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Exclusion of Housewives in the National Pension Plan in South Korea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문숙재 (이화여자대학교 소비자ㆍ인간발달학과)
윤소영 (송호대학 유아교육과)
최자경 (이화여자대학교 소비자ㆍ인간발달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v.21, no.1, 2003 , pp. 61-7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atic fact that most housewives are excluded from receiving the benefits of the National Pension Plan in South Korea. The National Pension Plan assigns no value to housework or household production, which in turn discourages full-time housewives from participating voluntarily in the Plan. In this article, I propose to utilize Credit Splitting and Pension Sharing in order to take into account full-time housewives' economic contribution in the National Pension Plan. In this article, I also discuss the ranges and application methods of the Credit Splitting and Pension Sharing. For this study, I have analyzed the data of 11,967 unemployed married women living with spouses published in“Research Data on Everyday Life Time Usage”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1999. The value of the full-time housewives' labor varies depending on the methods of estimation. However, all estimated values exceed the average value assigned to the housewives by the National Pension Corporation. It is clear that full-time housewives' unpaid labor contributes a great deal to the formation of household property and wealth, which is a valid reason for Pension Sharing and Credit Splitting. This article also provides logical factors to consider in the process of Pension Sharing and Credit Splitting, which can be used for developing computerized software to determine a full-time housewives' labor value at the time of divorce or for any other purpose.
Keywords
National Pension Plan; Pension Sharing; Credit Splitt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
[ 여성부 ] /
2 가사노동의 가치인식에 관한 연구 /
[ 문숙재 ]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과학기술학회마을
3 /
[ 국민연금관리공단 ] / 국민연금법
4 /
[ 여성부 ] / 한국여성의 가정과 일의 양립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보고서
5 국민연금제도 확대실시에 따른 발전방향 연구 /
[ 임영철 ] /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
[ The Times UK ] / The Times UK
7 /
[ 한국여성개발원 ] /
8 우리나라 국민연금 부과방법에 대한 연구 /
[ 이계탁 ] /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
[ 조선일보 ] / 조선일보
10 /
[ 통계청 ] / 1999 생활시간조사
11 /
[ 통계청 ] / 경제활동인구연보
12 가사노동의 가치평가를 위한 방법론적 모색 /
[ 문숙재;정연금 ] / 여성연구
13 /
[ 통계청 ] / 1999 생활시간조사 종합분석사업보고서
14 /
[] / CANADA Pension Plan
15 재산형성에 대한 주부의 기여도에 관한 연구 /
[ 문숙재;정영금 ] / 대한가정학회지
16 주부의 사고발생시 손해배상액 산정에 관한 연구 /
[ 문숙재;정영금 ] / 대한가정학회지   과학기술학회마을
17 /
[ 문숙재 ] / 가정생산(가정노동의 생산성과 평가를 위한 접근)
18 /
[ 동아일보 ] / 동아일보
19 /
[ 국민연금관리공단 ] / 국민연금
20 국민연금제도의 적용대상 확대에 관한 연구 /
[ 정연호 ] /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가사노동의 정책적 반영을 위한 연구 /
[ 문숙재;윤소영 ] / 대한가정학회지   과학기술학회마을
22 /
[ 통계청 ] / 인구동태통계연보
23 /
[] /
24 황혼이혼 증가한다 /
[ 조선일보 ] / 조선일보
25 /
[ 국민연금관리공단 ] /
26 /
[] /
27 주부연금권 확보의 당위성과 방안 /
[ 신낙균 ] /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28 /
[ 국민연금관리공단 ] / 국민연금실무편람
29 여성의 국민연금권 확보방안 /
[ 김용하 ] /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30 /
[ 중앙일보 ] / 중앙일보
31 가사노동의 정책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Ⅰ: 가사노동의 측정을 위한 제안 /
[ 문숙재;윤소영 ] / 대한가정학회지   과학기술학회마을
3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