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Humidifier Disinfectant Disaster and the Culture of Bureaucratic Organizations  

Hong, Sungook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생명과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v.18, no.1, 2018 , pp. 63-12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paper discuses how toxic humidifier disinfectants were produced and distributed by bypassing tightly regulated laws from 1994 when the first humidifier disinfectant was made until 2011 when it was found to be the cause of the untreated interstitial lung disease. Rather than presupposing immoral entrepreneurs or incompetent civil servants as the cause of this disaster, this paper focuses on the bureaucratic character of the corporate organization that sold the humidifier disinfectant and the government that approved it, and shows that communication in these bureaucratic organizations was hampered and thus defective. It emphasizes the fact that the bureaucracy and secrecy of these organizations are the major cause of the humidifier disinfectant disaster. An analysis of the bureaucratic characteristic of the organization can reveal wha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in the corporation and in the government in order not to recur this disaster.
Keywords
Humidifier Disinfectant; Oxy; PHMG; PGH; CMIT/MI39T; Bureaucrac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용화 (2016), 환경독성학적 관점에서 본 가습기살균제 사건과 국가의 책임: 고분자물질 등록 시험 자료 제출 면제 조항을 줌심으로, 환경법과 정책, 제16권, 83-99쪽.
2 김지영 (1997), 국내의 신규화학물질 신고제도, 한국 환경독성 학회지, 제4호, 1-11쪽.
3 박태현 (2016a), 가습기살균제 사건과 국가배상책임, 환경법과 정책, 제16호, 35-56쪽.
4 성한아, 홍성욱 (2012), 개인과 조직 사이에서: 챌린저호 폭발사고에 대한 재해석과 STS-공학윤리의 접점 찾기 공학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53-60쪽.
5 송정은, 정남순 (2016), 가습기살균제 사건의 민사적 쟁점: 제조물책임과 인과관계 입증, 환경법과 정책, 제16권, 1-33쪽.
6 안종주 (2016), 빼앗긴 숨: 최악의 환경 비극, 가습기살균제 재앙의 진실, 한울.
7 양해림 외 (2006), 과학기술시대의 공학윤리, 철학과 현실사.
8 오철우 (2016), 천안함의 과학 블랙박스를 열다, 동아시아.
9 이규연 외 (2016), 가습기살균제 리포트 - 위험사회 한국, 지금 내 가족은 안전한가, 중앙북스.
10 이상만 (2016), 생명 및 신체의 안전에 대한 국가의 보호의무: 가습기 살균제 피해사건과 일본 센난 석면사건의 판결을 중심으로, 의생명과학과 법, 제15권, 35-71쪽.
11 정기주, 김재전 (1999), "우리나라 고객상담센터(Call Center)의 리엔지니어링전략에 관한 연구: 미국 고객상담센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정보전략학회지 제2권, 29-59쪽.
12 문제풍 (2008), 현행 정책연구용역제도의 평가 및 대안, 의정논총 제3호, 137-166쪽.
13 정남순 (2013), 가습기살균제를 통해 본 화학물질관리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고찰, 환경법과 정책 제11권, 35-56쪽.
14 최예용 (2017),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진행과 교훈,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제43권 제1호, 1-22쪽.   DOI
15 Bauman, Z. (1989), Modernity and the Holocaust, Cambridge: Polity Press.
16 Becker, Markus C., Lazaric, Nathalie., Nelson, Richard. and Winter, Sidney G. (2005), "Applying Organizational Routines in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Change"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Vol. 14, pp. 775-791.   DOI
17 Bunderson, J. Stuart (2001), "Normal Injustices and Morality in Complex Organizations"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 33, pp. 181-190.   DOI
18 Clarke, L. (1993), "The Disqualification Heuristic: When Do Organizations Misperceive Risk" Research in Social Problem and Public Policy Vol. 5, pp. 289-312.
