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Needs of Teachers and Parents and Community Role for the Integrated Child Care  

Choi Bo-Ga (Child and Family Studies, Kyungpook National Univ.)
Song Hye-Young (Child and Family Studies, Kyungpook National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23, no.5, 2005 , pp. 145-15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d on community role about Integrated child edu-care services. Firs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needs of teachers, parents about Community members. Second, this study was to examine community members' perception and support intention about Integrated child care services. The subjects were 124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 88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parents, 172 community member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result revealed parents and teachers's needs for community members support. (2) Community members' perception about Integrated child care services revealed greatly positive on every fields, (3) community members' support intention for the integrated chid care revealed very positive.
Keywords
integrated child-care; child with diability; commun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윤옥(1997). 특수아동 완전통합교육을 위한 미국의 동향과 한국적 과제. 특수교육 연구, 4, 45-72
2 서영숙 . 천혜정(2001). 통합교육을 위한 유아의 장애 이해 교육. 양서원
3 정계숙(1997). 유치원아 부모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연구. 유아교육논집, 7, 141-162
4 최민숙(2002). 장애아동 교육을 위한 가족참여와 지원. 학지사
5 Bronfenbrenner, U.(1979). The ecology fo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6 Peck, C. A., Hyden, L., Wandschneider, M., Peterson, K. & Richarz, S.(1989). Development of integrated preschools: A qualitative inquiry into sources of registance among parents, admonistrators, and teachers.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13, 353-364   DOI
7 권상혁 . 황윤환(1995). 일반교육-특수교육 완전통합을 위한 기초 연구: 탐구조사. 특수교육연구, 2, 79-97
8 박정락 . 서홍란(2001). 아동복지론. 양서원
9 이병인(2002). 통합교육의 중요성 및 과제-장애유아를 중심으로, 발달장애아동 관련 전문가 교육, 한국어린이육영회부설 치료교육연구소
10 김승국(1997). 장애아 통합교육의 추진방안, 교사를 위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경남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9-24
11 이현정(1997). 장애유아 통합보육 발전방한에 관한 연구: 서울시내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통합보육에 대한 태도, 요구와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이화여대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정계숙(1995).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유아교육논총, 5, 67-97
13 서경희(1995). 유치원 교사와 일반유아 어머니의 유치원 통합교육의 과제와 대책. 특수교육학회지, 16, 49-62
14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1999). 아동복지편람
15 Cole, P. G. & Chan, L. K. S.(1990). Methods and strategies for special education Prentice Hall
16 강대옥(1999). 장애아동 통합보육에 대한 보육교사와 부모의 인식. 부산교육학연구, 12(1), 43-64
17 이용교 등(2000). 한국의 아동복지학. 양서원
18 Green, K. & Stoneman(1989). Attitudes of mothers and fathers of nonhandicapped children.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13, 292-304   DOI
19 김광웅 . 황용길 . 류왕효 . 구본권 . 최세민 . 김은경 . 여문환 . 김경미 . 주혜영 . 이숙형 . 이성희 . 사영숙(2001). 장애영유아통합교육. 도서출판 범한
20 강진일(1997). 어린이집에서의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통합보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조사 설문. 대구대학교 사회개발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Minke, K. M., Bear, G. G., & Griffin, S. M.(1996). Teachers experiences with inclusive classrooms: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reform.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0(2), 152-186   DOI   ScienceOn
22 Giangreco, M. F., Dennis, R., Cloninger, C, Edelman, S. & Schattman, R.(1993). 'I've Counted Jon': Transformational experiences of teachers educati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ceptional Children, 59, 359-372
23 유수옥 . 박현주 . 박랑규 . 강우선(2002).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성공적 실천의 방해요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2(2), 111-132
24 이미란 . 강란혜(2000).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정책의 방향 - 부천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5 장동태(1995). 정신지체 특수학급 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장애요인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Bailey, D. B. & Winton, P. J.(1987). Stability and change in parents' expections ablut mainstreaming.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7, 73-88   DOI
27 이소현(1998). 특수학급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적응지원을 위한 방법론. 제5회 이화특수교육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67-108
28 주현숙(1999). 통합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연구. 지체부자유아교육, 34, 151-164
29 삼성복지재단(2001). 보육시설에서의 포괄적 보육서비스:저소득계층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