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7/jkase.2009.29.6.741

The Activity of an interpreter on science educatio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in Korea: Focus on Hyun Chae  

Park, Jong-Seok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29, no.6, 2009 , pp. 741-75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Modem science education was introduced to Korea in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science textbooks which were published at that time were important to modem science education in Korea. Therefore, the translators and publishers of science textbooks were the leader of the science educatio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Hyun Chae and his son as a translator were one of the leaders in science education at that time. Hyun Chae was born to a Middle class (中人)family and succeeded to pass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translators (譯科). He worked as a translator and author at the Ministry of Education (學部). Also, he was the associate teacher in a foreign school and the Hansung normal school (漢城師範學校). He published 26 books. One of them, Rikwa (理科) as the science textbook covering all the areas of science,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That presented the knowledge, which students should know by proper method, induced students' interest and included various experiments. Hyun Chae's activity in science education as the author and translator of science textbooks was an important role on the forming science educatio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because it was caught short of science textbooks. The author, translator, and publisher of science textbooks was of great significance to make science popular, which was the new culture. Therefore, the role and activities in science education of Hyun Chae was a part of the history of science education, he knew a foreign language and was the leader in facilitating exchange with foreign countries.
Keywords
Hyun Chae; science education of enlightenment period; science textbook; translator;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성현(1988). 현채의 교육사상연구-유년필독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윤호(1973). 개화기 교과서, 교육출판사
3 강철성(2006). 현채의 대한지지 내용 분석 -자연지리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4 No.2, 109-118
4 김양수(1998). 조선전환기의 中人집안활동-玄德潤, 玄采, 玄楯등 川寧玄氏譯官家系를 중심으로-, 東方學志, 185-272
5 송민영(1997). 韓國理科敎育の成立と展開, 東京都立大學博士學位論文
6 송진웅, 조숙경(2001). 영국 학교 과학교육의 개척자 T.H.Huxley- 생애와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38-58   과학기술학회마을
7 이면우(1997). 한국 근대교육기(1876-1910)의 지구과학교육,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이종국(1991). 한국의 교과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9 조인호(1996). 현채의 역사인식-보통교과 동국역사와 중등교과 동국사략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동섭(1989). 현채의 역사인식에 관한 一考察: 동국사략과 유년필독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창근(1995). 현채의 국사교과서에 나타난 역사인식,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종석, 정병훈(2000). 개화기 과학교육자의 배경과 역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443-454   과학기술학회마을
13 澤田哲(1988). 開化期の敎科書編纂者として玄采, 韓109, 172-205
14 윤건차 저, 심성보 역(1987). 한국근대교육의 사상과 운동, 청사
15 장활근(2002). 현채의 역사인식 연구: '유년필독' 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1999). 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17 김정흠(1977). '한국과학교육사', 한국현대문화사대계Ⅲ 과학.기술사,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8 박종석(1998). 개화기 과학교과서의 발간실태와 내용분석,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田中隆二(1989). 백당현채의 생애와 사상: 국권회복운동기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김영경(1999). 韓末서울지역 中人層의 近代化運動과 現實認識-譯官川寧玄氏家를 中心으로-, 學林第二十輯, 1-52
21 백태희(2001). 현채의 저술과 시대의식 : 유년필독과 신찬초등소학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손인수(1984). 한국근대교육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23 정구복, 이영화(1997). 현채編譯萬國史記의 史學史的性格, 淸溪史學13, 481-506
24 정은경(1997). 開化期玄采家의 著譯述및 發行書에 관한 硏究, 書誌學硏究제14집, 303-334
25 오윤겸(1971). 과학교육의 사적고찰(1)-개화기에 서 해방 전까지-, 제주교육대학논문집 제2집
26 노경현(1992). 현채의'동국사략'과 애국계몽운동기의 역사인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서수연(1998). 玄采의 幼年必讀에 수록된 人物分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노수자(1969). 백당현채연구, 梨大史苑제8집, 69-98
29 박종석, 정병훈, 박승재(1998). 대한제국 후기부터 일제 식민지 초기(1906-1915년)까지 사용되었던 과학교과용 도서의 조사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 93-108   과학기술학회마을
30 전세영(1999). 현채의 교육 및 애국계몽활동에 대한 정치사상적 평가: '幼年必讀' 과 '幼年必讀釋義' 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33집 2호, 69-92
31 전세영(1998). 유년필독에 나타난 현채의 애국계몽사상연구, 국민윤리연구, Vol. 40, 389-410