19 Dowie, Mark (1977), "Pinto madness", Mother Jones, Vol. 2, pp. 18-32.
20 Eisenhardt, K. (1993), "High Reliability Organizations Meet High Velocity Environments: Common Dilemmas in Nuclear Power Plants." In K. H. Roberts (ed.), New Challenges to Understanding Organizations. New York: Macmillan, pp. 33-54.
21 Evetts, Julia. (2003). "The Sociological Analysis of Professionalism: Occupational Change in the Modern World", International Sociology Vol. 18, pp. 395-415.   DOI
22 Kline, Ronald R. (2001), "Using History & Sociology: To Teach Engineering Ethics", IEEE Technology and Society Magazine, Vol. 20, pp. 13-20.   DOI
23 Morgan, Gareth. (1986). Images of Organization, Sage Publications.
24 Lee, Matthew T. and Ermann, M. David. (1999), "Pinto 'Madness' as a Flawed Landmark Narrative: An Organizational and Network Analysis", Social Problems, Vol.46, pp. 30-47.   DOI
25 Leibenstein, H. (1968), "Entrepreneurship and Development",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58, pp. 72-83.
26 Lynch, William T. and Kline, Ronald. (2000), "Engineering Practice and Engineering Ethics",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 25, pp. 195-225.   DOI
27 Toren, Nina. (1976). "Bureaucracy and Professionalism: A Reconsideration of Weber's Thesi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 pp. 36-46.
28 Vaughan, Diane. (1996), The Challenger Launch Decision: Risky Technology, Culture, and Deviance at NAS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9 Vaughan, Diane. (1999a), "The Role of Organization in the Production of Techno-Scientific Knowledge", Social Studies of Science, Vol. 29, pp. 913-943.   DOI
30 Vaughan, Diane. (1999b), "The Dark Side of Organizations: Mistake, Misconduct, and Disaster,"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 25, pp. 271-305.   DOI
31 Weber, Max. 1(921/1968). Economy and Society, New York: Bedminster Press.
32 Weick, K. E. and Roberts, K. H. (1993), "Collective Mind in Organizations: Heedful Interrelating on Flight Deck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38, pp. 357-381.   DOI
33 국회 가습기살균제 사고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조사록, (2016. 8. 16).
34 제 345회 국회 제6차 가습기살균제 사고 진상규명과 피해구제 및 재발방지 대책마련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회의록, (2016. 8. 29).
35 박정규, 조영희 (1999), Biocides의 국내 관리방안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6 제 345회 국회 제 7차 가습기살균제 사고 진상규명과 피해구제 및 재발방지 대책마련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회의록 (2016. 8. 30).
37 기술표준원.한국소비자원 (2007), 공산품 안전관리 발전전략 개발 연구.
38 김신범 (2016. 8. 26), 가습기살균제 사고 진상규명과 피해구제 및 재발방지 대책마련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예비조사위원회 보고서.
39 박태현 (2016b), 가습기살균제 국정조사 예비조사 전문가 최종보고서.
40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폐손상조사위원회 (2014), 가습기살균제 건강피해 사건 백서: 사건 인지부터 피해 1차 판정까지, 폐손상조사위원회.
41 이종현 (2016), 가습기살균제 참사 예비조사 최종보고서.
42 장하나 (2016), 가습기살균제 건강피해 사건에 대한 국가배상 책임여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심으로 (국회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예비조사위원회 최종보고서).
4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3), 화학물질관리 선진화를 위한 조직체계 개선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44 환경부 (2000), 신규화학물질 유해성검사 개선방안 환경부, http://www.prism.go.kr/homepage/entire/retrieveEntireDetail.do;jsessionid=A57765ED98CA25A73C86B75A0E030DAF.node02?cond_research_name=&cond_research_start_date=&cond_research_end_date=&research_id=1480000-200000027&pageIndex=3140&leftMenuLevel=160
45 환경부 (2005), 가정용 biocide 관리방안, 환경부.
46 환경보건시민센터 (2018. 1. 15), 보고서 303호.
