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Relationship of Traits of Family of Origin, Marital Conflicts and the Needs for Counselling among Married Couples in Early Stage of Marriage  

Cho, Sung-Kyoung (Dept. of Family Welfare, Sangmyung University)
Choi, Uoun-Shil (Dept. of Family Welfare, Sangmyu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24, no.5, 2006 , pp. 17-3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characterized the family of origin among couples who had been married just for a few years, what types of conflicts they suffered, how they tackled their conjugal conflicts, what sorts of counseling services they needed in times of conjugal conflicts and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families of origin and marital conflicts affected their needs for counsel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family rules and regulations, the biggest characteristic among the families of origin of the married couples investigated was that they were most aware of rules for living. The husbands were more conscious of them than the wives. Concerning their marital conflicts in each area, their conflicts were most triggered by their own personal characteristics, followed by communal life, a third person and their own conjugal relations. Second, as for their needs for counseling, the married couples were highly willing to ask for counseling in times of conflicting with each other. Third, concerning their perception of the rules of the family of origin, the husbands were more cognizant of then Fourth, regarding connections between needs for counseling and family rules, the group whose family of origin placed stronger emphasis on rules for living felt the higher needs for counseling. It's attempted in this study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counseling for married couples, on which few domestic studies have ever focused so far, and the effort to take a micro approach toward the counseling needs of married couples made it clear that their counseling needs might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family background variables and their own marital conflicts.
Keywords
marital couples in early stage of marriage; needs for counselling; traits of family of origin; family rules; parent ego states; marital conflic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Gee, R. E.(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ules and methods of conflict resolution used by Asian Americans.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2 Sprey, J.(1971). On the management of conflict in famil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3(1), 41-51
3 Wamboldt, E. S. & Reiss, D.(1989). Defining a family heritage and a new relationship identity: Two central tasks in the making of a marriage. Family Process, 28, 317-335   DOI   ScienceOn
4 Whyte, L. K(1990). Dating, mating and marriage. New York; Aldine de Gruyter
5 고현선 . 지금수(1995). 부부의 갈등대처 유형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4),71-83
6 김충기.강봉규(2001). 현대상담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7 김경자(2004). 기혼남녀의 원가족 경험과 자아분화가 가족 체계기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김규수.류태보(1993). 교류분석치료. 서울: 형설출판사
9 김순기(2001). 기혼자녀가 지각하는 경험의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이 결혼 후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설기문(1995). 의사교류분석. 윤순임 외 공저. 현대상담.심리 치료의 이론과 실제(469-520). 서울:중앙적성출판사
11 송성자(1985). 한국 부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가족문제에 관한 연구. 숭의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송성자 (2002). 가족과 가족치료(제2판). 서울: 법문사
13 유은희(1991). 기혼자녀의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 발달 유형과 결혼 만족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이경희(1997).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 관계유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이경희, 옥선화(1999). 자기인식 향상을 통한 부부친밀감 증진 프로그램 시안. 대한가정학회지, 37(8), 29-42
16 이영자.장영애(2002). 결혼초기 주부가 지각한 부부갈등 정도와 갈등관리방법 및 갈등결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지, 7(1), 79-93
17 이종원(2002). 부부갈등과 관련된 원가족 변인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장혁표.제석봉.김정택 공역(1988). 가족치료: 가족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Goldenberg, I. & Golenberg, H.(1985). Family therapy: An overview. Pacific Grove, C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19 정문자 역(2000). 가족생활주기와 치료적 개입.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Carter, B. & McGoldrick, M.(1996). The Changing family life cycle: A framework for family therapy(3rd). NY: Gardener press
20 최규련(1995). 가족체계의 기능성,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과 부부의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3(6), 99-113
21 최명민(1999). 대상관계 부부치료의 이론적 고찰 및 활용. 한국가족치료학회지, 7(1), 31-51
22 Abbott, C. B.(1999). Family members' conceptions of family ru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Utah
23 Brown, J. H. & Brown, C. S.(2002). Marital therapy. California: Brooks/Cole Inc
24 한남제(1984). 한국 도시가족 연구. 서울: 일지사
25 노치영.최혜경(1996). 한국 부부의 부부문제해결과정. 한국가정관리학회지,14(3), 237-247
26 김재경(1991). 부부의 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Olson, D. H & Hawley, D. R.(1992). Self-Training Counselor's Manual. PREPARE/ENRICH Inc
28 김명자(1998). 중년기 주부의 가족관계향상을 위한 가족생활 교육요구도. 대한가정학회지, 36(3), 61-75
29 정외숙(2001). 결혼준비교육을 위한 요인 및 실시방법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정현숙.유계숙(2003). 가족관계. 서울:신정
31 전춘애(1994).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 지각이 결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2 Galvin, K M & Bromrrel, B. J.(1986). Family communication. Glenview, IL: Scott, Foresman and Company
33 Coleman(1984). Intimate relationships, marriage, and family. New York: The Bobbs-Merrill
34 Strong, J. R.(1975). A marital conflict resolution model: Redefining conflict to achieve intimac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Counseling, 1, 269-276   DOI
35 송성자(1998).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36 이기춘(1989) 교류분석(TA)으로 본 한국인의 의식구조: 신학적 시각. 서울: 기독교신학대학교 출판부
37 조유리(2000).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곽배희(1994). 상당소 창구를 통해 본 가족문제 진단. 위기에 선 가족: 한국가족의 변화와 전망. 서울: 다산 출판사
39 유영주.서동인.홍숙자.전영자.오윤자.이인수(1995). 결혼과 가족.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40 김혜경(1986). 결혼초기 부부의 갈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Berne, E.(1964). Games people play. New York: Grove Press
42 김갑숙 . 최외선(1992). 아내가 인지한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0(2), 133-143
43 송성자.정문자(1994). 보호처분을 받은 비행청소년을 위한 집단치료 프로그램 모형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9(12), 239-252
44 조용현(1997). 자녀가 지각한 가정환경변인과 이고그램 및 생활자세와의 관계: 교류분석 이론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이신영(1983). 결혼초기의 부부갈등에 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Prager, K. J.(1991). Intimacy status and couple conflict resolutio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8(4), 472-476
47 송말희(1990). 기혼남녀의 부부간 갈등정도와 대응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8(2), 31-37
48 한미향(1999). 부부의 자아분화와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 방안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Bahr, S.J.(1989). Family interaction.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50 변화순(1992). 부부간의 갈등과 해소. 여성한국사회연구회편, 한국가족의 부부관계. 서울: 오롬시스템
51 Hovestadt, A. J., Anderson, W. T., Piercy, F. P., Cochran, S. W. & Fine, M.(1985). A Family-of-Origin Scal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11(3), 287-297   DOI
52 김영자(1992). 도시지역 주민이 경험한 부부간의 갈등요인, 갈등정도, 정신건강 상태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53 유계숙.천혜정.김양호.전길양(2003). 부부탐구. 서울: 신정
54 홍원표(1993). 도시 맞벌이 부부의 갈등관계: 부산시 거주자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5 Goldenberg, I. & Goldenberg, H.(2000). Family therapy: An overoiew(5th.). Belmont, C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56 남순현(2001). 가족의 정서체계 역동성에 관한 연구: 성인 자녀 가족과 3세대 가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7 최현미(1997). 원가족척도연구: 결혼초기 부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