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Customary Funeral Rites of Teachers in the Southern Nak-dong River Area  

이기숙 (신라대학교 사회복지ㆍ가족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22, no.5, 2004 , pp. 133-14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Korean funeral customs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mourning process in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outhern part by the Nak-dong river, centered around the city of Busan to examine Korean funeral rit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survey research. The target population included 234 teachers and experienced the death of a family member within the last three years. Results showed that they presented their condolences 5 to 6 times on average per year. Funeral rites were performed usually at a hospital funeral hall. The preference of burial to cremation was about the same. According to the survey, funeral expenses averaged 9,570,000 won and donations received for funeral expenses, 12,630,000 won. Problems the respondents expressed about the process included large funeral expenses, the decision whether to bury or cremate, and fatigue from staying up all night.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Frequency of attending funerals depended on gender, age, and health status. Condolence style depended on religion. The type of funeral (burial or cremation) depended on family income. The type of reception depended on gender. Funeral expenses depended on the age Secon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a family member's death, they thought it was important to prepare a funeral ceremony portrait of the deceased and a scroll by themselves, and the preparation
Keywords
funeral rites; funeral customs; ritual process; death; Nak-dong river area; teacher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연규(1992). 한국의 전통장례의식과 개신교 장례의식의 비교연구. 감리교 신학대 석사학위 논문 ; 재인용 한국여성단체연합(1996)
2 박혜인(1991). '한국전통혼례의 연속과 단절'. 이효재 외.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혼인. 또하나의 문화. 17-73
3 박혜인(2001c). 가정의례의 변화와 21세기의 지향 모색. 한국가족복지학, 6(1), 31-54
4 이기숙(2003). 가족의례 : 한국인의 죽음의례 과정을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 6, 175-208
5 이차숙(1988). 한국가정생활사. 교문사. 129-142
6 임재해(1990/2000). 전통 상례. 대원사. 8-35
7 정현숙 . 유계숙(2001). 가족관계. 교문사. 565-615
8 대한주부클럽연합회(1999). 장묘문화에 대한 의식조사. 비매품
9 한국여성단체협의회(2000). 장례문화와 죽음에 관한 의식조사. 비매품
10 Bossard, J. H. S. & Boll, E.(1950). Ritual in family living. Univ. of Pennsylvania Press; 재인용 정현숙 . 유계숙(2001, 566)
11 김태현 . 손정숙(1984).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노년학 4, 3-19
12 박혜인 . 신기영(2001a).농촌지역의 가족/친족의례 실태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3), 135-154
13 남민이(2001a). 장래의 이론과 실제. 학문사. 9-16, 59-77
14 이현송 . 이필도(1995). 장의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한국정신문화원(1988). 조선시대 관혼상제 II
16 이길표(1989). 도시주부의 가정경영관과 가정의례와의 상관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7(1), 142-164   과학기술학회마을
17 반용부(1998). 낙동강유역의 지질과 지형. 신라대학교부설낙동강 연구원. 낙동강연구논총 창간호, 1-31
18 장철수(1984/1988). 한국전통사회의 관혼상제. 한국정신문화원, 90-102
19 저축추진중앙위원회(1994). 경조비 실태조사. 비매품
20 안혜숙 . 주영애 . 김인옥(2002). 한국가정의 의례와 세시풍속. 신정. 53-60
21 이필도(1999). 바람직한 장묘문화청착을 위한 제도적 접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2 박부진(2000). 전통적 생활문화의 전승과 변화:세시풍속을 중심으로. 서울 문화연구, 3권, 11-33
23 박혜인 . 조은숙(2001b). 도시지역의 가족/친족의례 실태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4), 167-184
24 안호용(1989). 조선전기 상례의 변천과 그 사회적 의미.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이정우 . 김명나(1990). 도시주부의 혼.제례에 대한 의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8(1), 105-124
26 장상옥(2003). 가정행사의 사회화 실태와 모녀세대간 시행의식 - 진주시 여대생 가정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41-50
27 생활개혁실천범국민협의회(1999). 한국인 장례비용 조사보고서. 비매품
28 한국여성단체협의회(1996). 장례문화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비매품
29 이기영 외(1996). 광복후 가정생활의 변화. 서울대 출판부
30 조남훈 외(1993). 가정의례에 관한 의식행태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조선일보사(1988/1999).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올바른 가정의례. 132-160
32 남민이(2001b). 현대생활 속의 상장례. 학문사. 71-81
33 윤서석 . 우영희 . 지영숙 . 김양희 . 채옥희(1988). 현대사회와 가정문화. 수학사, 286-288
34 장현섭(1996). 현대 한국인의 상례관행과 개선방안. 가족학논집, 8호, 105-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