47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8), Reregistration Eligibility Decision (RED) Methylisothiazolinone, EPA738-R-98-012, https://archive.epa.gov/pesticides/reregistration/web/pdf/3092.pdf
48 노컷뉴스(2016. 8. 24), 공정위 가습기살균제 업체 '무혐의' 결정, 피해자 반발.
49 국민일보(2016. 5. 26) 800만원 독성 실험 생략이 낳은 '옥시 참극',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544251&code=11131200&sid1=soc%EF%BF?
50 내일신문(2016. 9. 19), 옥시 가습기살균제 용기변경이 참사 불렀나, http://m.naeil.com/m_news_view.php?id_art=210240
51 매일경제(1992. 11. 18), 선경인터스트리 산업용 살균제 생산.
52 미디어 오늘(2016. 8. 17), 가습기 특위 '질병관리본부가 면죄부 줬다',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31675
53 법률신문 판결큐레이션(2017. 1. 6), '가습기살균제 참사' 신현우 前 옥시 대표, 1심서 징역 7년, https://www.lawtimes.co.kr/Case-Curation/view?serial=107197
54 성광일보(2016. 7. 25), 가습기살균제 국정조사에 임하는 야당 의원 공동 입장, http://www.sgilbo.kr/news/articleView.html?idxno=11946
55 연합뉴스(2016. 7. 4), 검, '“아이 안심” 허위광고 없었으면 가습기사망자 95% 생존,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7/04/0200000000AKR20160704089000004.HTML
56 프레시안(2016. 8. 31), 서울대 원로 교수, '돈은 받았지만 독성 시험은...,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40778
57 한국일보(2016. 5. 11), 정부, 가습기살균제 원료 수입 때도 '묻지마 심사', http://www.hankookilbo.com/v_print.aspx?id=a565d0ac155945bd9797733c8996f4e2
58 한겨레(2016. 5. 26) 옥시, 살균제 독성실험 안 한 이유 있었네.
59 허핑턴포스트코리아(2016. 4. 21) 옥시 20년 차 직원이 지목하는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원인', http://www.huffingtonpost.kr/2016/04/21/story_n_9746246.html.
60 허핑턴포스트코리아(2016. 5. 12), “내 연기 어땠어?” 라는 옥시 전 대표의 말은 진짜였을까, http://www.huffingtonpost.kr/2016/05/12/story_n_9927066.html
61 TheL(2016. 6. 6) 민변 '환경부, PHMG 유해성 알고도 평가 절차 진행 안해', http://thel.mt.co.kr/newsView.html?no=2016060613035070760
62 NewsWire(2006. 9. 19), 국내최초 이동형 쇼핑카트살균시스템 개발, http://www.newswire.co.kr/newsRead.php?no=187181
63 Newswire(2007. 1. 17), 버터플라이이펙트, 슈퍼박테리아로부터 지켜주는 유아용 살균스프레이 '세퓨' 출시, http://www.newswire.co.kr/newsRead.php?no=219431
64 The300(2016. 03. 15), [단독]PGH 유해성 심사서 입수..."날림 정도가 아니라 불법", http://m.the300.mt.co.kr/view.html?no=2016051212257620768
65 환경부 보도 설명자료, 2016. 4. 23, http://www.me.go.kr/m/file/readDownloadFile.do;jsessionid=nRx9Abj1aW4n9v4WeWmeYBhZT7bHEH0R4wQQtmo8DFv8e11o9y9tD5F1Fx6Hwkyi.meweb2vhost_servlet_engine1?fileId=127511&fileSeq=1
66 환경부 보도 설명자료, 2016. 4. 25, http://www.me.go.kr/m/mob/board/read.do;jsessionid=S1zwL7rwfYtUaZBXIGNnRAiBVQ4Hua3MvPN1Deupe9f2fa10QZ7PHhImMrhTeLWj.meweb2vhost_servlet_engine1?pagerOffset=30&maxPageItems=10&maxIndexPages=5&searchKey=&searchValue=&menuId=11&orgCd=&boardMasterId=1&boardId=629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