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Effect of Time use on Life Satisfaction of The Retired Elderly  

Lee, Shin Sook (Division of Social Welfare and Consumer Science, Sunchon National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 v.16, no.2, 2011 , pp. 35-5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how daily life time use of the retired elderly is related with their life satisfaction. A total of 225 retired elderly living in K, S, and Y cities were sampled and administered to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uch statistical methods as reliability,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Some of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the retired elderly tend to spend more time for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leisure, and retirees' life satisfaction is higher than madian. Second, the degree of retirees' life satisfaction is significant different in terms of living with spouse, gender, living state, former job, etc. Most of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possession of own house, religion, health state, monthly living expenses, educational background, economic state, age, religion, audience, meal, participation and volunteer, interest, sleeping, work, exercise, household affairs. Third, The variables affecting retirees' life satisfaction were health, audience, household affairs, participation and volunteer, economic state, sleeping, monthly living expenses, interest, medical treatment, gender. It was found that retirees' life satisfaction can be explained almost 55% by thes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tirees' life satisfaction was effecting by time use.
Keywords
The retired elderly; Time use; The life satisfa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인(2007). 은퇴 남성노인의 어려움과 적응에 관한 연구:자아복합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3). 259-283.
2 고승덕.손미리.최윤신(2001).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6(1). 3-17.
3 고종승(2000). 정년퇴직 공무원의 생활실태 및 재취업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동기, 김은미. (2006). 노인심리와 사회. 서울: 창지사.
5 김미령(2008). 여자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 28(1). 33-48.
6 김미숙.박민정(2000). 종교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노년학, 20(2). 29-47.
7 김미혜.신경림.최혜경.강미선(2005).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삶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6(1). 91-104.
8 김연(2001). 노인대학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
9 김외숙.조희금.두경자(2000). 시간의 사용과 관리. 교문사.
10 김주현(2007). 생활시간 사용으로 본 노년기 생산적 활동. 한국노년학, 27(4). 739-754.
11 김지연(2002). 자녀와의 관계와 성격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석사학위 논문.
12 김진욱(2006). 한국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족, 여가생활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2. 149-177.
13 김진욱(2007).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36. 221-243.
14 김태현(1986). 노년기의 생활만족도 연구-발달과업 성취도와의 상관연구-. 성신연구 논문집 제 23집.
15 김태현(2006). 노년학. 서울:교문사.
16 김태현.서승희(1987). 노인의 주거환경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7. 77-92.
17 김한곤(1992). 가족형태, 소득 및 건강상태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 인문연구, 14(1). 151-171.
18 남기민(2005). 현대사회복지학. 서울: 양서원.
19 문숙재(1996). 생활시간 연구. 학지사.
20 문숙재.윤소영(2003). 맞벌이 주말부부의 생활시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 213-220.
21 박경란(1988). 노년여성의 생활만족도 연구-장남 부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박미석.이유리(2003). 한국노인의 여가활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1). 37-48.
23 박성연.최혜경(1985). 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3(1), 71-85.
24 박재간.김태현(1986). 현대사회에서의 노년기 여가생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6. 27-40.
25 박지혜(2006). 유로노인복지시설 입소 노인의 생활만족도.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박충선(1990). 대구 경부지역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가정생활연구, 5. 대구대학교 가정생활 연구소.
27 박충선(1998). 노년기의 생활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8(2). 30-46.
28 성기월(1999).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일상생활 활동정도와 생활만족 정도의 비교. 한국노년학, 19(1). 105-117.
29 신화경(2005). 지역사회 여가시설 개발을 위한 주5일 근무자들의 여가행태 분석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5). 181-190.
30 신현구(2007). 노동시장 은퇴자의 은퇴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노동리뷰, 3월호. 81-93.
31 신효식.이선정(2007). 퇴직한 남자노인의 가족자원 및 관련변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187-213.
32 양옥남.김혜경.김미숙.정순돌(2010). 노인복지론. 공동체.
33 윤현숙.유희정(2006).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 5-31.
34 이신숙(2004). 자기진술에 의한 유.무배우 여자노인의 생활실태. 한국가정과학회, 7(2). 59-79.
35 이희범.한혜연(2000). 노년기 여가참여 형태와 여가만족과의 관계. 한국여가 레크레이션학회지, 19. 213-224.
