선주 . 옥선화(1993). 부모기로의 전이에 관한 연구 1: 첫자녀 임신기 부부의 결혼적응. 대한가정학회지, 31(2), 55-67
20 통계청(2001). 교육사회부문조사
21 Abidin, R R(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 401-412
22 Kail, R. & Pellegrino, J. W.(1985). Human intelligence: Perspectives and prospects. N. Y: Freeman
23 신의진(2002). 조기교육과 발달 병리적 문제.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7-42, 한국아동학회
24 이경숙 . 염현경 . 신윤오(2000). 한국형 부모양육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x)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소아. 청소년 정신의학, 11(1), 70-78
25 이기숙 . 장영희 . 정미라 . 홍용희(2002). 가정에서의 유아 조기 . 특기교육 현황 및 부모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22(3), 153-171
26 Seth, M. L.(2002). Education fever: Society, politics, and the pursuit of schooling in South Korea. HI: University of Hawaii Press
27 Webster-Stratton, C.(1990). Stress: A potential disruptor of parent perceptions and family interaction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 302-312   DOI
28 이옥(1997). 조기교육 경험요인과 아동의 창의성과의 관계. 교육연구, 5, 99-112
29 전귀연 . 김수경(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교사로서의 부모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3(1), 35-51   과학기술학회마을
30 Akazawa, K, Kinukawa, N., Shippey, K., Gondo, K., Hara, T. & Nose, Y.(1999). Factors affecting maternal anxiety about child rearing in Japanese mothers. Acta Paediatr, 88, 428-430   DOI
31 황혜신(2003). 조기교육에 대한 실태 및 부모의 인식. 열린교육연구, 11(2), 69-85
32 엄선희(1999).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미정(1997). 3세 여아의 행동 억제(behavioral inhibition)와 그 관련변인: 영아기 정서성, 부모의 내향성, 부모의 양육 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4 O'Collaghan, M. F., Borkpwski, J. G., Whitman, T. L., Maxwell, S. E. & Keogh, D.(1999). A model of adolescent parenting: The role of cognitive readiness to parent.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9(2), 203-225   DOI   ScienceOn
35 한정신(1998). 한국 여성의 교육열 탐구. 아세아여성연구, 37, 67-99
36 신숙재(1997).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일본 국립교육정책 연구소(2001). 조기교육의 실태에 관한 종합적 조사 연구. 문부성 생애학습국
38 Abidin, R. R.(1990).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he stress of parenting.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 298-301   DOI
39 McGillicuddy-De Lisi, A. V. & Sigel, I. E. (1995). Parental beliefs. In M. H. Bornstein(Ed.), Handbook of parenting, vol 4(333-358), N. 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0 오은경(2001). 취업모의 양육태도, 배우자의지지 및 직업 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Anthony, L. G., Anthony, B. J., Glanville, D. N., Naiman, D. Q., Waanders, C. & Shaffer, S.(2005).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s in the classroom,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 133-154   DOI   ScienceOn
42 Sanders, M. R., & Woolley, M. L.(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elf-efficacy and parenting practices: implications for parent training. Child: Care, Health & Development, 31(1), 65-73   DOI   ScienceOn
43 Crnic, K. & Low, C.(2002). Everyday stresses and parenting. In: M. Bornstein(Ed.), Handbook of parenting: Practical issues in parenting(55-94) Washington, DC: Lawrence Erlbaum
44 김기현(1998).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9), 462
45 최형성(2005). 남녀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사회적 지원, 스트레스 및 아동의 기질. 아동학회지, 26(1), 317-328
46 장혜순 . 박경자 . 조부경(1994). 유치원 학습지 사용 실태 및 내용분석. 어린이교육, 14, 73-86
47 최경희(2001). 한.일의 육아불안 및 육아스트레스에 최근 연구동향. 유아교육학논집, 5(2), 207-226
48 황창연(1996). 취학전 교육의 팽창과정과 팽창요인에 관한 연구. 교육사회학 연구, 8(2), 57-76
49 백경숙 . 윤지영(2004). 부모역할만족도와 부모역할지능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9, 1-19
50 현미숙(2004). 유아기 부모를 위한 부모역할지능척도(PIS)의 개발. 아동학회지, 25(6), 15-34
51 Benzies, K. M., Harrison, M. J. & Magill-Evans, J.(2004). Parenting stress, marital quality, and child behavior at age 7 years. Public Health Nursing, 21, 111-121   DOI   ScienceOn
52 오욱환(1999). 한국 사회의 교육열에 대한 고유 이론모형의 탐색. 교육학연구, 37(4), 1-28
53 鈴木眞由子, 枾野茂美(1998). 조기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검토. 니카타대학 교유인간과학부 기요 인문 . 사회과학편
54 김미숙 . 문혁준(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 효능감과 양육 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3(8), 25-35   과학기술학회마을
55 牧野 카쯔코(1982).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생활과 육아불안. 가정교육연구소 기요
56 Miller, C. L., Heysek, P. J., Whitman, T. L. & Borkpwski, J. G.(1996). Cognitive readiniess to parent and child intellectual-emotional development of adolescent mothers. Developmental Psychology, 32, 533-541   DOI   ScienceOn
57 김정 . 이지현(2005).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26(5), 245-261
58 이종각(2002). 교육열의 운동법칙과 결합법칙. 교육사회학연구, 12(1), 173-192
59 이기숙 . 장영희 . 정미라 . 홍용희(2001). 창의적이고 전인적인 유아교육 혁신방안. 교육인적자원부 유아교육정책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