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of Adolescent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Normal Adolescents and Juvenile Delinquents  

Rhu Jin-Sook (Major of Home Econom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yun Eun-Min (Dep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Andong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24, no.1, 2006 , pp. 209-22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of adolescents. The study also identified the differenc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between normal adolescents and juvenile delinqu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47 adolescents included 249 normal adolescents and 198 juvenile delinquents. The major finding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normal adolescents and juvenile delinquent. Normal adolescents had higher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stress coping styles except wishful thinking between normal adolescents and juvenile delinquent. Second, there were overall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However regulation of emo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tress coping styles. The result of Canonical Correlation revealed that emotional facilitation of thinking among five sub-domains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the best contributor to predict stress coping styles of adolescents.
Keywords
emotional intelligence; stress coping styles; normal adolescents; juvenile delinque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영자.이재연(1996).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원과 대처방안에 관한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비교연구. 대한가정학회, 34(5), 307-326
2 김경숙(2003). 아동의 정서지능과 스트레스 통제감 및 대처행동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정희.이장호(1985).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구성요인 및 우울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행동과학 연구소. 행동과학연구, 7, 127-138
4 문용린(1996). 한국 학생들의 정서 지능 측정 연구. 새로운 지능의 개념, 감성지능. Peter Salovey 교수 초청강연자료집. 서울삼성생명 사회정신 건강연구소/서울대 교육연구소
5 박용하(2000).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식.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염태호.김정규(1991). 비행청소년의 성격특성과 성격유형. 형사정책연구, 2(4), 193-222
7 최해연(2000). 정서중심적 대처의 재개념화: 기능적 유사성에 근거한 대처자원의 구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Carver, C. & Scheier, M.(1994). Situational coping and coping dispositions in a stressful trans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1), 184-195   DOI   ScienceOn
9 Chiles, J. A., Miller, M. L. & Cox, G. B.(1980). Depression in an adolescent delinquent population. Archives General Psychiatry, 37, 1179-1184   DOI   ScienceOn
10 Goleman, D(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
11 Lazarus, R. S. & Folkman, S.(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Verag
12 Petit, G., Dodge, K. & Brown, M.(1988). Early famiy experiences, social problem solving pattern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59(1), 107-120   DOI   ScienceOn
13 Salovey, P. & Mayer, J. D.(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and D. J. Sluyter(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pp. 3-34). New York: Basic Books
14 Slaby, R. & Guerra, N.(1988). Cognitive mediators of aggression in adolescent offenders: 1. Assess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24(4), 580-588   DOI
15 이경희(1996).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Pearline, L. & Schooler, C.(1978). The structure of cop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 2-21   DOI   ScienceOn
17 이도영(1990). 고등학교 학생들의 스트레스 수준과 그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유광선(1999). 정서지능 향상교육 프로그램이 정서지능과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Folkman, S.(1984). Personal control and stress and coping processes: A theoretical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 839-852   DOI
20 Gardner, H.(1993). Multiple Intelligence: The theory in practce. New York: Basic Books
21 Rose(1990). Putting the group into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Social Work with Groups, 13, 72
22 강문희.정은의(2003). 걱정수준에 다른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사고억제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0(3), 439-460
23 김창대(1985). 우울과 스트레스 대처양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왕정희(2001).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 및 대인문제 해결력과의 관계.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Tallis, F., Eysenck, M. & Mathews, A.(1991). Elevated evidence requirements and worr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2, 21-27   DOI   ScienceOn
26 한순아(1996). 고등학교 학생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그 대처방식과의 관계.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Moos, R. H. & Billings, A. G.(1982).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coping resources and processes. In L. Goldberger & S. Breznitz(Eds.). Handbook of stress: Theoretical and clinical aspects. New York: Free Press
28 김정희(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Billings, A. G. & Moos, R. H.(1984). Coping, stress, and social resources among adults with unipolar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 877-891   DOI
30 Lazarus, R. S.(1981). The stress and coping paradigm. Models for Clinical Psychopathology
31 정현희(2002). 아동의 정서지능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7), 25-39
32 전겸구(2000). 정서와 건강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6(3), 175-199
33 Aldwin, C. M. & Revenson, T. A.(1987). Does coping help a reexami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coping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 337-348
34 Salovey, P.(1996). Emotional Intelligence : Another way to be smart. Paper presented at the Sejong Culture Center, Seoul, Korea, November
35 최해림(1986). 한국대학생의 스트레스 현황과 인지-행동적 상담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6 조미령(2002). 정서지능과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방식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Denham, S. A. & Gorut., L.(1993). Socialization of emotion: Pathway to preschoolers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118, 73-101
38 Mayer, J. D. & Salovy, P.(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y & J. D. Mayer(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ne: Educational Implication. New York: Basic Books
39 장경문(2003).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성장환경의 관계. 청소년학 연구, 10(4), 143-161
40 고순희(1994). 고등학교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및 적응의 관계.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전성혜(1989). 스트레스에 대한 평가 및 대처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2 정영숙(1998). 지능과 다중지능 및 정서지능과의 관계연구. 상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Folkman, S. & Lazarus, R.(1980). An analysis of coping in a middle-aged community sampl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1, 219-239   DOI   ScienceOn
44 장휘숙(1999). 청년심리학. 학지사
45 원호택.김순화(1985). 대학생의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일 연구. 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학생생활연구, 12, 43-51
46 Siegel, J. M. & Brown, J. D.(1988). A prospective study stressful circumstances, illness, symptoms and depressed mood among adolescents. Developmental Psychology, 24, 715-721   DOI
47 문용린(1998). EQ 제대로 알고 있는가? 정서지능의 이해와 적용/정서 지능연구의 현재와 미래. 한국아동학회 추계학술대회 기조강연
48 문용린.곽윤정.이강주(1999), 강민수(2001). 정서지능 연구의 성과와 전망: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 부영희(2000).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감성지수가 또래애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한상철(2001). 사회적 지원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청소년의 우울 및 가출충동에 미치능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7(1), 1-21
51 이창수(1998).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녀의 성격특성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지각과의 관계. 아동교육, 7(1), 202-217
52 Folkman, S. & Lazarus, R.(1985).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1), 150-170
53 Lee, J .K., Chin, T. W. & Cho, J .Y.(1998). A study on the anxiety, depression, and coping strategy of delinquent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7(3), 493-499
54 곽윤정(1997). 정서지능의 발달 경향성과 구인 타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정현희.최경순(2001). 아동의 자아통제능력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9(9), 175-188
56 김선옥(2004). 아동의 정서지능과 일상적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분석. 고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 Mayer, J. D., Dipaolo, M. T. & Salovey, P.(1990). Perceiving affective content in ambiguous visual: A compon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4, 772-781   DOI
58 Salovey, P.(1996). The expression of the emotions in man and animals
59 Ebata A. T. & Moos, R. H.(1991). Coping and adjustment in depressed and health adolescent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2, 33-54   DOI   ScienceOn
60 Kazdin(1987). Treatment of antisocial behavior in children: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Psychological Bulletin, 102(2), 187-203   DOI   ScienceOn
61 Cox, T.(1991). Stress(9th Ed). London: Macmillan Education Ltd
62 Mayer, J. D. & Salovey, P.(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185-221   DOI
63 민하영(1999).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지각된 통제감과 내외통제소재가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4 최혜경(1994). 근심과 대처방식간의 관계. 성격과 개인차 연구, 3, 9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