36 이신숙(2009). 유.무배우 여자노인의 연령, 경제상태, 신체만족도에 따른 생활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6). 215-227.
37 이신숙(2011). 은퇴한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0(2), 311-325.
38 이은주(2005). 노인의 자원봉사 활동이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전길량.김정옥(2000). 배우자 사별노인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1). 155-170.
40 정순희․최혜경(2006). 한국노인과 캐나다노인의 여가활동시간 관련변수에 대한 비교문화적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2), 1-23.
41 정옥분.김동배.정순화.손화희(2009). 노인복지론. 학지사.
42 정종문(2004). 노인의 특성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조영희(2004). 한부모가족 부.모의 생활시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39-151.
44 조희금(1990). 농촌주부의 생활시간 분석-시간량 및 시간대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8(2). 163-180.
45 최성재.장인협(2004).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46 최순남(1995). 현대노인복지론. 경기: 한신대 출판부.
47 통계청(2000). 1999 생활시간 조사.
48 통계청(2008). 장래인구특별추계
49 통계청(2010). 2009년 생명표
50 Chatfield, W. F.(1977). Economic and sociological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J. of Gerontology, 44. 169-171.
51 Chen, C. (2001). Aging and life satisfac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54(1). 57-82.   DOI   ScienceOn
52 Cumming, E. & Henry, W. E.(1961). Growing Old;The Process of Disengagement. New York; Basic Books.
53 Fast, J. & Frederick, J.(2004). Time is all there is. In Days of our lives : time use and transitions over the life course, Statistics Canada, Catalogue No. 89- 584.
54 Davis, M. A., Neuhaus, J. M., Moritz, D. J., & Segal, M. R.(1992) Living arrangement and survival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the NHANES I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American J. of Public Health, 82(3). 401-406.   DOI   ScienceOn
55 Day, A. T. & Day, L. H.(1993). Living arrangements and successful aging among ever-married American white woman 77-87 years of age. Ageing and Society, 13(3). 153-179.
56 Dugan, E., & Kivett, V. R.(1994). The Importance of emotional and social isolation to loneliness among very old rural adults. The Gerontologist, 34(3). 340-346.   DOI   ScienceOn
57 Gauthier, A. H. & Smeeding, T. M.(2003). Time use older on Aging, 25(3). 247-259.   DOI   ScienceOn
58 Koening, H. G.(1995). Religion and health in later. In A. Melvin, Kimbel, H. Susan, J. McFadden, N. W, Ellor & J. James, Seeber, Aging, spirituality, and religion : A Handbook. Minneapolis : Fortress Press.
59 Krause, N., Jay, G. & Liang, J.(1991). Financial strai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e American and Japanese elderly. Psychology and Aging, 6. 170-181.
60 Lewinson, P. M., Rohde, P., Sweeley, J. R. & Fisher, S. A.(1991). Age and depression : Unique and shared effects. Psychology and Aging, 6(2). 247-260.
61 Lian, W., Goh, L. & Chia, H.(1999). Correlates of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in an elderly population in Singapore. American J. of Public Health, 89(10). 1578-1580.   DOI   ScienceOn
62 Liang, J.(1982). Sex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J. of Gerontilogy, 36(1). 153-167.
63 Reitzes & Mutran(1995). Activities and self esteem. Research on Aging, 17(3). 260-278.   DOI   ScienceOn
64 Spreitzer, Z. & E. Synder(1974).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aged. J. of Gerontology. 454-458.
65 Robison, J. P.(1991). Quitting time. American Demographics, 13(5). 34-36.
66 Robison, J. P. & Godbey, G.(1997). Time for life: The surprising ways Americans use their time. Univ. Park, PA: The Pennsylvania State Univ. Press.
67 Rowe, W. & Kahn, L.(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 433-440.   DOI   ScienceOn
68 Sullivan, O. & Gershuny, J.(2001). Cross-national changes in time-use: some sociological (hi)stories re-examined. British J. of Sociology, 52(2). 331-348.   DOI   ScienceOn
69 Ward, R.(1979). The Meaning of voluntary association participation to older people. J. of Gerontology, 34(3). 438-445.   DOI   Scienc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